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pping time

검색결과 196건 처리시간 0.03초

식물 엽록소와 고분자 나노섬유를 이용한 광합성 나노섬유복합막의 제조 (Preparation of Photosynthesis Nanofiber Composite Membrane by Using Chlorophyll and Polymer Nanofiber)

  • 윤재한;장원기;변홍식
    • 멤브레인
    • /
    • 제25권1호
    • /
    • pp.75-83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우리 주위에서 흔히 채취할 수 있는 식물을 이용하여 엽록체를 추출하고, 이를 다양한 방법으로 PP부직포 위에 도포하여 복합막을 제작하였으며, 산소 발생여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제조된 엽록체의 도입 방법에 따른 실험에서, 딥(dipping) 코팅법과 스프레이(spraying) 코팅법을 이용하였으며, 밀폐된 용기와 진공오븐 내 초를 이용한 연소 시험 모두에서 스프레이 코팅이 비교적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엽록체의 활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nylon6/6 나노섬유를 PP부직포 위에 전기방사하여 복합지지체를 제조한 후, 엽록체를 도입하여 제조한 샘플의 경우, 나노섬유가 도입되지 않은 샘플에 비해 낮은 활성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iO_2$가 포함된 샘플들의 경우, 포함되지 않은 샘플들에 비해 엽록체 함량이 50%가 도입되었지만, 16%에서 21%까지 도달되는 시간과 초를 이용한 연소실험에서 각각 유사한 결과값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도입된 스프레이 코팅법과 $TiO_2$ 접목은 산소발생용 분리막 및 공기청정기용 필터소재로의 응용에 대한 기초연구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분자량을 달리한 Chitosan 침지처리가 한우육의 저온저장 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itosan Dipping Treatments with Different Molecular Weights on the Meat Quality of Hanwoo(Korean Cattle) Beef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김용선;양성운;김혜정;이성기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7
    • /
    • 2004
  • 분자량을 달리한 chitosan 침지처리가 한우육의 저온저장 중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50 kDa과 600kDa의 분자량을 갖는 chitosan을 1% acetic acid에 0.5%씩을 용해하고 pH를 5.5로 조정한 후 한우육의 우둔부위를 5분간 침지시킨 후 $1^{\circ}C$에서 저장하면서 실험하였다. 실험결과, pH는 chitosan(600 kDa)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명도(L*)는 저장 3일까지는 chitosan(600 kDa)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으나, 6일 이후부터는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적색도의 경우는 저장 전에는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12일 저장시에는 chitosan(150 kDa)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적색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chitosan(600 kDa)처리구에서 저장 시 표면에 생성되는 metmyoglobin(%)의 함량은 유의적으로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p<0.05). 또한 저장기간을 결정할 수 있는 육표면에서의 총균수 실험결과는 저장 전에는 chitosan(600 kDa)처리구가 가장 낮은 총균수를 보였으나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chitosan(150 kDa)처리구가 chitosan (600 kDa)처리구보다 항균효과가 더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여 저장 안정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전단력은 전체적으로 다른 처리구에 비해 chitosan(150 kDa)처리구가 유의적으로(p<0.05) 낮은 값을 보여 연도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침지처리시 chitosan의 분자량이 한우육의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사료된다.

무 시들음병에 대한 간편한 대량 저항성 검정법 개발 (Development of an Efficient Mass-screening Method for Testing the Resistance of Radish to Fusarium Wilt)

  • 이지현;장경수;최용호;김헌;최경자
    • 식물병연구
    • /
    • 제22권3호
    • /
    • pp.152-157
    • /
    • 2016
  • 무 시들음병 저항성 검정에는 대부분 뿌리 침지(root-dipping) 접종 방법을 사용하고 있지만, 이 방법은 복잡한 접종 과정 때문에 많은 노동력과 시간이 소요된다. 본 연구는 F. oxysporum f. sp. raphani에 의해 발생하는 무 시들음병의 간편 대량 저항성 검정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간편 저항성 검정법을 개발하기 위해 scalpel 접종 방법, 접종 농도 및 생장 단계에 따른 무 감수성 및 저항성 품종의 시들음병 발생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로부터 무 시들음병 대량 검정을 위한 효율적인 간편 저항성 검정방법으로 14일 동안 재배된 유묘에 scalpel을 사용하여 지제부에서 0.5 cm 떨어진 곳에서 $90^{\circ}$ 각도 2 cm 깊이로 찔러서 뿌리에 상처를 주고 포자현탁액($1.0{\times}10^7conidia/ml$)을 10 ml씩 관주하여 접종하고 $25^{\circ}C$에서 하루 12시간씩 광을 조사하면서 약 4주간 재배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생각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확립한 접종방법은 대량의 무 시료로부터 시들음병에 대한 저항성 개체를 효과적으로 선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옥천대(沃川帶)의 지질(地質) 및 광물자원(鑛物資源)에 관(關)한 연구(硏究) -평창(平昌)~주천지역(酒泉地域)에 있어서의 광화작용(鑛化作用)- (Geology and Mineral Resources of the Ogcheon Zone: Mineralization in the Pyeongchang-Jucheon Area, Kangwon-Do, Korea)

  • 윤석규;소칠섭;김규한
    • 자원환경지질
    • /
    • 제19권1호
    • /
    • pp.1-18
    • /
    • 1986
  • A group of 16 $Zn+Pb{\pm}Ag$ deposits distributed in the Pyeongchang-Jucheon area, Kangwon-do, South Korea, were semi-regionally investigated. These deposits are contact metasomatic and/or hydrothermal replacement types hosted in the carbonate-dominated Cambrian Machari Formation and Ordovician Ibtanri Formation, and also in the carbonate interbeds of the Precambrian argillic metasediments. Comparing some key aspects of the individual deposits, it is found that the ore deposits hosted in the Machari and Ibtanri Formations are mostly of steeply-dipping chimneys with or without skarn minerals and are rich in Ag and Pb>Zn in metal grade whereas those occuring in the carbonate interbeds of the Precambrian argillic metasediments are gently-dipping conformable lenticular orebodies mostly with skarn minerals and are generally poor in Ag and Zn>Pb. The skarn mineralization in the area appears to have occurred during the lower Cretaceous (118.7Ma) to mid-Cretaceous (107.8Ma) time assumed from the K-Ar dates of the Dowon and Pyeongchang granites which a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skarn ore deposits. The Rb/Ba/Sr ratios of these granites indicate that they are of strongly differentiated anomalous granites, and the Nb vs. Y and Rb vs. Y+Nb plots fall on the field of volcanic arc setting. The contact aureoles are zoned, giving the sequence in order of increasing distance from igneous contact: garnet-wollastonite, granet-wollastonite-clinopyroxene and garnet-clinopyroxene in such as the Pyeongchang and Yeonwol 114 areas. Electron microprobe analyses reveal that garnets and clinopyroxenes are generally low in Fe and Mn. Garnets are grossular to intermediate grandite except for those from the Ogryong exoskarn which are richer in andradite, pyrope and spessartine fractions. This indicates that the oxidation state of skarn-forming environment at Ogryong was higher than at the other deposits. Clinopyroxenes are mostly salitic except for those from the Ogryong exoskarn which involve considerable amounts of hedenbergite and johansenite fractions. The ${\delta}^{18}O$ value of Jurassic biotite granite at Ogryong is higher (+10.21‰) than that of Cretaceous one at Chodun (+8.41‰). The ${\delta}^{13}C$ values of carbonate rocks range from -0.89‰ to 0.68‰ and the ${\delta}^{18}O$ values range from +11.91‰ to + 19.34‰ indicating that these carbonate rocks are of marine origin. However, the ${\delta}^{13}C$ values of skarn calcite and vein calcite are -4.80‰ and -12.92‰, and the ${\delta}^{18}O$ values are +5.56‰ and +10.32‰,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these calcites are of hydrothermal origin. The ${\delta}^{34}S$ values of sulfide minerals range from +4.4‰ to +8.7‰ suggesting that the sulfurs are of magmatic origin.

  • PDF

단마(Dioscorea aimadoimo)의 열풍건조 시 갈변 억제 방안 연구 (Studies on the browning inhibition of yam(Dioscorea aimadoimo) during hot air dehydration)

  • 정용열;정우식;정신교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5호
    • /
    • pp.384-388
    • /
    • 1996
  • 건강식품에 대한 기호도가 높아짐에 따라 최근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단마의 열풍건조 시의 건조특성과 건조 시 갈변 억제 방법에 관해 조사하였다. 단마의 일반 성분은 수분 81.17%, 조단백질 1.43%, 조섬유 0.29%, 가용성 무질소물이 15.81%었다. 단마를 세척 박피 후 0.5 cm 두께로 세절하여 plastic tray에 박층 및 적층($4{\sim}5$겹)으로 건조온도 $50,\;65,\;80^{\circ}C$에서 중량의 변화가 없을 때까지 건조하면서 건조 중의 중량을 측정한 결과, 각 온도에서 분말화가 가능한 수분함량(18%, 습량기준)까지는 박층의 경우 10, 6, 3시간, 적층의 경우에는 12, 7, 5시간 정도의 건조시간이 요구되었다. 고온 건조 조건($80^{\circ}C$)에서의 갈변을 억제하기 위해 열풍건조 전 blanching, steam 및 가정용 전자랜지를 이용한 microwave 처리를 각각 30초, 60초간 실시한 결과, 30초간 steam 처리한 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비교적 갈변도가 적었다. Ascorbic acid, cysteine, citric acid, NaCl 등을 이용하여 각각 1000 ppm, 500 ppm의 농도에서 열풍건조 전 단마를 1분간 dipping하여 건조 분말 제품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 cysteine, citric acid, NaCl에서 갈변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틀을 두 가지 씩 조합한 복합 갈변 억제액에 dipping시에는 갈변 억제 효과가 더욱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citric acid 500 ppm, cysteine 1000 ppm 처리구가 가장 갈변 억제 효과가 뚜렷하였다.

  • PDF

양파껍질 추출물이 함유된 물간법으로 굴비 제조의 최적 조건 확립 (Determination of the Optimum Condition in Preparing Gulbi (salted and semi-dried Yellow croaker, Larimichthys polyactis) by Brine Salting with Onion Peel Extract)

  • 신미진;강성국;김선재;김정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8호
    • /
    • pp.1385-1389
    • /
    • 2004
  • 현재 대부분의 굴비제조는 마른간법을 이용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마른간법은 제조 과정 인 섞기에 있어서 조기에 상처가 발생하기도 하여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물간법을 이용하여 식염농도별(20, 30%), 온도별(5, 25, 35$^{\circ}C$), 시간별(1, 6, 12, 24 hr) 조기 중의 수분과 염도의 변화 및 미생물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물간법에 있어서 식염수의 농도가 높을수록 조기육의 탈수량도 많으며, 염장의 온도가 높을수록 식염의 조기육으로 삼투속도는 크게 나타나서 수분함량과 염도는 반비례하였다. 물간법에 있어서 식염농도 20%에서 $25^{\circ}C$, 1시간 염장 처리하면 마른간법으로 제조되어 시판되는 굴비와 유사한 수분 및 식염함량을 얻을 수 있었다. 조기육에 대한 무게 변화를 측정한 결과, 식염농도 20%에서 24시간 후 5$^{\circ}C$에서는 중량이 4% 정도 증가하고, $25^{\circ}C$에서는 변화가 없었으며, 35$^{\circ}C$에서는 7%정도 감소하였다. 반면 식염농도 30% 경우 5$^{\circ}C$에서 1%정도 중량 감소가 있었고, $25^{\circ}C$와 35$^{\circ}C$에서는 각각 9%와 13%정도 감소를 나타내었다. 조기육의 미생물수는 식염농도 20%에 침지한 것이 식염농도 30%에서보다 1 log 이상 높게 나타났고,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미생물수은 증가하였다. 침지액속의 미생물수는 조기육보다 1 log 정도 낮은 값을 보여주었다. 양파껍질추출물을 이용하여 조기에 처리한 결과 처리구가 무처리구보다 명도(L값)와 황색도(b)값이 높게 나타났고, 양파껍질추출물은 조기로부터 추출한 지방에 대하여 대조구와 비교하여 낮은 산가를 보여주었다.

On-line screening HPLC-ABTS를 이용한 땅콩새싹으로부터 Resveratrol의 생물활성 분석 (Bioactivity analysis of Resveratrol from peanut sprouts using On-line screening HPLC-ABTS)

  • 김영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4100-4105
    • /
    • 2013
  • 땅콩새싹은 많은 아시아 국가에서 오랜 시간 동안 식품으로 사용되어왔다. 그중에서 resveratrol은 항산화 및 항암 등의 생리 활성 효과가 있다. 본 연구는 resveratrol은 침적방법(추출시간 3h, $25^{\circ}C$)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그리고 on-line screening HPLC-ABTS을 사용하여 추출 효율 및 함량을 확인 하였다. 추출액은 상업용 C18 역상 고성능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이동상으로 물과 아세토나이트릴을 사용하여 선형기울기용매법으로 분리 분석을 하였다. 유속은 1.0mL/min, 주입부피는 $10{\mu}L$, 컬럼오븐 온도 $40^{\circ}C$, 파장 320nm에서 수행되었다. 실험결과, 50% 에탄올에서 resveratrol 함량이($0.310-0.346{\mu}g/mL$) 100% 물과 에탄올 조성보다 높았다. 또한 100% 물 추출물의 수율은 2.040-2.145%로 낮았다. 위의 결과 on-line HPLC-ABTS 분석은 식물추출물의 생물활성을 빠르고 특화된 강력한 기술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것은 제약 및 기능성 소재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광나무 열매 추출물을 이용한 견직물의 염색성 (Dyeability of Silk Fabrics Using Extracts of Ligustrum Japonicum Thunb Fruit)

  • 이혜선;고성미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71-76
    • /
    • 2010
  • In this study the optimum dyeing conditions and blocking effect of UV deodorization efficiency of Ligustrum japonicum Thunb were investigated. Colorants were water-extracted from Ligustrum japonicum Thunb fruit and freeze-drided to obtain colorants powder. The effects of dye concentration, dyeing temperature, dyeing time, and the number of dipping count were studied. Fastness to dry cleaning, rubbing, perspiration, and light were measured according to KS K 0644, KS K 0650, KS K 0715 and KS K 0700, respectively. In order to examine the dyeability according to dyeing conditions, reflectance of fabrics were measured by using UV/VIS spectrophotometer. The bath ratio was 1:20. Dyeing concentration was 100, 200, 300, 400 and 500% on the weight of fiber. Dyeing time was 20, 40, 60, and 80 minutes. Dyeing temperature was 20, 40, 60, 80, and $100^{\circ}C$. The infrared high pressure dying machine was used. As dyeing concentration increased, dye adsorption increased up to 400% and it slowed down. Dye uptake was increased with raising themperature up to $80^{\circ}C$ and it slowed down. Dye adsorption occurred rapidly at first 20 minutes and then it slowed down and reached almost maximum dye uptake at 60 min. Dye uptake increased by repeated dyeing.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optimum dyeing condition is 400%(o.w.f.), $80^{\circ}C$, 60 min. And repeated dyeing improves dye uptake. Color fastness to dry cleaning and rubbing was good, but light fastness and perspiration fastness was not good. Blocking effect of ultraviolet radiation and deodorization efficiency was good.

Fluorescence Behavior of Benzo[f]Quinoline Doped In Lpd Silica Thin Films

  • Mabuchi, Toshiaki;Suzuki, Satoshi;Nakajima, Tsuyoshi;Ino, Juichi;Takemura, Kazuo;Shimizu, Etsuro
    • Journal of Photoscience
    • /
    • 제5권3호
    • /
    • pp.105-109
    • /
    • 1998
  • By using the liquid -phase-deposition (LPD) process, which has a potetnial of preparing organic inorganic composite materials, samples doped with benzo[f]quinoline (BfQ)into silica thia films wre prepared. We observed the fluorescene and fluorescene excitation spectra of the samples, as well as the fluorescence lifetimes and time-resoluved fluorescence spectra. The comparison of thefluorescence spectra in pH-controlled buffer solutions yields the results that the dominant species of BfQ in the LPD silica films is a protonated one. The fluorescence band assigned to a hydrogen-bonded species was observed on the samples prepared from the dipping solutions of 3 and 2 M hexafluorosilicic acid. The band assignment was confirmed by the fluorescence lifetime measurement. The FT-IR M hexaflurosilicic acid. The band assignment was confirmed by the flurescence lifetime meausurement. The FT-IR data proved the existence of included water in silica films prepared from the LPD process. The appearance of the band corresponding to the hydrogen-bonded species within LPD silica phases was explained by the proesence of included water. Depending on the preparation conditions of LPD silica films, the band assigned to protonated species shows bad shifts in a wavenumber region between the peak of hydrogen-bonded and typical protonated species. This implies that there is some distribution of steric conformation of protonated species of BfQ interacting with adsorbing sites of LPD silica. The time -resolved fluorescence spectra suggest that some relaxation process is involved in the conformation of BfQ doped into the solid phase of LPD silica.

  • PDF

Fenobucarb와 Imidacloprid의 벼 뿌리 침지시간에 따른 벼멸구의 살충활성과 섭식행동비교 (Comparison of Insecticidal Activity and Feeding Behavior of Nilaparvata lugens by Root Uptake Times against Fenobucarb and Imidacloprid)

  • 양정오;조선란;권윤희;윤창만;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75-182
    • /
    • 2010
  • 벼멸구에 대한 Fenoburcarb(36, 12 ppm)와 Imidacloprid(0.7, 0.4 ppm)의 벼유묘 뿌리 침지 시간(1, 4, 8, 12, 16, 20, 24시간)에 따른 살충활성과 섭식행동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EPG (electrical penetration graph)의 파형은 신호개시 후 4시간 동안 기록하여 분석하였다. 침투이행성과 살충력과의 상관관계는, 두 약제 모두 농도가 높을수록 높은 보정살충율을 보였고, 침지시간이 길수록 살충활성이 높았다. 파형에 있어서는 두 약제 모두 농도가 높아질수록 상대적으로 non-probe time은 길어졌고 체관을 찌르는 시간은 짧아졌다. 침지시간이 길어질때에도 같은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침지시간에 따른 살충활성과 두 파형간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