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nity

검색결과 508건 처리시간 0.029초

조선 후기 복식에 나타난 합봉(合縫)현상에 관한 연구- 남자 공복(公服)과 여자 예복(禮服)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ractice of Hapbong found in the Late Joseon Dynasty - Focusing on Men's Official Uniforms & Women's Formal Wear -)

  • 구남옥
    • 복식
    • /
    • 제58권9호
    • /
    • pp.1-17
    • /
    • 2008
  • One of features of fashion in Joseon period is culture of overlapping of several clothes. This culture appeared with Hapbong(合縫:sewing of several clothes as one) at late Joseon period and developed into simpler and more practical fashion culture. Hapbong is mainly identified at men's official uniform such as Jaebok(祭服), Jobok(朝服), Kwanbok(官福), Gugunbok(具軍服), and women's formal dress such as Wonsam(圓衫) and Dangeui(唐衣) which formed several clothes get to be a set. Such fashion was designed to maintain dignity and power while simple to wear. And It has the trace of overlapping visually on the collar, sleeve, breast-tie and others. Hapbong is attributable to thoughts of practical science, post-toadyism, modernization, renovated the system of clothing, and advanced sewing technique.

유니버설 디자인 개념을 적용한 주택의 욕실계획 (Application of Universal Design for Residential Bathroom Planning)

  • 권오정;하해화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131-144
    • /
    • 2004
  • The Universal Design(UD) is a recent issue related to preserve human dignity, equality and human settlements. This study is aimed at describing circumstances and problems of residential bathrooms and in identifying the awareness and needs of adapting the UD concept for residential bathrooms. 570 persons with various physical conditions completed questionnaires that were used as data in this stud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spondents' awareness of the UD was very low, but that their needs for adapting the UD concept was relatively high. Safety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adapting the UD, followed by convenience and accessibility. In conclusion, three types of specific design considerations for residential bathroom planning were suggested through the adaptation of the UD.

실라칸스 학교건축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Spatial in Coelacanth School Architecture)

  • 김민경;김문덕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7-21
    • /
    • 2007
  • School architecture has been functionally changed a lot as well as the changes of school education. School tries to educate people to recognize their dignity and give life to their personality. In addition, it's also important for school facilities to contribute to making social communities as community establishments beyond its own purpose of education. Researches for school architecture have been going on to make facilities suited for that. At this point of view, this research is looking for methodology contributed to design institutions suitable for education through working on precedents for planning school design. One way to this is studying the method of designing of the design team, 'Coelacanth', selected for good architecture in Japanese school architecture so many times and finding out its connection to interior.

  • PDF

신한옥마을의 공간구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Organization of neo-Hanok Village)

  • 신치후;김병진
    • 건축역사연구
    • /
    • 제30권2호
    • /
    • pp.29-43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the identity and succession of traditional Hanok villages by analyzing the location, layout, and spatial organization of neo-Hanok Village, which was built in Korea. So far, neo-Hanok Village has not prepared a specific institutional mechanism despite the government's support and growing public interest. In addition, the purpose of neo-Hanok Village has not been verified, even though it was built all over the country for the purpose of the dignity and succession of the traditional Hanok Village. This study examines how the spatial organization elements of the traditional Hanok Village are planned according to the design principles of the old literature and applies them to the neo-Hanok Village to determine the succession of the traditional Hanok Village.

Nature Death Act -Taiwan Experience-

  • Lai, Enoch Y.L.
    •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08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19-21
    • /
    • 2008
  • Hospice movement in Taiwan emerged early in 1983. There was a nurse visiting terminal cancer patients by herself in Taipei city. It was ceased after one year. This stage of hospice movement might be called as "compassionate era". In early 1990, the first in-patient hospice ward was set up in north Taiwan. She demonstrated high touch in the high technology medical atmosphere. There was a great echo in Taiwan society to this action. In the following years, quite a few new hospice settings were founded. Medical professionals were aroused again to talk and think about life and death, dignity of dying and holistic care. This stage of hospice movement might be called as "ethical stage". Around 2000, obstructions were discovered in our development. We do need system and rules. Standard of setting and care, Curriculum of education and training, Accreditation system and specialist system and Nature Death Act are some of the systems we approached. This stage of hospice movement might be called as "Act stage". Among the "Act stage", the Nature Death Act is actually the mile stone in our history. What listed below are the translated one for the reference:

  • PDF

인터뷰 - "명목적 공정성·익명성만으론 그저 그런 보통 건축물만… 공공건축 품격 구현 힘들어" (Interview - "Only with nominal fairness·anonymity, just ordinary buildings but not enough to realize the dignity of public architecture")

  • 서정필
    • 건축사
    • /
    • 통권636호
    • /
    • pp.24-27
    • /
    • 2022
  • 월간 <건축사>가 지난 3월 21일 함인선 광주광역시 총괄건축가를 만났다. 그는 인터뷰를 통해 의무가입 시대를 맞아 건축사 윤리 확립을 위한 윤리강령 제정, 신뢰 기반의 공공건축 설계공모 심사 도입 및 건축 인허가 제도에 대한 평소 생각을 전했다. 또 건축계가 의무가입 건축사법 시행과 새 정부 출범 등 변화의 시기를 겪는 상황에서 좋은 건축을 위해서는 건축사에 대한 사회적 신뢰를 더욱 두텁게 해야 한다는 뜻을 전했으며, 공공건축 설계공모에 대해선 명목적 공정성에 집착하기보다 심사위원 재량을 강화하고 문제가 생길 경우 책임을 확실히 묻는 '신뢰 기반 심사제도' 도입 필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현행 건축심의 관련 건축물의 성능과 디자인에 관련된 사항은 건축사 재량에 맡기고 공공성에 대한 것을 심의 대상으로 삼는 방향으로 제도가 개선돼야 한다는 생각도 밝혔다. 함인선 총괄건축가의 저서로는 '구조의 구조', '정의와 비용 그리고 도시와 건축', '건물이 무너지는 21가지 이유' 등이 있다.

  • PDF

대순사상의 유교적 이해 (Confucius Understanding on Deasoon Ideas)

  • 황의동
    • 대순사상논총
    • /
    • 제20권
    • /
    • pp.125-168
    • /
    • 2009
  • Deasoon ideas are doctrine of Deasoonjinrihoe, which was founded by Ilsoon Gang, religious thinker in the late of Josun Dynasty.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influences of Confucius ideas implicit in Deasoon ideas and finding out their meaning in the modern society. Ilsoon Gang considered Confucianism very important when he forms his Deasoon ideas and after all, he included Confucius ideas to Deasoon ideas to develop his own religious theory. The meanings of Deasoon ideas in the modern world are as follows: First, Deasoon's harmonious ideas on yin and yang can be a healing method to solve conflicts and confrontations of the modern society. Second, Deasoon's harmony between God and humans and ideas on human dignity is helpful to solve human isolation that the modern society faces. Third, Deasoon's ideas that human's hostility and grudge must be healed teaches loves and co-existence to humans. Fourth, Dotongjinkyeong, which is Deasoon's ideal world, is the world where communication between an individual and the whole, God and humans, a human and a human, and humans and the nature perfectly are harmonized.

  • PDF

조선 후기 무위(武威)의 상징 대기치(大旗幟) 고증 (A historical study of the Large Banner, a symbol of the military dignity of the Late Joseon Dynasty)

  • 제송희;김영선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4권4호
    • /
    • pp.152-173
    • /
    • 2021
  • 대기치는 임진왜란 중에 새로운 군사 제도와 함께 도입된 깃발이다. 군사 훈련에서 표식으로 세워 군사들의 움직임을 통제하거나 상급자를 영접하기 위해 세우던 사방 4자 이상의 큰 깃발로 군영에서 국왕을 영접할 때 국왕 행차 앞에 세우는 어전 대기치, 사신 영접과 파견, 지방관의 행차 등에 다양하게 쓰였다. 군사 훈련권을 상징하는 대기치를 통해 무위를 과시하는 사회적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대기치의 깃대 장식을 영두·주락(상모)·운봉을 갖춘 I유형과 영두·주락·치미를 갖춘 II유형으로 나누어 형식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I유형에는 청도기·각기·문기가, II유형에는 대·중·소 오방기와 금고기·표미기가 속하는데 각각의 용도에 맞추어 장식을 달리하였다. 깃발의 크기는 네 변이 4자 이상의 정사각형에 상하와 세로 한 면에 화염각을 달아 세로가 약간 긴 정사각형에 가까웠던 것으로 추정된다. 대기치는 음양오행의 원리에 따라 오방색을 기본으로 활용하였다. 대기치의 문양은 오방을 상징하는 신수와 도교 부적 글자를 결합한 대오방기, 오방을 호위하는 신장들을 그린 중오방기, 팔괘문을 그린 소오방기, 군문을 엄격히 지키라는 뜻의 익호 문양의 문기로 대별된다. 대기치 제작을 위한 채색 사료로 오사카부립도서관 소장품 컬러 필사본 『기제』를 18세기 중후반의 용호영의 견식으로 비정하고 본 논고 서술과 시각화 작업에서도 중요하게 활용하였다. 대기치의 바탕 재료는 군권의 위엄을 드러내기 위해 수입 운문대단을 썼다. 크기는 영조척 1자(30cm)를 적용하여 4자 깃발은 세로 170cm, 가로 145cm, 5자 깃발은 세로 200cm, 가로 175cm로 확정하였다. 아울러 국왕 의장기 중 대기 > 중기 > 대기치로 조선 후기 전체 깃발 안에서의 위계 질서를 확인하였다. 위의 문헌 및 회화 분석을 통한 고증과 유물 자료를 토대로 두 유형으로 나눈 대기치를 시각화하였다. 시각화에서는 본 논고에서 고증한 깃발의 크기, 깃대 장식, 깃발별 문양 장식을 고려하여 제시하였다. 깃발의 바탕은 운문대단으로 18세기 운보문단 유물에 표현된 운문과 보문 문양을 제시하여 원형에 가깝게 복원하고자 하였다. 색상과 크기, 재질의 문양, 부대물품 등을 함께 제시함으로써 3D 콘텐츠 제작뿐만 아니라 실물 제작까지 가능하도록 하였다.

대순사상 심우도의 공공작용 연구 (A Study on Communal Action as Found in the Ox Seeking Pictures of Daesoon Thought)

  • 김용환
    • 대순사상논총
    • /
    • 제31집
    • /
    • pp.165-197
    • /
    • 2018
  • 본 연구는 대순사상 심우도의 공공작용에 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심우도(尋牛圖)'는 동자가 소를 찾아가는 모습으로 인간의 수도과정을 비유한 도상이다. 심우도의 동자는 수도자이고, 소는 상제께서 세상에 펼친 대순사상을 말한다. 이 글에서는 대순사상 심우도가 이화-기화-실화의 공공작용의 3단계로 전개됨을 밝히고자 한다. 먼저 공공작용의 이화단계는 '심심유오(深深有悟)'와 '봉득신교(奉得神敎)'의 상관연동에서 드러난다. '심심유오'는 깊고 깊은 생각 속에 봉득신교에 대한 자각이 있기에 생각이화의 도리를 발견한다. 일상생활에서 벗어나 어느 순간 인간 존재의 근원에 의문을 갖고 음양합덕의 생각이화에 의해 봉득신교를 받들면서 도상은 소의 발자국을 따라가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음의 공공작용의 기화단계는 '면이수지(勉而修之)'와 '성지우성(誠之又誠)'의 상관연동에서 드러난다. '면이수지'는 부지런히 수도에 매진하여 소의 기운을 감득하고 시련과 난관을 극복하면서 신인조화를 모색하며 생명파악에 집중한다. 아울러 해원상생에 의한 생명기화를 통해 정성에 또 정성을 들여 선천의 상극기운과 습관을 버리고, 도상은 이치를 감득하고 소를 탄 채로 피리를 부는 형상이다. 그리고 공공작용의 실화단계는 '도통진경(道通眞境)'과 '도지통명(道之通明)'의 상관연동으로 일상생활에서 도를 체화하는 단계이다. '도통진경'은 참된 도에 이름이며, 피리를 불며 흰 소를 타고 가는 동자의 도상에서 도를 체화하는 경지로서 파악할 수 있다. '도지통명'은 마침내 도가 밝아져 후천개벽 세상을 전개함을 의미한다. 흰 소를 따라간 동자는 신선이 되었다. 선녀들이 음악을 들려주고, 불로초가 피어 있고, 학들이 노니는 아름답고 평화로운 모습이다. 인간은 지상신선 되고, 지상선경이 되어 인존구현의 생활실화로 드러나서 시공(時空)을 넘나드는 대자유인으로 결실을 맺는 형상이다. 대순사상 심우도는 동자가 소를 찾아 좁고 험한 산길을 지나가는 모습에서 출발하여 소의 뒷모습을 본 이후 앞으로 가야할 길이 험난한 줄 알면서도 결코 포기하지 않고 정진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수도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어려움을 극복하며 부지런히 나아가는 근면함을 보여준다. 이러한 노력이 결실을 맺어 동자는 흰 소를 만나 친해지는 시기로 전환이 되면서 일상생활이 변모한다. 동자는 '흰 소(白牛)'를 상봉하며, '도지통명'의 생활실화를 통해 인존구현의 진여실상을 평상심으로 구현한다. 본 연구는 문헌학과 해석학의 방법을 활용하여 대순사상 심우도의 공공작용 분석으로 다양·다중·다층의 해석학으로 후천개벽의 생활실화에 접근하며, 후천개벽의 실천담론을 구조적으로 밝히고 있다. 이에 대순사상 심우도의 미래전망은 생각이화·생명기화·생활실화의 삼차연동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할 것이다.

천지공사의 공공윤리 실천전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spect of Implementing a Public Common Practice of Ethics Based upon the Reordering Works of Heaven and Earth)

  • 김용환
    • 대순사상논총
    • /
    • 제28집
    • /
    • pp.37-72
    • /
    • 2017
  • 본 연구는 '천지공사(天地公事)'의 공공윤리 실천전망에 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천지공사는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이 서로 이어지고 매개하는 공공작용을 통해 공공윤리 실천전망을 보여준다. 천지공사는 삼계 통래(通來)로 대순진리를 관철시키는 공사이다. 본 연구방법으로 천지공사가 소개된 문헌을 면밀히 분석하는 문헌연구와 공공윤리 전망을 모색하는 해석학적 기제를 함께 사용한다. 이는 공과 사를 이어주고 매개하는 '공사공매' 지표, 공공행복 추구의 '행복공창' 지표, 개체를 살려 공적 가치를 드러내는 '활사개공' 지표의 기제이다. 공공윤리 지표는 물질과 영혼, 초월과 내재, 성과 속 사이의 간극을 해소하는 능동성으로 말미암아 공공책임을 수반한다. 천지공사는 '음양합덕' 담론에서 시작하여 '신인조화(調化)'의 공공소통을 이루고 '해원상생'의 존재론적 축복으로 연결된다. 도통선경으로 상호호혜의 결실을 맺기에, 천지공사와 인존사사(人尊私事)는 공공의 성상원융(性相圓融)을 이루어 천지인삼재 일원상(一圓相)을 이룬다. 이러한 공공실천 전망은 감성·이성 상관연동의 소통의 공사공매, 해원·보은 상관연동의 상생의 행복공창, 그리고 도통·선경 상관연동의 인존의 활사개공으로 연결되기에 이를 상관연동으로 고찰한다. 천지공사를 주재하는 '인신현현(人神顯現)'의 구천상제는 공공동량 구제 사업에 임하였다. '활사개공'의 공공윤리 지표는 도통군자에 나타나 있다. 천지공사로서 선천세계가 개벽되고 지상천국이 건설된다. 천지공사 공공윤리 전망으로 온 누리에 선경의 화평세상을 이룩하기에, 세계시민성·우주시민성 시대도래를 예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