• 제목/요약/키워드: disabled type

검색결과 275건 처리시간 0.027초

성인 정신장애인의 평생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ermanency Planning for Adult with the Mental Disability)

  • 서미경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43권
    • /
    • pp.106-130
    • /
    • 2000
  • When parents as primary care takers to the mentally disabled adult are no longer taking care of their care-needed offsprings because of their own death or illness, instead themselves. who take care of their offsprings with the mental disability? Therefore, 'permanency planning' is very important for reduction of parents' care burden and social integration of mentally disabled adults.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find out factors which are related to permanency planning for adults with the mentally disability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192 parents of the adult with the mental illness and mental retardation were conducted a survey regarding type of permanency planning, and its related factors including social functioning level of the mentally disabled, care burden, parents' self-perception of being aged, help from offspring without mental disability, social support, and financial ability. Furthermore, this study examined correlation between these factors and residential planning. Results obtained by the study were as follows: 1) 51% of the parents are having a plan for institution and most parents want other family member to take care for financial planning for their mentally disabled offsprings. 2)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for finding out factors which affect parents' permanency planning, social functioning level of the mentally disabled, parents' self-perception of being aged, help from offspring without mental disability, social support, and financial abilit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d factors, which has 23.3% of explanatory power. 3) As a result of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financial ability, parents' self-perception of being aged, and help from offspring without mental disability were the most powerful influenced factors for permanency planning. 4) In case of having a plan for residential types-which are institution and community living-, parents who have a plan for the mentally disabled offsprings' future residence as community living than institution have the offsprings with more social functioning and also have more help from offspring without mental disability. Therefore, this study concluded that welfare policy for mental health and the handicapped which secure various types of community living facilities and income security is strongly needed. At the same time, mental health profession is needed to have more active interest and intervention for permanency planning for their adult clients and parents.

  • PDF

공공도서관 장애인서비스 자원봉사자 활동매뉴얼 개발 연구 (Development of an Operating Manual on the Voluntary Activity to the Library Services with Disabled People in the Public Libraries)

  • 안인자;박미영;김혜주;이명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31-148
    • /
    • 2010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장애인서비스를 지원하는 자원봉사자들이 활용할 수 있는 체계화된 매뉴얼을 개발하여 자원봉사 활동의 전문화 및 활성화에 기여하기 시도되었다. 장애인서비스 현황조사와 담당자와 이용자와의 면담, 전문가 간담회 등을 통하여 가장 수요가 많은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유형을 파악하고, 국내외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자원봉사 매뉴얼의 구성요소를 추출하여 실질적인 장애인 서비스 자원봉사 활용 매뉴얼을 개발하였다. 대면낭독, 입력봉사, 도서관 비방문자 서비스, 이동보조, 보조공학기 서비스의 5개 분야를 선정하여 이들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각각의 구체적인 활동 매뉴얼 내용을 제시하였다. 5개자원봉사의 활동분야, 장애 유형, 활동 목적, 세부 활동 내용 및 체크리스트로 구성된 활동내용의 구성도와 구성요소의 정의를 소개하였고, 구성요소의 기술사례를 대면낭독에 적용하여 활동 매뉴얼의 내용을 간략히 제시하였다.

장애인을 위한 주택개조 사업의 특성과 주택개조가 거주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Characteristics of Housing Renovation for the Disabled and the Effects of Housing Renovation on Their Housing Satisfaction)

  • 이소영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3권5호
    • /
    • pp.9-18
    • /
    • 2012
  • For the quality of life and independent living of the disabled, government has provided financial supports for housing renovation and improvement projects for the disabled. However, there is a limited budget which should be properly distributed for a number of disabled familie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decide which parts should be improved for housing renovation for the disabled.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supports for the renovation should improve housing conditions in terms of accessibility (barrier free) and should bring the better comfort for the disabl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the housing renovation projects, to investigate whether the renovation influence occupants' satisfaction, and to examine which factor such as renovation cost and renovation elements would influence the degree of satisfaction for residents with disabilities.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limited to the recipients of financial supports for housing renovation and refurbishment from City of Seoul and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 total of 153 cases were analyzed using post occupancy survey and the project cost data for the participants' housing were collected. Overall, more cost were used for modification for housing condition than for removal of architectural barriers. Housing type and physical condition of the housing affects cost for renovation more significantly. Overall the improvement cost is positively related to resident's satisfaction using regression analysis.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o meet the residents specific needs for repair, refurbishment, and renovation of housing.

시선위치 추적기법 및 3차원 위치정보 획득이 가능한 사지장애인 보조용 웨어러블 로봇 시스템 (Wearable Robot System Enabling Gaze Tracking and 3D Position Acquisition for Assisting a Disabled Person with Disabled Limbs)

  • 서형규;김준철;정진형;김동환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7권10호
    • /
    • pp.1219-1227
    • /
    • 2013
  • 눈 움직임만으로 물건을 집고자 하는 사지장애자를 위한 웨어러블 로봇을 소개한다. 이 로봇에서는 시선위치추적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파지하고자 하는 물체를 보는 동공의 움직임을 확인하여 물체의 2차원 정보를 구하고 물체까지의 깊이는 로봇 어깨위에 올려져 있는 Kinect라는 장치를 사용하여 구한다. 물체와 로봇, 그리고 카메라간의 좌표변환과 매칭을 통하여 최종 물체의 3차원 정보를 추출하고 이 정보는 로봇제어기인 DSP로 전송되어 물체를 잡을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되어 궁극적으로 사용자가 물체를 정확히 잡을 수 있도록 한다.

한국 장애인 노동시장의 단층구조분석 : 학력과 성(性)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Segmented labor Market Structur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n Korea : According to education level and sex)

  • 강동욱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0권
    • /
    • pp.157-172
    • /
    • 2002
  • 장애인고용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에서는 장애인의 학력수준이나 성(性)의 차이에 따라 노동시장에서 각각 다른 특성을 갖는 장애인 집단을 하나의 동일체로 간주하여 논의를 진행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이러한 접근방식은 장애인 노동시장구조에 관한 연구에서 빠트려서는 안될 또 다른 중요한 측면을 간과해 장애인 노동시장내의 집단간 단절과 같은 노동시장내의 구조적 문제해결에는 큰 도움을 주지 못할 우려가 있다. 현실적으로는 한국의 장애인 노동시장은 학력, 성(性), 장애유형 및 장애정도 등과 같은 여러 변수의 특성에 따라 각기 다른 구조적 모습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실태에 근거하여 장애인의 고용이나 임금에 관한 접근을 기존 연구들에서와는 달리 노동시장의 단층구조적(斷層構造的) 측면에서 시도하고자 한다. 한국 장애인 노동시장의 단층성에 관한 실증분석을 위해 원 자료(raw data)는 노동부 공단의 "2000년 장애인근로자 실태조사" 결과를 이용하고, 분석기법으로는 MDFA(Multiple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기법을 사용한다.

  • PDF

Survey of the sevoflurane sedation status in one provincial dental clinic center for the disabled

  • Park, Chang-hyun;Kim, Seungoh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16권4호
    • /
    • pp.283-288
    • /
    • 2016
  • Background: Sevoflurane sedation in pediatric and disabled patients has the advantage of faster induction and recovery compared to general anesthesia, as well as minimum influence on the respiratory and cardiovascular functions, and airway protective reflexe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clinical efficacy of sevoflurane sedation used in dental treatment at one provincial dental clinic center for the disabled. Methods: We investigated patients' gender, age, reasons for undergoing sedation, medication history prior to treatment, duration of anesthesia, treatment length, type of treatment, and yearly patterns, for 387 cases of dental treatment performed using sevoflurane sedation from January 2013 to October 2016. Results: We analyzed 387 cases (215 male patients, 172 female patients). Male patients aged 20 year or older accounted for 39.0% of all patients, marking the highest proportion. Patient's lack of cooperation was the most common reason for performing dental sedation. Prosthetic treatment was the most frequently practiced, accounting for 174 treatment cases. The mean lengths of the entire treatment and of the dental procedure were 55.2 min and 39.8 min, respectively. Conclusions: Sevoflurane sedation has the advantage of fast anesthesia induction and recovery compared to general anesthesia; therefore, it can be used efficiently to induce anesthesia in pediatric and disabled patients during short dental procedures, enabling stable treatment of these patients.

도서관 장애인서비스에 대한 장애유형별 이용자 핵심요구 연구 (A Study on Disabled Users' Core Needs According to the Types of Disorders for Library Service)

  • 강지혜;차성종;배경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173-191
    • /
    • 2018
  • 지난 10년간 국내 도서관계에서는 도서관의 장애인서비스 관련 환경이 크게 개선되었다. 관련 법안이 마련되고, 시설과 설비가 확대되고, 관련 장서와 프로그램의 수가 증가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장애인의 도서관 이용 비율이 증가추세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를 분석하여 장애유형별 이용 요구를 분석하였으며, 이용자 면담과 전문가 델파이 연구를 통해 이용자들의 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핵심요구를 파악하였다. 이용자들은 자원의 양적 확대와 함께 질적 확대, 개별화된 서비스와 프로그램 제공, 시설 편의성 증대, 웹과 어플리케이션의 접근성 향상, 전문적인 인력 배치 등을 요구하였다.

장애인 자립생활의 구성요인 중 자기결정권과 역량강화가 공동체관계 및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Of the Factors Organizing Independent Living of the Disabled, the Effect of Self-Determination Right and Empowerment on the Community Relation and Productivity)

  • 이채식
    • 재활복지
    • /
    • 제17권4호
    • /
    • pp.221-244
    • /
    • 2013
  • 본 연구는 중증장애인을 대상으로 자립생활의 구성요인 중 자기결정권과 역량강화가 공동체 관계 및 생산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012년 5월부터 7월까지 약2개월에 걸쳐 장애인자립생활센터 및 인권센터 이용 장애인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장애인의 자기결정권 수준은 연령, 학력, 배우자 유무, 수급 여부, 월소득 유무, 거주형태, 장애 발생시기, 장애등급 등의 변인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역량강화 수준에서는 학력과 장애등급 등의 변인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인의 공동체관계 형성 수준은 연령, 학력, 배우자 유무, 거주형태, 장애 발생시기, 장애등급 등의 변인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생산성 수준에서는 학력, 배우자 유무, 수급 여부, 월소득 유무, 중복장애 여부, 장애등급 등의 변인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인의 자기결정권과 역량강화가 공동체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자기결정권, 역량강화 변인 모두 장애인들의 공동체관계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장애인의 자기결정권과 역량강화가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역량강화 변인만이 장애인들의 생산성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장애인의 공동체관계 및 생산성을 높여 자립생활을 영위해나가기 위해서는 자기결정권과 역량강화가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위해서는 사회복지실천 및 재활과정에서 자기결정권 및 역량강화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와 관련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활성화 시켜나가야 할 것이다.

포괄적 주택개념에 기초한 장애인 및 노인주거 계획요소 (Planning Factor of the Housing for the Disabled and Aged based on the Inclusive Housing)

  • 김민경;남윤옥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57-68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planning factors of housing for the disabled and elderly based on the inclusive housing design as sustainable neighborhood. The goal of inclusive design is to make buildings and communities more livable for all type of people. Inclusive design should embrace other good design goals and reinforce them, not work against them. To carry out this purpose, we should proceed in the following way: First, we deducted the four design factors (the basic, recommendable, adaptable, and residential factors) by reviewing the characteristics of inclusive housing concepts. Second, we analyzed the related foreign design standards and guidelines such as the ICC/ANSI A117.1 Type C Units (the United States, 2009), Lifetime Standard (the United Kingdom, 2010), and Livable Housing Design Guideline (the Australian, 2010) through four design factors based on inclusive design concepts. Finally, we suggested the housing design factors for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in Korea. To conclude, we can make the followings: It is important basic factor that the bedroom and bathroom layout closed to each other. Also, the bedroom has the proper height of light switches, outlets, and windows. The recommendable factors take into consideration stairs and ramp, if existent. The adaptable factors are closely related to domestic housing culture as well as residential factors. Proceeding from this fact, the livability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older requires accessibility and adaptability that take into account public and efficiency considering the current trend of housing development and urban planning.

장애인 고용기업체의 임금 격차 기여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tributing factors of wage inequality in employment compan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 최윤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207-216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고용기업체 간 임금 격차 기여요인 분석을 통하여 장애인 노동자의 임금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2018년 기업체 장애인 고용실태조사』의 원자료 중 주요 변수에 결측이 발생한 케이스를 제외한 3,546건이며, SPSS 25와 STATA 14를 이용하여 장애인 고용기업체 간 임금 불평등 분해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장애인 고용기업체의 임금 격차에 기여하는 요인은 '교육수준' 12.63%, '자산' 6.37%, '직무숙련 정도' 4.87%, '여성고용비율' 3.30%, '판매이익' 2.33%, '장애인 노동자 대상 교육 및 훈련 실시' 1.19%, '노동조합가입률' 0.67%, '직장유형' 0.42%, '평균 근로시간' 0.41%, '장애인의 작업 수준에 대한 인식' 0.34%, '장애인 고용이 기업에 도움이 된다는 인식' 0.23%, '장애인 고용비용에 대한 긍정적 인식' 0.1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장애인 노동자에게 적절한 임금이 제공되기 위한 장애인 고용기업 차원과 사회적 차원, 장애인 노동자 차원에서의 접근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