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ol

검색결과 432건 처리시간 0.03초

DNA와 Benzo(a)pyrene 대사물질 결합형성에 미치는 인삼 추출물의 영향 (Effect of Ginseng Extracts on the Binding to DNA of Benzo(a)pyrene Metabolites in uitro in Rats)

  • 박진규;고지훈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3권1호
    • /
    • pp.37-41
    • /
    • 1989
  • Benzo(a)pyrene(BP)의 monooxygenase(AHH)에 의해서 생성된 반응성 대사물질들의 in vitro DNA와의 결합 및 BP 대사에 관여하는 효소들의 활성도에 미치는 인삼 물추출물의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DNA-BP metabolite adduct들은 Sephadex LH-20 column으로 chromatography하여 5개의 major peak 들을 얻었다. 이 peak 들을 극성이 큰 순서대로 A부터 E까지 임의로 정하고 5개의 peak들을 7,8-diol-9,10-oxide(A), 7,8-oxide(B). 4,5-oxide(C), 9-HO-BP(D & E) adduct들로 잠정적으로 확인하였다. Peak A, C, D 그리고 E는 각각 대조군의 30, 15, 20 그리고 30%로 감소되었으며 peak B는 의미있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DNA-BP 결합 억제와 관련하여 in vitro와 in vivo 투여시의 경향이 유사하여 EH의 활성도만 BP투여 대조군보다 38%정도 의미있게 유도되었다.

  • PDF

주사슬에 말로네이트기를 가지는 신규 폴리에스테르의 합성과 광분해 특성을 이용한 형광 이미지 패터닝 (Synthesis of Novel Network Polyesters Containing Malonate Group in Main Chain and Their Fluorescence Image Patterning via Photodegradation)

  • 정선주;곽기섭;정인태;이동호;노형진;윤근병
    • 폴리머
    • /
    • 제32권1호
    • /
    • pp.56-62
    • /
    • 2008
  • Diol과 diacid 단량체들의 다양한 조합으로 2단계 축합중합으로 가교구조를 가지는 세 종류의 신규 폴리에스테르를 새롭게 합성하였다. 이들 고분자 필름은 $240^{\circ}C$에서 수 시간 고온 열처리하면, 주사슬에 의한 금지 전이에도 불구하고, 가시영역에서 흡수를 나타내었으며 330 nm 이상의 파장에서 여기시키면 청색에서 근적외선에 이르는 넓은 범위에서 발광을 나타내었다. 신규 폴리에스테르의 발광 현상은 주사슬에 포함된 말로네이트기가 고온 열처리를 통해 자기축합 형태의 Knoevenagel 반응을 일으켜 분자 내 공역구조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들 고분자의 열적 특성은 가지화도 차이에 의한 화학적 가교정도에 따라 현저한 차이를 보였을 뿐 아니라 광분해 현상도 관찰되었다. 필름 상태에서 강한 자외선을 조사하여 말로네이트기의 분해반응을 유도하고, 이를 이용한 형광 이미지 패터닝을 수행한 결과, 고해상도의 이미지 패턴을 얻을 수 있었다.

폴리카보네이트 용융중합 초기의 촉매기반 에스터 교환반응 동력학 (Catalyzed Transesterification Kinetics in Early Stage of Polycarbonate Melt Polymerization)

  • 정주연;이지목;홍성권;이진국;정현민;김용석
    • 폴리머
    • /
    • 제39권2호
    • /
    • pp.235-23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디올 단량체로서 바이오 유래 isosorbide 및 bisphenol A가 적용된 폴리카보네이트의 단일 및 공중합체를 얻기 위한 촉매로서 LiOH, $Cu(acac)_2$ 및 n-butyltin hydroxide oxide hydrate를 각각 적용하여 용융중합 초기 단계에서 에스터 교환반응의 동력학 분석을 실시하여 촉매활성도를 비교하였다. 단일 중합의 경우, $Cu(acac)_2$가 가장 큰 촉매활성도를 나타내었으나, 서로 다른 두 가지 디올 단량체가 적용된 용융 공중합의 경우에는 촉매의 적용 메커니즘 및 단량체의 화학구조에 의존하여 LiOH의 촉매활성이 가장 큼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최근 관심이 집중된 바이오 유래 친환경 폴리카보네이트용 촉매선정에 활용 가능함을 제시한다.

폴리디메틸실록산 성분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의 합성과 이들의 열적 및 형상기억 특성 (Synthesis of Polyurethanes Containing Poly(dimethyl siloxane) and Their Thermal and Shape Memory Properties)

  • 라상희;김영호
    • 폴리머
    • /
    • 제38권5호
    • /
    • pp.602-612
    • /
    • 2014
  • 폴리(디메틸 실록산)(PDMS) 성분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PU-Si)을 합성하고 이들의 열적 특성과 형상기억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메틸렌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와 1,4-부탄디올을 하드세그먼트(HS) 성분으로 하고, 소프트세그먼트(SS) 성분으로 PDMS 디올과 폴리(테트라메틸렌 에테르 글리콜)(PTMEG) 혼합폴리올을 사용하여 HS 함량이 각각 23%와 32%이면서 PDMS 함량이 다른 PU-Si를 용액중합법으로 합성하였다. HS 함량이 23%인 PU-Si의 경우 PDMS 함량 증가에 따라 SS의 냉결정화온도($T_{cc}$)와 용융결정화온도는 증가하였으나 용융온도($T_m$)에는 변화가 없었다. HS 함량이 32%인 시료들의 경우 PTMEG의 $T_m$이 HS 함량 23%인 시료들보다 약간 높은 온도에서 나타났으며 $T_{cc}$는 관찰되지 않았다. PDMS 성분이 포함된 PU-Si 필름들은 PU에 비해 형태고정성은 약간 좋지 않지만 형상기억 효과는 더 우수하였다.

세바식 산으로 중합된 폴리에스터 폴리올을 원료로 사용한 폴리우레탄 접착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olyurethane Adhesive Based Polyester Polyol Polymerized from Sebacic Acid)

  • 진경호;김민수;조을룡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8권3호
    • /
    • pp.190-19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피마자유 유래의 sebacic acid를 isophthalic acid 및 glycol과 병용하여 폴리에스터 폴리올을 중합하고 이어서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접착력을 측정한 결과에서 sebacic acid를 병용한 폴리올이 adipic acid를 사용한 폴리올 보다 응집에너지가 커서 접착력이 우수하게 나타났고, glycol은 선형구조 보다 메틸기를 포함하는 가지구조가 더 좋은 접착력을 보였다. 쇄연장제는 1,4-butane diol(BD)를 사용한 것이 가장 접착력이 좋게 나타났다. 또한 TGA 측정결과 내열성은 BD가 가장 높고, 1,2-propylene glycol(PG)가 다음, ethylene glycol(EG)가 가장 낮았다. DMA 측정에서 유리전이온도는 PG, EG, BD의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광량 및 광질이 고려인삼의 생육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III. 광량이 인삼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ight Intensity and Quality on the Growth and Quality of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III. Effects of Light Intensity on the Quality of Ginseng Plant)

  • 천성기;목성균;이성식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5권2호
    • /
    • pp.144-151
    • /
    • 199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lucidate the effects of light intensity using polyethylene (p.E) net shading on the specific gravity, red ginseng quality, sugar and saponin contents of ginseng root. The specific gravity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ginseng roots grown under the P.E net shading as compared with that of common straw shading. The red ginseng quality under the P.E net shading was improved in order of 10, 5, 15, 20, 30% of light intensity and the inside cavity and inside white part decreased remarkably as compared with those of common straw shading. The ginseng roots grown under the P.E net shading at 10% and 15% light intensity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total sugar content but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reducing sugar content at 15% light intensity as compared with those of common straw shading. The amount of total saponin of ginseng roots was increased under the P.E net shading at high light intensity as compared with that of common straw shading and the ginseng roots grown under the P.E net shading at 10% light intensity showed an increase in the diol group saponin but the ratio of PT/PD was decreased. Extract contents of ginseng root under the P.E net shading was higher than those of common straw shading and the roots grown under the P.E net shading at 15% and 20% light intensity resulted in a remarkable increase in extract contents.

  • PDF

차풀 종자로부터 Daucosterol과 Naphthalene glucoside의 분리 (Isolation of Daucosterol and Naphthalene glucoside from Seeds of Cassia mimosoides var. nomame Makino)

  • 박준홍;권순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6-30
    • /
    • 2009
  • 본 연구는 속리산국립공원 내 쌍곡계곡에 분포하는 식물상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고 조사기간은 2006년 3월부터 2007년 6월까지 조사하였다. 식물상을 조사한 결과, 88과 242속 342종 52변종 7품종 등 총 40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한국특산식물은 개비자나무, 키버들, 개족도리, 할미밀망, 민산초나무, 청괴불나무, 병꽃나무, 분취 등 총 8분류군이 조사되었다.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식물은 망개나무 등 1분류군이며,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개족도리, 고란초, 망개나무, 백작약, 태백제비꽃, 꼬리진달래, 말나리 등 7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이들의 보전을 위해서는 향후 희귀식물에 대한 구체적인 보전방안과 번식방법 등이 논의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자원식물은 관상용 식물 220분류군, 식용 식물 239분류군, 약용 식물 281분류군, 기타용 식물 206분류군으로 나타났다. 귀화식물은 오리새, 소리쟁이, 취명아주, 아까시나무, 붉은토끼풀, 토끼풀, 큰달맞이꽃, 비짜루국화, 붉은서나물, 개망초, 망초, 뚱딴지, 서양민들레 등 13분류군이 관찰되었으며, 귀화율은 약 3.24%, 자연파괴도는 약 4.53%로 나타났다.

전이금속염 함유 키랄 살렌 촉매에 의한 광학선택적 에폭사이드의 합성 (Enantioselective Epoxide Synthesis on the Chiral Salen Catalyst having a Transitional Metal Salt)

  • 곽소봉;키테라 라올;김건중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6권4호
    • /
    • pp.769-776
    • /
    • 2008
  • 키랄성 말단기의 에폭사이드는 키랄중간체나 여러 출발물질로서 다양하게 이용되기 때문에 그 선택적인 합성법은 매우 유용하다. 본 연구에서는 염화코발트(II), 염화철(III) 및 질산아연(II)을 각각 함유한 키랄 코발트 살렌 촉매를 새로이 합성하고 그 특성을 평가하였다. 질량분석과 EXAF분석을 통하여 형성된 촉매 착체의 구조를 평가하였다. 합성한 촉매는 방향족 에폭사이드인 스타이렌 옥사이드와 페닐글리시딜 에테르의 속도차에 의한 비대칭 가수분해적 고리열림반응과 글리시틸부틸레이트의 합성반응에 적용하여 그 활성과 선택성을 조사하였다. 합성이 용이한 전이금속염함유 살렌착체 촉매는 물을 친핵체로 하는 라세믹 에폭사이드의 고리 열림을 통하여 99%ee 이상을 나타낼 정도의 매우 높은 광학선택성을 보였으며, 적은 양의 첨가로도 높은 활성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촉매씨스템은 키랄 에폭사이드 및 1,2-디올 중간체의 제조에 매우 효과적이었다.

PHYSIOLOGICAL RESPONSE OF PANAX GINSENG TO LIGHT

  • Park Hoon
    • 고려인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고려인삼학회 1980년도 학술대회지
    • /
    • pp.151-170
    • /
    • 1980
  • Physiological response of Panax ginseng var. atropurpureacaulo (purple stem variety, Pg) to light was reviewed through old literatures and recent experiments. Canopy structure, growth, pigment, leaf anatomy, disease occurence, transpiration, photosynthesis (PS), leaf saponin, photoperiodism and nutrient uptake were concerned. P. ginseng var. xanthocarpus (yellow berry variety, Px) and Panax quinquefolius(Pq) were compared with Pg if possible. Compensation point(Cp) increased with increase of light and ranged from 110 to 150 at $20^{\circ}C$ but from 140 to 220 at $30^{\circ}C$ with 4 to 15 Klux indicating occurence of light and temperature-dependent high photorespiration. Characteristics of Korea ginseng to hate high temperature was well accordance with an observation 2000 years ago. Korea ginseng showed lower Cp and appeared to be more tolerant to high light intensity and temperature than American sheng although the latter showed greater PS, stomata frequency and conductance, chlorophyll and carotenoids. Px showed lower PS than Pg probably due to higher Cp. Total leaf saponin was higher in leaves grown under high light. Ratio or diol saponin and triol saponin(PT/PD) decreased with increase of light intensity during growing mainly due to decrease of ginsenoside $Rg_1$ but increase of ginsenoside Rd. Leaves of Pg and Px had $Rg_1$ but no $Rb_3$ which was only found as much as $20\%$ of total in Pq leaves, and decreased with increase of light intensity. Re increased in Pg and Px but decreased in Pq with increase of light. PT/PD in leaf ranged 1.0-1.5 in Pg and Px but around 0.5 in Pq. Korea ginseng has Yang characteristics(tolerant to high light and temperature), cultured under Eum(shade) condition and long been used for Yang efficacy (to build up energy) while Pq was quite contrary. Traditional low light $intensity(3-8\%)$ for Korea ginseng culture appeared to be strongly related to historical unique quality. Effect of light quality and photoperiodism was not well known. Experiences are long but scientific knowledge is short for production and quality assessment of ginseng. Recent scientific knowledge of ginseng should learn wisdom from old experiences.

  • PDF

Androstane과 Cholestane 유도체의 진통, 소염 및 항고지혈 효과 (Antinociceptive, Antiinflammtory and Antihypercholesterolemic Effects of Androstane and Cholestane Derivatives)

  • 김학순;마은숙
    • 약학회지
    • /
    • 제51권6호
    • /
    • pp.495-499
    • /
    • 2007
  • Seven epoxy- and hydroxyandrostane derivatives ($DH-1{\sim}DH-7$) and nine epoxy- and hydroxycholestane derivatives ($CH-1{\sim}CH-9$) with unsaturation in ring A and ring B were synthesized from DHEA and cholesterol, respectively. The antinociceptive effects of all synthesized compounds were measured by hot plate method. Most of androstane derivatives except $1{\alpha},2{\alpha}$-epoxy-4,6-androstadiene-3,17-dione (DH-3), and CH-6, CH-7 and CH-9 exhibited antinociceptive effect. 1,4-Androstadiene-$3{\beta},17{\beta}$-diol (DH-5, 100 mg/kg, $35.8{\pm}7.39$), $6{\alpha},7{\alpha}$-epoxy-1,4-androstadiene-3,17-dione (DH-4, 100 mg/kg, $32.6{\pm}5.50$) and $5{\alpha},6{\alpha}$-epoxy-17-oxo-androstan-$3{\beta}$-ol (DH-1, 100 mg/kg, $32.5{\pm}2.98$) were more effective than morphine (10 mg/kg, $30.6{\pm}0.5$). The analgesic effects of androstane derivatives on acetic acid writhing in mice were lower than aspirin. The androstane derivatives were less effective than ibuprofen at inhibiting effects on the carrageenin induced paw oedema. 4,6-Cholestadien-$3{\beta}$-ol (CH-5), $1{\alpha},2{\alpha}$-epoxy-4,6-cholestadien-$3{\beta}$-ol (CH-7) and $7{\alpha}$-hydroxy4-cholesten-3-one (CH-9) showed the decrease of serum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levels in poloxamer P-407 injected r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