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intraoral scanner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31초

비정형적인 악궁을 가진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기성 트레이와 구강 스캐너를 이용한 인상 채득 방법의 비교 연구: 증례 보고 (A comparative study of impression methods using stock tray and intraoral scanner in a completely edentulous patient with an atypical arch shape: a case report)

  • 박재훈;김지현;서재민;이정진;박연희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1권4호
    • /
    • pp.344-355
    • /
    • 2023
  • 총의치 제작 과정 중 정확한 최종인상을 얻기 위해서는 정확한 예비인상 채득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증례에서는 비정형적인 악궁 형태를 가진 환자에서 기성 트레이 및 구강 스캐너로 채득하여 제작한 예비모형과 개인트레이를 비교하였다. 58세 남자 환자로 상, 하악 총의치 제작을 위해 본원 구강악안면외과에서 의뢰되었다. 상하악궁 모두 좁고 긴 형태로 비정형적인 형태를 보였다. 기성 트레이를 이용하여 채득한 예비모형은 구강 스캐너를 이용한 예비 모형에 비해 상악의 경우, 협측의 변연이 과연장되었고, 후방 구개 폐쇄 부위에서는 압박되어 있었다. 또한 하악에서도 과연장되었으나, 상악에 비하여 그 양이 많지 않았다. 그리고 구강 스캐너에 의해 채득된 예비모형은 기성 트레이로 채득된 예비 모형에 비해 저연장되었으나, 해부학적 지표는 충분히 인기되었다. 기성 트레이에 의해 제작된 개인 트레이는 IOS에 의해 제작된 개인 트레이에 비하여 구강 내 시적 시, 개인 트레이의 조정량이 많았고 진료 시간이 증가하였다. 본 증례를 통해 비정형적인 악궁을 가진 환자에게 3D 구강 스캐너로 인상을 채득하는 것이 대안이 될 수 있음을 보고하는 바이다.

구내 스캔바디의 형태에 따른 임플란트의 디지털 스캔 정확도 및 구강 내 노출 높이에 따른 라이브러리 중첩 정확도 비교 연구 (Accuracy of implant digital scans with different intraoral scanbody shapes and library merging according to different oral exposure height)

  • 정병준;이영후;홍성진;백장현;노관태;배아란;김형섭;권긍록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9권1호
    • /
    • pp.27-35
    • /
    • 2021
  • 목적: 현재 임상에서 스캔바디를 이용한 임플란트의 디지털 인상이 활용되고 있으나 스캔바디의 형태에 따른 스캔의 정확도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구내 스캔바디의 형태에 따른 스캔의 정확도를 비교하고, 구강 내 노출 높이에 따른 라이브러리 중첩 정확도를 비교하기 위함이다. 재료 및 방법: 덴티폼 상에서 36번 치아를 삭제 후 모델 스캐너로 스캔하여 3D 프린터로 주모형을 출력하였다. 첫 번째 실험으로 세 종류(A, B, C)의 구내 스캔바디를 준비하여 각 그룹마다 다음과 같은 실험을 하였다: 36번 부위에 임플란트를 이상적인 위치로 식립 후 스캔바디를 15 N으로 체결하였다. 스캔바디가 체결된 주모형을 모델 스캐너로 스캔하여 master reference file (대조군)을 STL (Standard Tessellation Language) file로 생성하였다. 이후 구강 스캐너로 10회의 연속적인 스캔을 시행하여 10개의 STL file (실험군)을 생성하였다. 3D 측정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대조군과 실험군들의 STL file들을 중첩한 후 좌표계 상에서 다음과 같은 값들을 도출하였다: 1) 스캔바디 상 특정 point의 거리 편차 2) 스캔바디 장축의 각도 편차. 두 번째 실험으로는 스캔바디의 구강내 노출 높이에 따른 라이브러리 중첩 정확도를 비교하기 위해 스캔바디 스캔 데이터를 7, 4.5, 2.5, 1.5, 1.0, 0.5 mm 총 6 가지 높이로 준비하여 라이브러리 파일과 중첩하였다. 전체가 노출된 7 mm 데이터를 대조군으로 하여 거리 편차와 각도 편차를 계산하였다. 결과: 첫번째 실험에서 A, B 스캔바디 간(P = .278), B, C 스캔바디 간(P = .568), C, A 스캔바디 간(P = .711) 스캔 파일의 거리 편차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A, B 스캔바디 간(P= .568), B, C 스캔바디 간(P = .546), C, A 스캔바디 간(P = .112) 스캔 파일의 각도 편차 또한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스캔바디는 구강 내 노출 높이가 높은 실험군(GH, Gingival Height = 4.5)의 라이브러리 중첩 정확도가 높이가 낮은 실험군(GH = 0.5)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P < .05). 결론: 스캔바디의 각기 다른 형태에 따른 스캔 정확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스캔바디의 구강 내 노출 높이에 따라 라이브러리 중첩의 정확도는 증가한다. 추후 in vivo 환경에서 더 다양한 형태의 스캔바디를 이용한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Comparison of three-dimensional digital technique with two-dimensional replica method for measuring marginal and internal fit of full coverage restorations

  • Hasanzade, Mahya;Koulivand, Soudabeh;Moslemian, Naeime;Alikhasi, Marzieh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2권3호
    • /
    • pp.173-180
    • /
    • 2020
  • PURPOSE. This study compared digital (reference point matching) and replica methods for measuring marginal and internal fit of full coverage restorations. MATERIALS AND METHODS. A maxillary left first molar typodent was fixed on to an aluminum base and prepared to receive all-ceramic full coverage restoration. The model was scanned with an intraoral scanner (CEREC Omnicam, Sirona, York, PA, USA). Twelve crowns were fabricated from lithium disilicate blocks (IPS emax CAD, Ivoclar Vivadent) and then crystalized. Marginal and internal fit of each restoration was measured by two examiners using replica and a new digital three-dimensional technique. Reliability between the two methods and two examiners was assessed by correlation and Cronbach's Alpha coefficient (P<.05). A Bland-Altman assessment for agreement was used to compare the two methods. RESULTS. Bland-Altman assessment showed that the mean of difference for marginal, absolute marginal, and axial gap was respectively -1.04 ㎛, -41.9 ㎛, and -29.53 ㎛ with limit of agreement (LOA) between -37.26 to 35.18 ㎛ for marginal, -105.85 to 22.05 ㎛ for absolute marginal and -80.52 to 22.02 ㎛ for axial gap. Positive correlation for repeatability (P<.05) in determining marginal and internal gaps by the two examiners in both techniques was revealed. Reliability of both techniques in all sites of measurements was at least good (0.8 ≤ α < 0.9). CONCLUSION. Both measuring techniques appeared highly reliable for evaluating fit of fixed dental restorations, while reference point matching provided higher values in axial and absolute marginal gap assessment.

하악골 골염도의 정량적 평가에 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Quantitative Assessment of Bone Mineral Density of the Mandible)

  • 박원길;최의환;김재덕
    • 치과방사선
    • /
    • 제29권1호
    • /
    • pp.161-173
    • /
    • 1999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bone mineral densities measured at mandibular premolar area by copper-equivalent image and hydroxyapatite phantom with those measured at radius by dual energy absorptiometry and to evaluate the clinical usefulness of Digital system with slide scanner, copper-equivalent image, and hydroxyapatite phantom. For experiment. intraoral radiograms of 15 normal subjects ranged from 20 years old to 67 old were taken with copper-step wedge at mandibular premolar area and bone mineral densities calculated by conversion equation to bone mineral density of hydroxyapatite were compared with those measured at radius distal 1/3 area by Hologic QDR-1000. Obtained results as follows: 1) The conversion equation was Y=5.97X-0.25 and its determination coefficient was 0.9967.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in the measurement of copper-equivalent value ranged from 4% to 8% and showed high reproducibility. 2)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in the measurement of bone mineral density by the equation ranged from 7% to 8% and showed high reproducibility. 3) The bone mineral densities ranged from 0.35 to 0.79g/cm2 at mandibular premolararea. 4)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bone mineral densities at mandibular premolar area and those at radius distal 1/3 area was 0.8965. As summary, digital image analyzing system using copper-equivalent image and hydroxyapatite phantom appeared to be clinically useful to measure the bone mineral density at dental area.

  • PDF

전자 서베잉을 이용한 서베이드 금관과 국소의치 프레임워크 디자인 (Surveyed restoration and RPD framework design utilizing electronic surveying)

  • 홍용신;박은진;김성균;곽재영;허성주;박지만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54-361
    • /
    • 2011
  • 구강 스캐너와 CAD/CAM 기술로 인해 컴퓨터로 제작하는 방식이 활발히 보급된 고정식 보철 증례와는 달리, 의치를 디지털 방식으로 제작하는 데에는 아직 한계가 많다. 촉각을 느낄 수 있는 입력 장비와 전자 서베잉의 개념, 그리고 쾌속 조형법의 적용으로 인해 국소의치를 디지털로 제작할 수 있는 솔루션이 최근 소개되고 있다. 본 증례보고에서는 이러한 국소의치의 디지털 솔루션을 이용하여 총 다섯 명의 환자에서 서베이드 금관 및 국소의치를 제작하였다. 인상 과정상의 문제로 모형과 실제 치아 사이의 형태적 차이가 있었던 경우를 제외하고는 국소의치의 적합도는 우수했으며, 장착 후 안정성과 착탈 시의 유지력 또한 임상에서 적용하는 데에 문제가 없었다.

Efficiency of occlusal and interproximal adjustments in CAD-CAM manufactured single implant crowns - cast-free vs 3D printed cast-based

  • Graf, Tobias;Guth, Jan-Frederik;Diegritz, Christian;Liebermann, Anja;Schweiger, Josef;Schubert, Oliver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3권6호
    • /
    • pp.351-360
    • /
    • 2021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occlusal and interproximal adjustments of single implant crowns (SIC), comparing a digital cast-free approach (CF) and a protocol using 3D printed casts (PC). MATERIALS AND METHODS. A titanium implant was inserted at position of lower right first molar in a typodont. The implant position was scanned using an intraoral scanner and SICs were fabricated accordingly. Ten crowns (CF; n = 10) were subject to a digital cast-free workflow without any labside occlusal and interproximal modifications. Ten other identical crowns (PC) were adjusted to 3D printed casts before delivery. All crowns were then adapted to the testing model, simulating chair-side adjustments during clinical placement. Adjustment time, quantity of adjustments, and contact relationship were assess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software (P < .05). RESULTS. Median and interquartile range (IQR) of clinical adjustment time was 02:44 (IQR 00:45) minutes in group CF and 01:46 (IQR 00:21) minutes in group PC. Laboratory and clinical adjustment time in group PC was 04:25 (IQR 00:59) minutes in total. Mean and standard deviation (±SD) of root mean squared error (RMSE) of quantity of clinical adjustments was 45 ± 7 ㎛ in group CF and 34 ± 6 ㎛ in group PC. RMSE of total adjustments was 61 ± 11 ㎛ in group PC. Quality of occlusal contacts was better in group CF. CONCLUSION. Time effort for clinical adjustments was higher in the cast-free protocol, whereas quantity of modifications was lower, and the occlusal contact relationship was found more favourable.

Computer-aided design (CAD) 및 쾌속조형술을 이용한 가철성 국소의치 수복 증례 (RPD framework fabrication using computer-aided design (CAD) and rapid prototyping)

  • 박선아;곽재영;허성주;김성균;박지만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94-99
    • /
    • 2017
  • CAD/CAM (computer-aided design/computer-aided manufacturing) 기술을 이용한 인레이 및 여러 고정성 보철물의 제작이 보편화되고 구강내 스캐너가 널리 보급되면서 디지털 치의학의 개념이 치과 보철학 분야 전반에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가철성 보철 부분에서는 디지털 개념의 적용이 쉽지 않으며 기존의 주조 방식에 많이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가철성 보철물의 제작 과정에 이런 개념을 적용해보려는 시도는 중요한 의미가 있다. 본 증례에서는 하악 Kennedy class III 무치악 환자에서 보철적, 심미적 요구에 의한 교합고경의 증가와 함께 CAD 및 쾌속조형술(RP, rapid prototyping)을 이용한 가철성 국소의치를 제작하였다. CAD를 이용하여 서베잉 및 국소의치 금속 구조물을 설계하였으며, 쾌속조형술은 금속 구조물을 주조하기 위한 레진 패턴 제작에 이용하였다. 9개월 간의 임상적 관찰 기간 동안 만족스러운 심미적, 기능적 결과를 얻어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A CAD/CAM-based strategy for concurrent endodontic and restorative treatment

  • Escobar, Patricia Maria;Kishen, Anil;Lopes, Fabiane Carneiro;Borges, Caroline Cristina;Kegler, Eugenio Gabriel;Sousa-Neto, Manoel Damiao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4권3호
    • /
    • pp.27.1-27.12
    • /
    • 2019
  • This case report describes a technique in which endodontic treatment and permanent indirect restoration were completed in the same clinical appointment with the aid of a computer-aided design/computer-aided manufacturing (CAD/CAM) system. Two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irreversible pulpitis of the mandibular first molar. After access preparation, root canals were located, irrigation was performed until bleeding ceased, and the coronal tooth structure was prepared for indirect restoration. Then, utilizing an interim 3-mm build-up of the endodontic access cavity, a hemi-arch digital scan was performed with an intraoral scanner. Subsequent to digital scanning, restoration design was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the endodontic procedure. The root canals were shaped using the Race system under irrigation with 2.5% sodium hypochlorite followed by root canal filling. The pulp chamber was subsequently filled with a 3-mm-thick composite resin restoration mimicking the interim build-up previously utilized to facilitate block milling in the CAD/CAM system. Clinical try-in of the permanent onlay restoration was followed by acid etching, application of a 5th generation adhesive, and cementation of the indirect restoration. Once the restoration was cemented, rubber dam isolation was removed, followed by occlusal adjustment and polishing. After 2 years of follow-up, the restorations were esthetically and functionally satisfactory, without complications.

Comparison of different impression techniques for edentulous jaws using three-dimensional analysis

  • Jung, Sua;Park, Chan;Yang, Hong-So;Lim, Hyun-Pil;Yun, Kwi-Dug;Ying, Zhai;Park, Sang-Won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1권3호
    • /
    • pp.179-186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wo novel impression methods and a conventional impression method for edentulous jaws using 3-dimensional (3D) analysis software. MATERIALS AND METHODS. Five edentulous patients (four men and one woman; mean age: 62.7 years) were included. Three impression techniques were used: conventional impression method (CI; control), simple modified closed-mouth impression method with a novel tray (SI), and digital impression method using an intraoral scanner (DI). Subsequently, a gypsum model was made, scanned, and superimposed using 3D analysis software. Mean area displacement was measured using CI method to evaluate differences in the impression surfaces as compared to those values obtained using SI and DI methods. The values were confirmed at two to five areas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CI and SI were compared at all areas, while CI and DI were compared at the supporting areas. Kruskal-Wallis test was performed for all data.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considered at P value <.05. RESULTS. In the comparison of the CI and SI methods, the greates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mandibular vestibule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P>.05); the difference was < 0.14 mm in the maxilla. The difference in the edentulous supporting areas between the CI and DI methods was not significant (P>.05). CONCLUSION. The CI, SI, and DI methods were effective in making impressions of the supporting areas in edentulous patients. The SI method showed clinically applicability.

임플란트 디지털 인상용 코핑의 정확성 비교 (Comparison of the accuracy of implant digital impression coping)

  • 안교진;이준석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6권1호
    • /
    • pp.29-40
    • /
    • 2020
  • 목적: Encoded healing abutment와 scan body를 이용한 디지털 인상과 pick-up 인상용 코핑을 이용한 인상 채득법의 정확도를 다른 임플란트 식립 각도에서 비교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3D 프린터를 이용해 주모형을 제작하고 0°, 10° 및 20°의 근심경사로 3개의 임플란트를 위치 시켰다. 각각의 임플란트에 지대주를 체결하고 주모형을 스캔하여 참조 모델을 만들었다. P군 모델은 pick-up 인상용 코핑을 사용하여 15개의 석고 모형을 만들고 지대주를 장착 후 스캔하여 제작하였다. E군과 S군의 모델은 각각 encoded healing abutment와 scan body를 주모형에 체결하고 구내 스캐너를 이용해 15회씩 인상채득을 하여 제작하였다. 각각의 실험군 STL 파일은 best fit alignment를 이용해 참조 모델과 중첩하였고 root mean square (RMS) 값을 분석하였다. 결과: RMS 값은 P군에서 가장 작았고(25.56 ± 2.53 ㎛), 그다음 S군(35.27 ± 2.56 ㎛), E군(38.29 ± 4.12 ㎛) 순 이었다. S군과 E군 사이에는 유의차가 없었고, P군은 S군과 E군 보다 작았다(P < 0.05). 임플란트 각도와 RMS 값의 상관관계는 E군에서 유의하였다(P < 0.05). 결론:Pick-up 인상용 코핑 방법은 encoded healing abutment와 scan body 인상 채득 방법에 비해 더 높은 정확도를 보였고 encoded healing abutment와 scan body 인상 방법은 정확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Encoded healing abutment의 임상적 사용은 가능하나 경사진 임플란트의 인상의 경우 주의하여 사용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