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ol

검색결과 433건 처리시간 0.022초

Monomeric Diol에 따른 수분산 폴리우레탄의 합성 및 특성 (Synthesis and Properties of Polyurethane Dispersion Containing Monomeric Diol)

  • 신상훈;정부영;정일두;조남주;천정미;천제환
    • 접착 및 계면
    • /
    • 제11권3호
    • /
    • pp.100-105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수분산 폴리우레탄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monomeric diol의 종류, polyol/monomeric diol 몰비 및 dimethylolpropionic acid (DMPA)의 함량에 따라 수분산 폴리우레탄의 물성변화를 알아보았다. Polyester type polyol, 4,4-dicyclohexylmethane diisocyanate ($H_{12}MDI$), DMPA 그리고 monomeric diol을 반응시켜 prepolymer를 제조한 후 이를 연속상에 분산시켜 수분산 폴리우레탄을 합성하였다. 열적 특성에서 monomeric diol의 분자량, monomeric diol 함량 및 DMPA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T_g$가 미세하게 증가하였다. 기계적 물성을 평가한 결과, monomeric diol의 분자량과 polyol/monomeric diol에서 monomeric diol의 함량 및 DMPA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인장강도는 증가하였다. 접착강도는 polyol/monomeric diol의 몰비가 8 : 2 일 때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Diol-ginsenosides from Korean Red Ginseng delay the development of type 1 diabetes in diabetes-prone biobreeding rats

  • Ju, Chung;Jeon, Sang-Min;Jun, Hee-Sook;Moon, Chang-Kiu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4권4호
    • /
    • pp.619-626
    • /
    • 2020
  • Background: The effects of diol-ginsenoside fraction (Diol-GF) and triol-ginsenoside fraction (Triol-GF) from Korean Red Ginseng on the development of type 1 diabetes (T1D) were examined in diabetes-prone biobreeding (DP-BB) rats that spontaneously develop T1D through an autoimmune process. Methods: DP-BB female rats were treated with Diol-GF or Triol-GF daily from the age of 3-4 weeks up to 11-12 weeks (1 mg/g body weight). Results: Diol-GF delayed the onset, and reduced the incidence, of T1D. Islets of Diol-GF-treated DP-BB rats showed significantly lower insulitis and preserved higher plasma and pancreatic insulin levels. Diol-GF failed to change the proportion of lymphocyte subsets such as T cells, natural killer cells, and macrophages in the spleen and blood. Diol-GF had no effect on the ability of DP-BB rat splenocytes to induce diabetes in recipients. Diol-GF and diol-ginsenoside Rb1 significantly decreased tumor necrosis factor α production, whereas diol-ginsenosides Rb1 and Rd decreased interleukin 1β production in RAW264.7 cells. Furthermore, mixed cytokine- and chemical-induced β-cell cytotoxicity was greatly inhibited by Diol-GF and diol-ginsenosides Rc and Rd in RIN5mF cells. However, nitric oxide production in RAW264.7 cells was unaffected by diol-ginsenosides. Conclusion: Diol-GF, but not Triol-GF, significantly delayed the development of insulitis and T1D in DP-BB rats. The antidiabetogenic action of Diol-GF may result from the decrease in cytokine production and increase in β-cell resistance to cytokine/free radical-induced cytotoxicity.

Polyester의 개질에 관한 연구 (제8보). 유연한 디올 Unit로 개질된 Poly(ethylene terephthalate)의 결정화 거동 (Copolyester Studies VIII. Crystallization Behaviours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Modified by the Flexible Diol Unit)

  • 안태완;김정호;정한모
    • 대한화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76-284
    • /
    • 1988
  • 1,3-propane diol, 1,5-pentane diol, 1,6-hexane diol, 분자량이 300인 poly(ethylene glycol)등을 제 3의 디올로 사용하여 poly(ethylene terephthalate)를 개질하여 개질된 copolyester의 결정화 거동을 비교하였다. 개질된 copolyester 중 제 3의 디올 함량이 약 4몰%인 경우 유리전이온도 부근에서 승온시키면서 유리전이온도로 부터 일정 온도 위에서의 결정화 속도를 비교하거나, 녹는점 부근에서 등온 결정화시켜 동일 과냉각 상태에서의 결정화 속도를 비교하면 가해진 디올의 길이가 짧을수록 결정화 속도가 크게 촉진되었다. 이에 반해 녹는점 부근에서 강온시키면서 동일 과냉각 상태에서의 결정화 속도를 비교하면 가해진 디올의 길이가 길수록 결정화 속도가 크게 촉진되었다.

  • PDF

인삼의 Triol 및 Diol계 사포닌이 쥐의 신피질 미토콘드리아 의 Glutamine 이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riol and Diol Fractions of Ginseng Saponin on Glutamine Transport into Rat Renal Cortical Mitochondria)

  • 안미라;김태우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9권1호
    • /
    • pp.86-94
    • /
    • 1985
  • Attempts were made if diol and triol fractions of ginseng saponin affect on glutamine transport into rat renal cortical mitochondria, swelling, phosphate dependent glutaminase activity, and consumption of oxygen.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When mitochondrial preparation from rat renal cortex was incubated in medium containing 14C-glutamine and either triol or diol fractions, radioactivity was shown to increase at both 10-6% and 10-5% triol fractions of ginseng saponin, but reduce in case of diol fraction. The remarkable acceleration of the rate of swelling of renal cortical mitochondria was observed in the presence of 10-1% trios and diol fractions but no accerelation at lower concentrations. The activity of phosphate dependent glutaminase from renal cortical mitochondria was slightly activated at 10-2% of triol fraction. However, there was no effect in case of diol fraction. Oxygen consumption by mitochondria from renal cortex was remarkably increased at concentrations of 10-5% and 10-6% triol fractions, but reduced in the case of diol fractions. On the basis of these observations it was concluded that triol fraction of ginseng saponin might increase the transport of glutamine into mitochondria by accelerating the respiratory chain and supplying additional energy to mitochondria, and physiological role of triol fraction was entirely different from that of diol fraction of ginseng saponin.

  • PDF

EFFECT OF GINSENG SAPONIN ON THE VASCULAR SMOOTH MUSCLE

  • Lee Kwang Soo
    • 고려인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고려인삼학회 1980년도 학술대회지
    • /
    • pp.71-76
    • /
    • 1980
  • Aortic strips were prepared from rabbits, and the tensions were maintained by administration of norepinephrine into the incubation chamber. The application of diol or triol induced relaxation of the aortic strip, as indicated by the decreased aortic tension. Triol, in a concentration of $30\;mg\%\;causes\;approximately\;50\%$ of muscle relaxation, whereas a similar degree of relaxation is induced by $50\;mg\%$ of diol. This indicates that both triol and diol cause relaxation of the aorta, but that triol is about $170\%$ more potent than diol. It is well established that blood-vessel smooth-muscle tone is regulated by the available intracellular $Ca^{++}$ concentration, which in turn is profoundly influenced by interaction of the cellular membrane and sarcoplasmic reticulum in the smooth muscle. Thus, any agent which modifies the smooth-muscle tone is expected to interfere with the $Ca^{++}$ binding or uptake of sarcolemma and sarcoplasmic reticulum. In the following experiments sarcoplasmic reticulum and sarcolemma were prepared from the ventricle of rabbit heart, and the active $Ca^{++}$ uptake by these cellular components was measured employing $Ca^{45}$ in the presence of triol and diol. It was found that the active $Ca^{++}$ uptake in the presence of ATP by sarcoplasmic reticulum was inhibited by both triol and diol. Panaxatriol, in a concentration of $80\;mg\;\%,$ inhibited $Ca^{++}$ uptake by $30\%,$ whereas panaxatriol in the same concentration inhibited uptake by $20\%.$ It is clear that triol is a more potent inhibitor of active $Ca^{++}$ transport in sarcoplasmic reticulum than diol. The $Ca^{++}$ binding of the cellular membrane was also studied employing Ca45 and milipore techniques. It was found that triol in a concentration of $80\;mg\;\%,$ decreased $Ca^{++}$ binding by $29\%.$ Diol in the same concentration decreased the binding by $17\%.$ It is clear that both triol and diol inhibit $Ca^{++}$ binding to the cellular membrane, but triol is approximately $180\%$ more potent than diol.

  • PDF

인삼(人蔘) Saponin이 세균(細菌) α-Amylase 활성(活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Ginseng Saponin on Bacterial α-Amylase Activity)

  • 도재호;김상달;주현규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7-11
    • /
    • 1985
  • 인삼(人蔘) saponin의 생물학적(生物學的) 활성(活性)을 조사(調査)하기 위하여 세균(細菌) v{\alpha}$-amylase의 작용(作用)에 미치는 인삼(人蔘) saponin의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Protopanaxadiol계(系), triol계(系) 및 total saponin 모두 ${\alpha}$-amylase의 활성(活性)을 25, 12, 13%정도(程度) 촉진(促進)시켰다. Diol계(系) saponin첨가(添加)경우 $40^{\circ}C$에서 3분간(分間) 전처리(前處理)함으로서 ${\alpha}$-amylase의 활성(活性)을 20%정도(程度) 촉진(促進)시켰으며 酵素(효소)의 열변성(熱變性)에 대(對)한 보호작용(保護作用)은 protopanaxariol계(系) saponin은 $60^{\circ}C$에서 5분(分)까지는 보호작용(保護作用)이 있었으나 protopanaxadiol계(系) saponin은 오히려 열실활(熱失活)을 촉진(促進)하는 경향이었다. Diol 및 triol계(系) saponin의 산가수분해물(酸加水分解物)이 ${\alpha}$-amylase의 활성(活性)을 diol 및 triol계(系) saponin보다 더 촉진(促進)시켰으며 diol, triol계(系) saponin의 첨가(添加)는 고농도(高濃度)의 기질(基質)이 존재(存在)할 때 기질저해(基質沮害)를 막아주었다.

  • PDF

Benzo(a)pyrene 대사물질들의 DNA에 대한 Adduct 형성 억제에 미치는 Parlalrydol의 효과 (Inhibition of the Formation of Adducts Between Metabolites of Benzo(a)pyrene and DNA by Panaxydol in vivo and in vitro)

  • 박진규;김신일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3권1호
    • /
    • pp.42-48
    • /
    • 1989
  • PAH 계 화합물들의 Bay region diol epoxide 들의 target tissue에 대한 결합은 암유발과 관련 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ICR mice의 간에서의 BP-DNA-adduct 생성에 미치는 poly acetylene 화합물인 panaxynol 과 panaxydol 의 효과를 조사하였 다. Panaxynol 과 panaxydol 을 전처리한 ICR mice 의 간 마이크로좀을 포함하는 incubation system 은 calf thymus DNA 에 대한 BP binding을 뚜렷이 감소시켰다. [$^3H$]-BP($300\mu$Ci/21nmoles/0.1ml DMSO. i. v. ) 즐 mice 에 주사 후 24시간 후에 간 DNA 에서의 방사능을 측정하였다. HPLC 에 의해 cochromatography 한 두개의 standard marker (acetophenone. bytyrophenone)을 사이에 나타나는 DNA adduct 들을 잠정적으로 확인한 결과 (-) BP-7.8-diol로부터 생성되는 major adduct 인 (+) BP-diol epoxide I: dGuo adduct (peak II)는 대조군보다 약 22% 감소된 반면에 minor adduct 인 (-) BP-diol epoxide I: dGuo adduct (peak III)는 대조군의 69%로 감소되었다. 그리고 (+) BP-7, 8-diol로부 터 생성되는 minor adduct 인 BP-diol epoxide I II : Guo adduct (peak IV)는 대조군의 58%로 감소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panaxydol이 ($\pm$) B BP-7,8-diol로부터 일반적으로 생성되는 adduct들 중 major보다는 minor adduct들의 생성에 더 많이 관석했음을 보여준다.

  • PDF

갑상선호르몬 분비조절물질과 인삼성분의 복합처리가 갑상선세포의 cAMP 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inseng Saponin Fractions with Thyroid Hormone Secretion Regulatory Agents on cAMP Level in Cultured Rat Thyroid Glands)

  • 정경훈;김세창·정노팔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2권2호
    • /
    • pp.135-144
    • /
    • 1988
  • 갑상선호르몬 분비조절물질(TSH, DB cAMP, NaF, carbachol, isoproterenol, propranolol)과 인삼성분(total saponin, diol saponin, triol saponin)의 복합처리가 갑상선의 cAMP의 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흰쥐의 갑상선을 4일 또는 7일간 배양한 후 갑상선호르몬 분비조절물질과 인삼성분을 각각 복합처리, 또는 단독처리하여 cAMP의 양을 조사하였다. 인삼성분만을 처리한 경우, total saponin은 $10^{-5}$%(w/v), diol saponin과 triol saponin은 $10^{-4}$%(w/v)의 농도에서 각각 가장 높은 증가를 나타내었다. 갑상선호르몬 분비조절물질과 복합처리한 인삼성분의 농도는 위의 값으로 하였다. 복합처리한 경우, TSH에 대해서는 증가효과를 나타냈지만 그 양상은 작았다. Total saponin은 DBcAMP와 isoproterennol에 대해서는 증가효과를, carbachol과 propranolol에 대해서는 감소효과를 나타내었고, NaF에 대해서는 영향이 크지 않았다. Diol saponin과 triol saponin은 그 양은 다르지만 isoproterenol을 복합처리한 경우를 제외하고 diol saponin은 감소효과를, triol saponin은 증가효과를 보이는 상반작용을 나타내었다. 억제효과를 가지는 propranolol에 대해서도 diol saponin과 triol saponin은 상반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인삼성분의 정상화작용은 NaF와 carbachol의 경우에도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은 인삼성분이 갑상선호르몬의 생성과 분비에 관여하는 cAMP의 생성에 촉진 또는 억제를 가진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 PDF

Effects of Diols on the foaming and emulsion properties in surfactant solutions

  • Lee, Giam;Oh, Seong-Geun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488-498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계면활성제 용액에서 1,3-Butanediol, 1,2-Pentanediol, 1,2 Hexanediol 들이 cmc, 표면장력, 기포력 및 유화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 하였다. 계면활성제 수용액에 diol의 첨가는 cmc와 표면장력 저하를 초래 하였으며 기포력 및 유화력은 향상 되었다. 이러한 경향은 diol의 사슬길이가 길수록 현저 하였다. 이러한 특성은 diol의 알킬사슬과 계면활성제 분자간에 소수성 상호작용이 물분자간의 응집력을 감소시키고, 계면에서 계면활성제 headgroup간 상호작용을 증진시키기 때문이다. 또한 각 diol의 방부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MIC 측정을 수행 하였으며 방부력은 1,2-HDO > 1,2-PDO > 1,3-BDO 순서였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diol들이 화장품에서 보조 계면활성제와 방부제로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 시켜 주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