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pping treatment

검색결과 211건 처리시간 0.031초

감자 주식화(主食化)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2보(第2報))-감자쌀의 변색방지(變色防止) 및 안정성(安定性)에 관(關)하여- (Studies on White Potato Processing for Mixed Cooking with Rice as Main Dish (PartII)-Polyphenol oxidase inactivation and safety of treated potato granules-)

  • 김재욱;조성환;여영근;김형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0권1호
    • /
    • pp.43-57
    • /
    • 1977
  • 일반 생산농가에서 감자를 주식으로 혼취할 수 있는 감자쌀로 제조하기 위하여 감자의 변색방지처리법, 위생상의 안전성을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1. 변색방지처리법에서는 열탕 blanching처리법은 $3{\sim}6$분 정도의 처리로 색갈이 좋아 실용성이 있었고 열수침지법은 변색방지 효과가 적고 염수가 열 처리법은 $6{\sim}10$분 처리로서 색갈은 좋아지나 실용성이 없었다. 염산침지법은 0.1N농도로 4분이상처리 한 것 부터 0.5N이하의 농도에서 침지처리한 것 까지는 어느정도 실용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염산가열처리법은 $0.04{\sim}0.06N$의 염산용액농도에서 $3{\sim}5$분간 처리하면 실용성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메타중아황산칼륨용액침지법은 0.05%의 농도로 50분이상, 0.06%의 농도로 40분이상 0.065%의 농도면 어느 시간처리에서나 그 감자쌀은 윤기가 없으나 이것으로 취반을 하면 색갈 및 변색기호도가 좋게 되어 실용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메타중아황산칼륨 용액침지가열법은 0.01%의 농도에서 30분이상 침지처리하여 가열처리하면 실용성이 있게 기호도가 높았다. 2. 위생상의 안전성검토에서는 메타중아황산칼륨용액침지처리구에서 아황산가스의 함량이 식품위생법상의 한계량이내에 있어 안전하였으며 메타중아황산칼침용액 침지가열처리는 0.01%농도에서의 전침지와 $2{\sim}6$분 가열처리, 그리고 0.03%농도에서 30분 침지와 4분이내의 가열처리만이 식품위생법상의 한계량을 초과하지 않아 안전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변색방지처리에서 감자쌀 및 감자쌀밥의 색갈, 백도변색기호도와 메타중아황산칼륨처리에서의 식품위생상의 안전성을 고려한 실용성 있는 방법으로는 $3{\sim}6$분간의 열탕 blanching처리, 0.1N HCI에서 $4{\sim}5$분간 또는 0.5N HCl에서 $1{\sim}5$분간의 염산침지처리 그리고 $0.04{\sim}0.06N$ HCI에서 $3{\sim}5$분간 염산가열처리, $0.05{\sim}0.065%$의 메타중아황산칼륨침지처리 그리고 0.01%의 메타중아황산칼륨용액에 가열처리하는 것을 들 수 있다.

  • PDF

Indole-3-butyric acid(IBA) 침지처리에 의한 highbush blueberry 'Duke', 'Elizabeth', 'Elliot' (Vaccinium corymbosum L.)의 녹지삽목 발근 촉진 (Promoted rooting of softwood cuttings of highbush blueberry 'Duke', 'Elizabeth', 'Elliot' (Vaccinium corymbosum L.) as affected by indole-3-butyric acid(IBA) dipping treatment)

  • 강성구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7권1호
    • /
    • pp.145-155
    • /
    • 2015
  • 간이 녹지삽목시설의 실용성과 발근촉진제 IBA의 발근촉진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북부 highbush blueberry 3품종 'Duke', 'Elizabeth', 'Elliot'를 공시하여 IBA 100ppm, 300ppm, 500ppm, 1,000ppm의 2시간 처리와 3,000ppm 20초 침지처리를 실시한 후 발근특성을 조사하였다. 분산분석에 의한 요인분석 결과, 발근율과 근계지수에 품종효과가 있었으며 발근율, 최대근장, 근계지수에서 IBA의 처리효과도 관찰되었다. 특히 근계지수에서 고도의 유의성 있는 처리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두 요인의 상호작용은 없었다. 무처리구에서 'Duke'의 발근율은 45%, 'Elizabeth'와 'Elliot'는 각각 90%와 85%로 품종간 차이가 있었으며 3품종 모두 고농도 20초 처리와 저농도 2시간 처리구에 의하여 발근이 촉진되었다. 그러나 무처리의 발근율이 낮았던 'Duke'의 발근촉진효과가 다른 두 품종에 비해 현저하였다.

액상 침적에 의한 Monel 400기지상에 형성된 Al-Cu 합금 코팅층의 조직 및 경도 (Microstructure and Hardness of Al-Cu Alloy Coating on Monel 400 by Hot Dipping)

  • 조선욱;이임렬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78-285
    • /
    • 1996
  • The structure of coating layer formed by hot dip Al-Cu alloy coating on Monel 1400 metal was studied. The coating layer consists of alloyed layer adjacent to the Monel 400 substrate and Al-Cu alloy. It was found that the hardness of coating increased with dipping time and heat treatment associated with the diffusion and the formation of intermetallic compound at the interface. However the thickness of coating layer was decreased at high dipping temperature due to tile higher viscosity of liquid coating alloy. Diffusion heat treatment at $600^{\circ}C$ after coating resulted in the disappearence of adhered Al(Cu) and $CuAl_2$ phases, and then they transformed into the new phases of CuAl and Al7Cu4Ni at coating layer.

  • PDF

포도 '캠벨얼리'에서 GA3의 침지 시기와 농도에 의한 화수(花穗)생장 및 과실품질 (Effects of GA3 Dipping of Time and Concentration on the Rachis Growth and Fruit Quality in 'Campbell Early' Grapevine)

  • 문병우;이영철;남기웅;문영지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6권1호
    • /
    • pp.55-66
    • /
    • 2014
  • '캠벨얼리' 포도에서 적립의 노동력을 절약하기 위하여 GA3를 침지 시기를 달리하여 농도별로 처리하여 화수 생장 및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GA3 침지처리에 의한 화수의 생장은 개화 5일 전 처리는 억제시켰으며 만개기 및 만개 5일 후 처리는 촉진시켰다. GA3 5, 10, 20 mg·L-1 개화 5일 전 처리는 화수가 뒤틀리는 약해증상이 보였으며 만개기 및 만개 20일 후 처리에서는 미미한 약해를 나타내었다. GA3 농도는 화수 생장을 촉진시키고 약해가 없는 5, 10 mg·L-1 침지 처리가 효과적이라 생각되었다. 과립의 밀착 정도, 착색, 가용성고형물, 산 함량에는 처리 간 차이는 없었다. 과립중은 무처리와 비교하여 개화 5일전 처리에서 감소하였으나 만개기 및 만개 5일 후 처리에는 차이가 없었다. 과립의 열과 발생률은 개화 5일 전 20 mg·L-1 처리 및 만개 5일 후 전 농도에서 증가하였으나, 과립의 탄저병 발생률은 큰 차이가 없었다. 과방내 총 지경장은 만개기 및 만개 5일 후 GA3 침지 처리에 의해 증가하였다. 지경 순서에 의한 1번째 부터 20번째 지경까지 지경 생장은 만개기 및 만개 20일 후 처리에서 전체적으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GA3 5 mg·L-1 용액을 만개기에서 만개 5일 후까지 침지 처리시 화수 생장을 촉진시킬 것으로 생각되었다.

묘삼경의 근형성에 미치는 식물 생장 조절물질의 영향 (Effects of Phytohormone on the Root Formation of Stem Cuttings in Panax ginseng C.A. Meyer)

  • 최광태;양덕춘;양덕조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9권1호
    • /
    • pp.42-53
    • /
    • 198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 about the large scale propagation of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Therefore, the stem cuttings of 1-year old ginseng, tre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plant growth regulators for 5 seconds (quick dipping) and 24 hours (prolonged soaking), were cultured. The root formation of stem cuttings was varied with the concentrations, kinds, and treatment methods of plant growth regulators. Besides normal-looking roots various malformed roots were observed. In the prolonged soaking method, the culture of stem cuttings, treated with 10 ppm of IBA or NAA, resulted in profuse root regeneration. And stem cuttings, in quick dipping method, treated with 2000 ppm of IBA or NAA resulted in more excellent root regeneration. In general, IBA was more vigorous for the root formation than NAA, The treatment with 50 ppm kinetin or 100 ppm BA brought good result for the retardation of senescence of stem cuttings and BA treatment was more effective than kinetin. As for the saponin content of roots derived from stem cutting culture, the roots, formed by non-treatment of growth regulators, were higher in saponin content than those formed by treatment of growth regulators.

  • PDF

'캠벨얼리' 포도의 화수(花穗) 생장과 과실품질에 미치는 GA3의 영향 (Effects of GA3 Dipping Treatment on the Spike Growth and Fruit Quality at Harvest of 'Campbell Early' Grapevine)

  • 이영철;문병우;남기웅;문영지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5권1호
    • /
    • pp.85-93
    • /
    • 2013
  • 수확 시 과방의 생장(과방중, 과방장, 과방폭, 과병의 직경크기, 과병장)은 무처리에 비하여 GA3 10 mg·L-1 처리가 증가되었다. GA3 농도별 과립의 생장 (과립수, 과립중, 과립경, 과립장)은 차이가 없었으나 지경중은 무처리에 비하여 GA3 5, 10, 20, mg·L-1 처리 농도에서 증가되었다. 그러나 GA3 40 mg·L-1 처리는 차이가 없었다. 과립의 밀착정도, 과분 발생 정도, 가용성고형물 및 과피의 착색 정도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무핵 정도는 GA3 10 mg·L-1 처리에서 다른 처리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과립의 열과 발생률은 무처리에 비하여 GA3 농도 5, 10, 20, 40 mg·L-1에서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과립의 탄저병 발생률은 큰 차이가 없었다. 과방당 총 지경장은 무처리, 20 및 40 mg·L-1 처리에 비하여 5 및 10 mg·L-1처리에서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지경 순서에 의한 1번 지경부터 15번 지경까지 지경장은 GA3 10 mg·L-1 처리는 증가하였다.

유치원 급식으로 이용되는 알팔파 새싹채소의 소독방법에 따른 미생물제어 효과 (Effect of Microbial Control on Alfalfa Sprout Vegetable by Depending on Sanitization Method in Kindergarten Foodservice)

  • 우수희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109-117
    • /
    • 2016
  • Purpose : This study was designed to provide basic data of effective sanitization method of sprout vegetable for microbiological safety. Methods : Sanitization treatments were performed by dipping the sprout into chlorine and vinegar water. Microbial analysis were composed of the total plate count(TPC) and coliform group count(CGC). Result : Among chlorine water sanitization, the microbial reduction was largest in 100ppm chlorine water, and its TPC and coliform group count decreased to 6.01 log CFU/g and 5.06 log CFU/g. The effective dipping time in 100ppm chlorine water treatment was 5.97 log CFU/g and 5.91 log CFU/g for 30min and 60min, in which TPC were below the microbiological safety limits of 6.00 log CFU/g. Coliform group counts were decreased to 5.44, 5.46, 5.42 log CFU/g in the dipping the spouts for 30min, 60min and 90min. As a result of sanitizing alfalfa spout by vinegar water, a microbial counts tended to decrease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and the dipping time. The effective concentration of vinegar water was 2% for TPC(6.00 log CFU/g) and 1% for coliform group count(5.20 log CFU/g). With 1% vinegar water treatment, TPC became below the microbiological safety limits in all samples and in particular, the sample treated for 60min and 90min(4.93, 4.54 log CFU/g). While coliform group counts were decreased to 3.91 log CFU/g in the dipping the sprouts for 90min, those were still beyond the permitted limit. Conclusion : To secure the food safety of food service facilities including kindergarten feeding, it is considered that along with the systematic study of effective disinfection method for microbiological control at the preconditioning level of spout vegetable within the range of secured maleficence to human body, and the study regarding the measures to lower the initial microbiological pollution of spout vegetable.

큰밤고치벌(Microplites mediator)에 대한 저독성 약제 선발 (Selection of Low Toxic Pesticides to Microplites mediator)

  • 최병렬;권민;이시우;박형만
    • 농약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77-183
    • /
    • 2008
  • 고랭지배추 재배지에 발생하는 나방류 해충의 종합적 관리를 위해 생물적방제와 화학적방제의 조화로운 사용에 의한, 배추 재배 시 사용되는 약제 중, 배추좀나방의 천적인 큰밤고치벌(Microplites mediator)에 대해 저독성을 보이는 약제를 선발하였다. 큰밤고치벌에 대한 저독성 약제 선발 방법으로 분무법(Spraying method), 잎침지처리법(Leaf dipping method) 및 충체침지처리법(Body dipping method)을 확립하였다. 배추에 등록되어 있는 주요 살충제 31종을 추천농도로 희석한 후 큰밤고치벌 성충을 충체침지처리한 결과 16종이 저독성 약제로 선발되었으며, 배추에 등록된 살균제 및 제초제 15종은 큰밤고치벌(Microplites mediator) 성충에 모두 독성이 낮았다.

Crystallization and In-plane Alignment Behavior of Pb(Zr, Ti)$O_3$ Films

  • Hwang, Kyu-Seog;Kim, Byung-Hoon
    • The Korean Journal of Ceramics
    • /
    • 제3권3호
    • /
    • pp.191-194
    • /
    • 1997
  • Epitaxial Pb(Zr, Ti)O3(PZT) thin films were prepared on MgO(100) substrates by dipping-pyrolysis (DP) process using metal naphthenates as starting materials, and effects of pyrolysis and final heat-treatment conditions on the film's orientation were investigated. Solid-state epitaxial growth of PZT proceeds at lower temperature around 650℃ from the precursor pyrolyzed at 350 and 500℃. The in-plane alignment of the PZT films depends not only on the final heat-treatment temperature but on the pyrolysis conditions; the films, pyrolyzed at a higher temperature for a short time, i.e., at 500℃ for 10 min, exhibited stronger orientation after the same final heat treatment at 650°∼750℃. The PZT films with the strongest orientation were prepared by pyrolysis under the above conditions followed by final heat treatment at 750℃.

  • PDF

포도 '캠벨얼리'의 지베렐린 처리에 의한 적립 노력 절감 및 과실 품질 (Effects of Gibberellin Treatment on the Berry Thinning Labor-save and Fruit Quality of 'Campbell Early' Grapevine)

  • 문병우;문영지;이영철;남기웅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7권1호
    • /
    • pp.133-144
    • /
    • 2015
  • 포도 '캠벨얼리'에서 적립의 노동력을 절감하기 위한 지베렐린(GA3)의 처리 방법, 적정농도 및 처리시기를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지베렐린 처리에 의한 적립의 노동력은 만개 5일 전 40ppm, 만개기 10, 20, 40ppm에서 14.27~19.15 분/주 절약 할 수 있었다. GA3 40ppm 과방 침지는 탄립현상이 심하게 나타났으며 가용성고형물이 감소하여 실용화에는 문제가 있었다. GA3 처리에 의한 적립의 노동력 절감은 만개기 GA3 10 및 20ppm 과방 침지 처리에서 가장 좋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