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Communal Action as Found in the Ox Seeking Pictures of Daesoon Thought

대순사상 심우도의 공공작용 연구

  • Kim, Yong-hwan (Department of Ethical Education Studie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8.10.23
  • Accepted : 2018.12.15
  • Published : 2018.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communal action in the Ox Seeking Pictures of Daesoon Thought as an expression of future prospects. The Ox Seeking Pictures in Daesoon Thought seeks out renewal of thought, renewal of life, and true living. Here, the Ox Seeking Pictures symbolize a world in which good fortune comes true according to faith in Gucheon Sangje. The correlation between searching for the ox and the supporting teachings of the Reordering Works of Heaven and Earth in Daesoon shows the transformation of Daesoon prospects for achieving the renewal of thought. The correlation between Deep Contemplation Leading to Awakening and Finding and Following Heavenly Teachings shows the transformation of Daesoon reason into a practice implemented in daily life. The correlation between a human being's awareness and the heavenly paradise of the Later World shows transformation into true living based on everyday practice and the practical transformation of one's livelihood. In this investigation, we can say that the Ox Seeking Pictures of Daesoon symbolizes the realization of human dignity and respect for lives. No life should be destroyed or violated by another. Heaven, Earth, and Humanity can be changed and born anew. The visions of the realization of the heavenly paradise of the Later World show that this paradise in the world results from Daesoon principles. This provides a unique insight when compared to the bodhisattva ideal conveyed through the Ox Seeking Pictures of Mahayana Buddhism. Daesoon's Ox Seeking Pictures consist of a three-way interlocking of renewal of thought, implementation in life, and the practical transformation of one's livelihood. The communal spirituality based in Daesoon Truth connects and mediates among people and appears in three aspects. Firstly, it is thought to be a vision of the renewal of thought through the 'Virtuous Concordance of Yin and Yang.' Secondly, it is thought to be the vision of a new life based upon the spirit of Mutual Beneficence. Thirdly, it is thought to be a vision of true living through the realization of human dignity. Because of the appearance of the Ox Seeking Pictures of Daesoon Thought, this narrative picture shows the oxherd as searching for an ox which is the symbol of Daesoon Truth and Dao. Even though he catches the ox, he is still holds the rope to tie the ox to himself. He makes an effort to keep the ox steady. Finally, the oxherd's enlightenment becomes the source of responsibility to help unenlightened people in their struggles.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interpret these paintings as the start of the Later World.

본 연구는 대순사상 심우도의 공공작용에 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심우도(尋牛圖)'는 동자가 소를 찾아가는 모습으로 인간의 수도과정을 비유한 도상이다. 심우도의 동자는 수도자이고, 소는 상제께서 세상에 펼친 대순사상을 말한다. 이 글에서는 대순사상 심우도가 이화-기화-실화의 공공작용의 3단계로 전개됨을 밝히고자 한다. 먼저 공공작용의 이화단계는 '심심유오(深深有悟)'와 '봉득신교(奉得神敎)'의 상관연동에서 드러난다. '심심유오'는 깊고 깊은 생각 속에 봉득신교에 대한 자각이 있기에 생각이화의 도리를 발견한다. 일상생활에서 벗어나 어느 순간 인간 존재의 근원에 의문을 갖고 음양합덕의 생각이화에 의해 봉득신교를 받들면서 도상은 소의 발자국을 따라가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음의 공공작용의 기화단계는 '면이수지(勉而修之)'와 '성지우성(誠之又誠)'의 상관연동에서 드러난다. '면이수지'는 부지런히 수도에 매진하여 소의 기운을 감득하고 시련과 난관을 극복하면서 신인조화를 모색하며 생명파악에 집중한다. 아울러 해원상생에 의한 생명기화를 통해 정성에 또 정성을 들여 선천의 상극기운과 습관을 버리고, 도상은 이치를 감득하고 소를 탄 채로 피리를 부는 형상이다. 그리고 공공작용의 실화단계는 '도통진경(道通眞境)'과 '도지통명(道之通明)'의 상관연동으로 일상생활에서 도를 체화하는 단계이다. '도통진경'은 참된 도에 이름이며, 피리를 불며 흰 소를 타고 가는 동자의 도상에서 도를 체화하는 경지로서 파악할 수 있다. '도지통명'은 마침내 도가 밝아져 후천개벽 세상을 전개함을 의미한다. 흰 소를 따라간 동자는 신선이 되었다. 선녀들이 음악을 들려주고, 불로초가 피어 있고, 학들이 노니는 아름답고 평화로운 모습이다. 인간은 지상신선 되고, 지상선경이 되어 인존구현의 생활실화로 드러나서 시공(時空)을 넘나드는 대자유인으로 결실을 맺는 형상이다. 대순사상 심우도는 동자가 소를 찾아 좁고 험한 산길을 지나가는 모습에서 출발하여 소의 뒷모습을 본 이후 앞으로 가야할 길이 험난한 줄 알면서도 결코 포기하지 않고 정진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수도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어려움을 극복하며 부지런히 나아가는 근면함을 보여준다. 이러한 노력이 결실을 맺어 동자는 흰 소를 만나 친해지는 시기로 전환이 되면서 일상생활이 변모한다. 동자는 '흰 소(白牛)'를 상봉하며, '도지통명'의 생활실화를 통해 인존구현의 진여실상을 평상심으로 구현한다. 본 연구는 문헌학과 해석학의 방법을 활용하여 대순사상 심우도의 공공작용 분석으로 다양·다중·다층의 해석학으로 후천개벽의 생활실화에 접근하며, 후천개벽의 실천담론을 구조적으로 밝히고 있다. 이에 대순사상 심우도의 미래전망은 생각이화·생명기화·생활실화의 삼차연동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전경』,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0.
  2. 『대순지침』, 대순진리회 출판부, 1984.
  3. 『대순진리회요람』, 대순진리회 교무부, 1969.
  4. 『대순진리입문』, 대순진리회 출판부, 1987.
  5. 고영섭, 「경허의 미도선(尾塗禪): 법화(法化)와 행리(行履)의 마찰과 윤활」, 『불교학보』 40, 2003.
  6. 경허성우, 진성 원담 역, 『경허법어(鏡虛法語)』, 서울: 인물연구소, 1981.
  7. 김용환, 「경허성우 심우행의 윤리교육 함의연구」, 『윤리교육연구』 48, 2018. http://doi.org/10.18850/JEES.2018.48.01
  8. 김용환, 『영성인문학 토대의 윤리교육』, 서울: 좋은 기업 위드, 2018.
  9. 라즈뉘쉬, 『허물』, 정영진 옮김, 서울: 성우, 1991.
  10. 류 정, 『주역과 십우도』, 서울: 책나무 출판사, 2011.
  11. 안호영. 김영숙, 「경허의 오도와 실천의 문제」, 『동아시아불교문화』 30, 2017.
  12. 오구라 기조, 『한국은 하나의 철학이다』, 조성환 옮김, 서울: 모시는 사람들, 2017.
  13. 아놀드 비틀링어, 『칼 융과 차크라』, 최여원 옮김, 서울: 슈리 크리슈나다스 아쉬람, 2010.
  14. 이경원, 「강증산의 후천개벽론」, 『한국종교』 35, 2012.
  15. 이정환, 「퇴계 천명도설과 천명도에 대한 철학적·도상적 재검토」, 『퇴계학보』 135, 2014. http://uci.or.kr/G704-001238.2014..135.006
  16. 이홍우, 『경허선사: 공성의 피안길』, 서울: 민족사, 1996.
  17. 최봉근, 「퇴계 천명도를 통해 본 리(理)의 생명성」, 『국학논총』 7, 2008.
  18. 최영진, 『유교사상의 본질과 현대성』,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3.
  19. 켄 윌버, 『켄 윌버의 신』, 조옥경. 김철수 옮김, 서울: 김영사, 2016.
  20. 피터 싱어, 『세계화의 윤리』, 김희정 옮김, 서울: 아카넷, 2003.
  21. Arendt, H., The Origin of Totalitarianism, London: George Allen & Unwin, 1967.
  22. Cahill, L. S., "Toward Global Ethics", Theological Studies 63:2, 2002.
  23. David Fontana, Mandala Sourcebook, Massachusetts: Fair Winds press, 2014.
  24. David R. Hawkins, Transcending, Philadelphia: Veritas Publishing, 2005.
  25. Erics J. Sharpe, "Dialogue of Religions", Encyclopedia of Religion, vol.4. 1986.
  26. Matt Nolan, Soul Restoration, Michigan: Terri Blackstock, 2005.
  27. Panikkar, Raimond, The Cosmotheandric Experience: Emerging Religious Consciousness, New York: Orbis Books, 1993.
  28. Panikkar, Raimond, The Experience of God, Minneapolis: Augusburg Fortress, 2006.
  29. Panikkar, Raimond, Mysticism and Spirituality, New York: Orbis Books, 2014.
  30. Paul Ricoeur, Hermeneutics and the Human Science, John B. Thomson ed. and tra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1.
  31. The Dalai Lama, The Middle Way, Boston: Wisdom Publications, 2009.
  32. Tye, K. A., "Globalizing Global Education to Nurture World Citizens", Education Digest 69:4, 2003.
  33. White, P., Civic Virtues and Public Schooling: Educating Citizens for a Democratic Society,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