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abled children

검색결과 313건 처리시간 0.028초

About the Necessity for Development of Autonomous Mobility Device for Children with Severe Developmental Retardation

  • Matsuo, Kiyomi;Murata, Tomoyuki;Koga, Takanori;Kubo, Atsuko;Yoshida, Yuichi;Karakawa, Yosuke;Kawaguchi, Hiroshi;Tanaka, Toru;Masaki, Jun;Taketomi, Toshikatsu;Kitajima, Takeo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2권1호
    • /
    • pp.1-4
    • /
    • 2009
  • In this paper, I will report the cases of children who are able to study at kindergarten or elementary school because they learned how to move by themselves using a moving aid before school age, and I will also discuss the development of a mobility device which allows severely disabled preschoolers to practice moving around by themselves safely and easily at home and institutions.

  • PDF

Research & Development of System Furniture for Children by Ilgumte

  • Rim, Kwang-Soon;Kang, Myung-Sun;Cho, Sook-Kyung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13-221
    • /
    • 2009
  • This study aimed at developing furniture for children by Ilgumte which is an expert manufacturer of educational equipments for school and kindergarten and the aim of this investigation is to develop the child-oriented furniture in consideration of Ilgumte's characteristic as a company composed of the disabled people, and furthermore to create a new sales market by developing own technology to improve competitive power. The current status of the child furniture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market was researched and design concept on basis of this analysis was set, and through the designing process the new items of furniture having characteristics as follows were developed. First, the simple production way for the disabled to be able to work was selected and plywood used mainly by Ilgumte was presented as main material. Second, moving course, space and storage function were maximum considered, so that children feel convenient at using the furniture in their space, in case of playing as well as leaning. Third, natural wooden texture was mostly reflected for the emotional aspects of children and pink color played a role as partial accents. Finally, difficult production skill and expensive material were excluded for cost down.

  • PDF

통합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Recognition and Attitud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Integrated Education)

  • 이정숙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8권1호
    • /
    • pp.5-29
    • /
    • 2006
  • 본 연구는 통합교육의 주체인 유아교사의 개인적인 변인들이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양을 분석하여 향후 장애유아 통합교육의 성공적이고 올바른 구현을 위한 기본전략 구상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어린이집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교사경력, 직급, 학력, 통합교육, 경험, 장애관련 연수의 개인적인 변인들이 통합교육에 대안 교사의 인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교사 개인적인 변인들은 인식과 태도의 각 하위영역별로 각기 다른 차이와 영향강도를 보이고 있으나, 통합교육 경험과 장애관련 연수경험이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교사들의 현직교육을 활성화하여 장애관련 연수나 통합교육에 관한 실습 등을 실시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장애아 모의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Stress of Mothers of Disabled Children)

  • 오세란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46권
    • /
    • pp.263-289
    • /
    • 2001
  • Many studies have shown that the parents of developmentally disabled children are adversely affected by the experience of raising a child of this type. However, the range of reactions to parenting a handicapped child is quite varied and is presumably affected by a wide variety of variables. This study examined a number of demographic and psychosocial variables to determine which particular combination could best predict the current level of stress and coping behavior of mothers. Among predictor variables, marital satisfaction and dysfunctional attitude are variables that I am particularly interested in which can mediate parental stress. Five variables are found to be related to the stress of mothers, that is, level of disability, level of needed help, marital satisfaction, type of disability, father's education level. Also variables that affect four different types of stress (which are four factors of QRS-F) are analysed and the results presented. Among these variables, some are pre-determined and some are intervenable. We should make an effort to make changes in those intervenable variables such as marital satisfaction, beliefs and attitude about disability, and level of needed help. In future research we need to search and clarify the beliefs and attitude that help mothers adjust to a life with a disabled child. Also governmental support and policy making to reduce the burden of these mothers should be accompanied as well.

  • PDF

장애아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만화콘텐츠 제작에 관한 연구: 전조작기 단계의 경도 정신지체 아동을 중심으로 (A study on producing cartoon contents for culture and art education for disabled children: Focusing on mild mentally retarded children on stage of pre-operational period)

  • 이꽃송이;김재웅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20호
    • /
    • pp.141-157
    • /
    • 2010
  • 장애아의 문화예술교육은 매우 중요한 활동임에도 불구하고 '장애유형과 수준에 맞는 지도방법 및 프로그램 부재'로 최근까지도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만화콘텐츠는 지적 장애아의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가장 적절한 교구로서 활용될 수 있다. 만화콘텐츠의 오락적 기능과 장르적 특성은 대상 아동이 보다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동기를 유발하고 흥미로운 활동을 위한 교구로서 기능할 수 있다. 물론 일반아동을 대상으로 제작된 만화콘텐츠를 특수교육현장에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으므로 대상 아동에게 적절한 콘텐츠를 개발해야 한다. 만화 해독 능력에 관하여 조형요소 인지, 문자와 기호 인지, 연상과 사고력 등 세 가지 측면으로 살펴본 결과, 연구 대상 아동인 전조작기 수준의 경도정신지체 아동은 그 수준에 맞게 제공된 콘텐츠에 대하여 단순화, 상징화된 만화의 이미지를 실사 이미지보다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것이며, 문자와 이미지가 서로 의미를 보완하는 만화의 특성은 문자와 기호의 인지를 더욱 용이하게 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연상과 사고력 또한 대상 아동의 기억 한계 내에서 구성할 경우 만화의 칸 전개 유형 중 대부분 형태의 연상활동이 가능하였다. 만화의 구성에 있어 주제와 소재는 전조작기 수준의 아동이 이해할 수 있으며, 생활연령 8~13세가 흥미를 유발할 수 있어야 하며, 작품의 분량은 일반아동을 대상으로 한 만화보다 적은 분량으로 수준에 맞게 계획하도록 한다. 문자와 기호가 작품 내에서 보조적인 역할만 하도록 분량 제한하고, 만화 이미지의 스타일 표현과 페이지의 칸 구성 등은 대상아동의 특성과 장애의 정도를 고려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가 교육현장에 기여하려면 다양한 만화콘텐츠 제작이 시도되어 장애 유형별 개념과 정서 및 사회 행동적 특성, 인지와 학업성취 능력, 언어 및 신체 건강 특성을 고려한 만화콘텐츠 제작의 구체적 지침을 만들어 내는 것이 필요하며, 개발된 만화콘텐츠가 피상적인 결과물에 머물지 않도록 적용성을 높이기 위해 개발 과정에서 수업 적용 등 대상 아동과 충분한 의사소통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장애 아동 및 청소년에게 가상현실(VR) 기반 작업치료 중재가 미치는 영향: 체계적 고찰 (Effect of Virtual Reality-based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s for Disabled Children and Adolescents: A Systematic Review)

  • 김만제;길영숙;강셋별;이재신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4-46
    • /
    • 2023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 아동 및 청소년에게 적용한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기반 작업치료 중재의 효과와 적용 방법에 대해서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12년 1월부터 2022년 8월까지 RISS, DBpia, KCI, Science direct, CINAHL MEDLINE에서 문헌을 검색하였다. 주요 검색용어로 '가상현실', '작업치료', '아동', '청소년', 'Virtual Reality', 'Occupational Therapy', 'Child', 'Adolescent'을 사용하였다. PRISMA의 Flowchart 4단계를 거쳐 총 16편의 문헌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결과 : 선정된 16편의 연구에서 장애 아동 및 청소년에게 사용된 VR 기반 작업치료 중재가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중재 대상자는 뇌성마비 유형 중 편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효과 측정에 사용된 평가도구는 일상생활활동, 인지, 운동기술, 사회적-상호작용기술, 시-지각 평가이었다. 중재 도구로는 Nintendo Wii와 Microsoft Kinect가 운동기술 및 일상생활 향상을 위하여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결론 : 본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에는 장애 아동 및 청소년의 진단과 중재목적에 맞는 VR 도구 선택과 구체적인 방법의 제시를 통하여 VR중재가 임상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장애아동 양육을 위한 어머니의 건강관련 교육요구 (Health Education Needs of Mothers who are Caring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 한영란;이명희;방미란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2권1호
    • /
    • pp.44-56
    • /
    • 200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health education needs of mothers who are nurtur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Method: A descriptive study was done and the participants were 108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such being mentally challenged, developmentally delayed or having a disability involving brain damage. The questionnaire was a health education need assessment with 11 categories(58 items) developed by Han et al.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program. Results: The mean score for health education needs of the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3.83 (SD=0.58) out of a maximum 5. The health education need for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had the highest score (4.40±0.54) followed by health education needs for cognitive development and learning (4.31±0.64), interpersonal relationships (4.04±0.65) and behavior and emotion (4.04±0.79).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hildren's sex (t=2.08, p=.04), birth order (t=2.17, p=.03), grade of disability (F=3.32, p=.02) and sex education suitable to the child's in age. Conclusion: The health education needs of mothers of children who are disabled were very high and varied. Therefore, it was important to develop comprehensive education programs which include this content and provide opportunities for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o receive this education.

  • PDF

지적장애 부모를 둔 비장애 청소년의 삶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Qualitative Case Study on Life of non-disabled Adolescent of Par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 강승원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8권3호
    • /
    • pp.73-103
    • /
    • 2016
  • 본 연구는 지적장애 부모를 둔 비장애 청소년들의 삶의 모습과 그들의 삶 속에서 드러난 어려움은 무엇인지 심층적으로 살펴보고, 이에 대한 사회복지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4년 1월부터 5월까지 청소년 5명을 중심으로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사례 내 분석과 사례 간 분석을 하였으며, 연구결과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매 단계마다 엄격성을 확보하였다. 분석결과는 크게 '비장애 청소년의 성장이야기', '비장애 청소년의 세상살이 이야기'로 분석하였으며, '공부를 하라는 가족이 전혀 없음', '학업 성취감을 알아가며 앞으로 나아감', '나만의 공간으로 숨어버림', '일찍 어른이 되어버림', '다른 부모, 같은 사랑', '가족의 가족이 나를 키움', '나를 그대로 받아들여주는 친구가 있음', '가난한 생활에 짓눌려 살아옴', '힘듦과 힘냄의 양날에 서있음'으로 범주화 하였다. 분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지평을 넓히고, 가족의 장애이해, 부모역할훈련프로그램과 사례관리 등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실태조사와 경제적 지원을 위한 수당제도 등 정책적 방안을 함께 제시하였다.

  • PDF

Application of sevoflurane inhalation sedation in dental treatment: a mini review

  • Kim, Keoungah;Kim, Seungoh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21권4호
    • /
    • pp.321-327
    • /
    • 2021
  • Sevoflurane is familiar to anesthesiologists as an inhaled anesthetic to induce and maintain anesthesia; however, it has not been widely used for sedation. Recently, the use of sevoflurane for inhalational sedation has been increasing. Moreover, in Korea, the use of sevoflurane for conscious or deep sedation in dental care for children and the disabled is increasing, primarily by dental anesthesiologists. In this article, we reviewed a sedation method using sevoflurane.

지체장애인의 편의증진을 위한 동사무소 물리적 환경 분석 및 개선방안 (An analysis of the Physical Features for the disabled of Civic Service Offices in the City of Daegu)

  • 이정훈;김현주;김성화;최무혁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5권2호
    • /
    • pp.108-117
    • /
    • 2006
  • This study is to promote barrier-free environment to accommodate the request and the need for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of disabled people including pregnant women, children and the elderly in using civic service offices which are supposed to play a role as community centers. This study researches the current state of facilities for convenience and analyzes the result according to the type of reasons which prevent disabled persons to get the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for the information as well as the facilities. Sample cases are 15 civic service offices which are newly built after 1998 in the city of Daegu. There are found three types of problems about convenient facilities, which are the first cases with facilities not installed, the second cases with facilities not properly installed according to the rule, and the third cases with facilities installed properly according to the rule but inconvenient for the actual use. This study proposes a more critical process for the building permit to promote the rate of proper installation of convenience facilities, and the supplementary law with more specific regulations to improve the physical environment for the actual use of physically disabled peop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