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image correlation technique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35초

연성 금속의 파괴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성영역의 현장 측정 (In-situ Measurement of Plastic Zone Developed During Ductile Fracture Process)

  • 백정현;김도형;강기주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0권6호
    • /
    • pp.637-642
    • /
    • 2006
  • A plastic zone size is regarded as a measure of material resistance, and also it determines the fracture behavior. The importance of estimating or measuring the plastic zone size cannot be too emphasized. In this article, SDSP(Stereo Digital Speckle Photography) is examined as a new techniques to measure the plastic zone developed in a ductile metal. This technique is simple, vibration free and non-contact, and measures simultaneously in-plane displacements as well as out-of plane displacements like the side necking. Experimental results for a CT specimen are presented to demonstrate the accuracy in comparison with those obtained by recrystallization technique and finite element analysis.

미소균열 측정에 대한 DIC 스펙클 형상의 영향 (The Effect of the DIC Speckle Patterns for a Microcrack Measurement)

  • 이준혁;권오헌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15-21
    • /
    • 2019
  • In order to secure the safety of various machinery, it is very important to develop a technique for accurately and quickly measuring the cracks generated in the mechanical equipment and evaluating the mechanical characteristics. The evaluation of the mechanical properties is accompanied by an appropriate strain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material and crack occurrence of the target structure. Especially, when micro cracks are generated, the evaluation method is very important. Digital image correlation is an optical full field displacement measuring method which is using currently with speckles in the interested area. However the evaluation method and conditions of image distributions have to be considered carefully to measure the crack occurrence because the images of the speckle patterns affect the quality of displacement results. In this study, the speckle pattern density is characterized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measurement method. And also the micro crack initiation is detected by the measured displacement in the adopted speckle pattern distribution. It is shown that the proposed method is useful to determine the density pattern distribution for the accurate measurement and crack detection.

순환벡터처리에 의한 디지털 영상복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in Digital Image Restoration by a Recursive Vector Processing)

  • 이대영;이윤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105-112
    • /
    • 1983
  • 本論文은 線形空間的不變인 段損(blur)과 自色가우스性雜音에 의해 損傷된 映像에 대한 循環復元(recursive restoration)技法을 論하였다. 映像은 確率設計學的으로 그 平均과 相關函數(correlation function)에 의해 特徵지워진다. 隣接모델(neighborhood model)에 指數的自己相關函數(exponential autocorrelation function)가 사용되며 解析이 간단하고 편리하므로 映像度相關函數를 나타내는데 벡터 모델이 사용된다. 이 벡터 모델을 基本으로 한 映像表現에 있어서 離散的, 統計學的인 12點隣接모델이 開發되고 次元의 增加를 抑制하며 破損되고 雜音섞인 映像을 復元하기 위한 窓(window)移動處理技法이 使用되었다. 12點隣接모델 8點隣接모델보다 優秀한 것으로 나타나며 隣接의 많은 畵素를 요하는 精密畵像에 適合함을 보인다. 이 結果는 線形필터링을 요하는 映像處理에 널리 이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 PDF

數値寫眞測量에 있어서 epipolar 幾何狀態를 形成하기 위한 映像再配列 (Image Resampling for Epipolar Geometry in Digital Photogrammetry)

  • 유복모;윤경철;정수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5-30
    • /
    • 1992
  • 수치사진측량에서 이용되는 대부분의 알고리즘은 수치화된 입체영상이 epipolar 기하상태를 이루고 있다는 가정을 근거로 하고 있으므로, 입체쌍의 주사선이 epipolartjs이 되어야 한다. 그러나 항공사진의 경우는 매 순간의 촬영위치에서 촬영자세가 달라지므로 epipolar 기하상태를 이루지 못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 쌍의 입체항공사진을 주사기(scanner)에 의해 수치영상으로 변환시키고, 절대표정후의 외부표정요소를 이용해 영상 재배열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대해 연구하였다. 그 결과 입체수치영상으로부터 epipolar 기하상태의 영상을 생성하였다. 생성된 epipolar 영상은 영상정합 과정에 적용하기 위해 수치영상상관기법으로 영상정합을 실시하였고, 영상정합의 결과를 이용해 수치표고모형을 제작하였다. 영상정합에 의해 생성된 수치표모고형은 해석도화기에 의해 생성된 수치표고모형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경제적인 방법으로 수치표고모형을 제작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 PDF

디지털 영상처리를 이용한 사장교의 변위 측정 (Displacement Measurement of Cable Stayed Bridge using Digital Image Processing)

  • 손병직;전승곤;허광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237-242
    • /
    • 2016
  • 본 논문은 돌산대교 모형 사장교에 하중을 주었을 때 발생되는 변위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디지털 영상처리 방법을 도입하여 실험을 하였다. 돌산대교 모형 사장교는 30:1로 축소한 경우로 길이 15.5m, 너비 400mm이다. 실험 방법은 영상처리 결과를 ANSYS 해석결과와 변위계 측정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영상처리 기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본 실험에 적용된 영상처리 기법은 상호상관 계수를 적용하였으며, 실험 조건은 100kgf 재하 하였을 때의 변위와 200kgf 재하 하였을 때의 변위를 측정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하중이 추가적으로 증가하여 발생되는 변위가 커질수록 영상처리에 대한 신뢰성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하중이 100kgf에서 200kgf으로 증가할 때, ANSYS 결과대비 오차율이 31%에서 14%로 감소하였으며, 변위계 결과대비 오차율 역시 17%에서 4%로 감소하였다. 200kgf 재하시 14%, 4%의 차이를 보이고 있어, 영상처리 기법으로 충분히 변위를 측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연구로는 동영상 파일로 부터 고유진동수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연구하고자 한다.

후두 내시경 영상에서의 성문 분할 및 성대 점막 형태의 정량적 평가 (Segmentation of the Glottis and Quantitative Measurement of the Vocal Cord Mucosal Morphology in the Laryngoscopic Image)

  • 이선민;오석;김영재;우주현;김광기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661-669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Deep Learning (DL) and Digital Image Processing (DIP) techniques using the results of the glottis segmentation of the two methods followed by the quantification of the asymmetric degree of the vocal cord mucosa. The data consists of 40 normal and abnormal images. The DL model is based on Deeplab V3 architecture, and the Canny edge detector algorithm and morphological operations are used for the DIP technique. According to the segmentation results, the average accuracy of the DL model and the DIP was 97.5% and 94.7% respectively. The quantification results showed high correlation coefficients for both the DL experiment (r=0.8512, p<0.0001) and the DIP experiment (r=0.7784, p<0.0001). In the conclusion, the DL model showed relatively higher segmentation accuracy than the DIP.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clinical applicability of this technique applying the segmentation and asymmetric quantification algorithm to the glottal area in the laryngoscopic images.

Frequency-Based Image Analysis of Random Patterns: an Alternative Way to Classical Stereocorrelation

  • Molimard, J.;Boyer, G.;Zahouani, H.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81-193
    • /
    • 2010
  • The paper presents an alternative way to classical stereocorrelation. First, 2D image processing of random patterns is described. Sub-pixel displacements are determined using phase analysis. Then distortion evaluation is presented. The distortion is identified without any assumption on the lens model because of the use of a grid technique approach. Last, shape measurement and shape variation is caught by fringe projection. Analysis is based on two pin-hole assumptions for the video-projector and the camera. Then, fringe projection is coupled to in-plane displacement to give rise to 3D measurement set-up. Metrological characterization shows a resolution comparable to classical (stereo) correlation technique ($1/100^{th}$ pixel). Spatial resolution seems to be an advantage of the method, because of the use of temporal phase stepping (shape measurement, 1 pixel) and windowed Fourier transform (in plane displacements measurement, 9 pixels). Two examples are given. First one is the study of skin properties; second one is a study on leather fabric. In both cases, results are convincing, and have been exploited to give mechanical interpretation.

Copyright Protection for Digital Image by Watermarking Technique

  • Ali, Suhad A.;Jawad, Majid Jabbar;Naser, Mohammed Abdullah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3권3호
    • /
    • pp.599-617
    • /
    • 2017
  • Due to the rapid growth and expansion of the Internet, the digital multimedia such as image, audio and video are available for everyone. Anyone can make unauthorized copying for any digital product. Accordingly, the owner of these products cannot protect his ownership. Unfortunately, this situation will restrict any improvement which can be done on the digital media production in the future. Some procedures have been proposed to protect these products such as cryptography and watermarking techniques. Watermarking means embedding a message such as text, the image is called watermark, yet, in a host such as a text, an image, an audio, or a video, it is called a cover. Watermarking can provide and ensure security, data authentication and copyright protection for the digital media. In this paper, a new watermarking method of still image is proposed for the purpose of copyright protection. The procedure of embedding watermark is done in a transform domain. The 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is exploited in the proposed method, where the watermark is embedded in the selected coefficients according to several criteria. With this procedure, the deterioration on the image is minimized to achieve high invisibility. Unlike the traditional techniques, in this paper, a new method is suggested for selecting the best blocks of DCT coefficients. After selecting the best DCT coefficients blocks, the best coefficients in the selected blocks are selected as a host in which the watermark bit is embedded. The coefficients selection is done depending on a weighting function method, where this function exploits the values and locations of the selected coefficients for choosing them. The experimental results proved that the proposed method has produced good imperceptibility and robustness for different types of attacks.

DCT 영역에서 암호화된 이진 위상 컴퓨터형성 홀로그램을 이용한 반복적 디지털 영상 워터마킹 기술 (An Iterative Digital Image Watermarking Technique using Encrypted Binary Phase Computer Generated Hologram in the DCT Domain)

  • 김철수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15-21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DCT영역에서 암호화된 이진 위상 컴퓨터형성홀로그램을 이용한 반복적 디지털 영상 워터마킹 기술을 제안하였다. 워터마크 삽입과정은 워터마크로 사용되는 은닉영상 대신 은닉영상을 손실없이 재생할 수 있는 이진 위상 컴퓨터형성홀로그램을 생성하고, 반복적으로 표현한 후, 이를 랜덤하게 발생시킨 이진 위상성분을 가지는 키 영상과의 XOR 연산을 통해 암호화하여 워터마크로 사용한다. 그리고 이 암호화된 워터마크에 가중치 함수를 곱하고, 호스트영상의 DCT 영역에서 DC 성분에 삽입한 후, IDCT를 수행한다. 워터마크의 추출은 워터마킹된 영상과 호스트영상의 DCT 계수 차이를 구하고, 삽입시 적용한 가중치 함수를 나눈 후, 키 영상과의 XOR 연산을 이용하여 복호화한다. 그리고 복호화된 워터마크를 역푸리에 변환하여 은닉 영상을 재생한다. 마지막으로 원래의 은닉영상과 복호화된 은닉영상과의 상관을 통해 워터마크의 존재여부를 결정한다. 제안한 방법은 워터마킹 기술은 이진 값으로 구성된 은닉 영상의 홀로그램 정보를 이용하고, 암호화 기법을 활용하였으므로 기존의 어떠한 워터마킹 기술보다 외부 공격에 안전하고, 견실한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그 장점들을 확인하였다.

DCT영역에서 스크램블된 이진 위상 컴퓨터형성홀로그램을 이용한 디지털 영상 워터마킹 기술 (Digital Image Watermarking Technique using Scrambled Binary Phase Computer Generated Hologram in Discrete Cosine Transform Domain)

  • 김철수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403-413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DCT 영역에서 스크램블된 이진 위상 컴퓨터형성홀로그램을 이용한 디지털 영상 워터마킹 기술을 제안하였다. 워터마크 삽입과정은 워터마크로 사용되는 은닉영상 대신 은닉영상을 손실 없이 재생할 수 있는 이진 위상 컴퓨터홀로그램을 생성하고 이를 스크램블기법으로 암호화 하여 워터마크로 사용한다. 그리고 암호화된 워터마크에 가중치 함수를 곱하고 호스트영상의 DCT 영역에서 DC성분에 삽입한 후 IDCT를 수행한다. 워터마크의 추출은 워터마킹된 영상과 원래의 호스트영상의 DCT계수 차이를 구하고, 삽입시 적용한 가중치 함수를 나눈 후 디스크램블링 하여 복호화 한다 그리고 복호화된 워터마크를 역푸리에 변환하여 은닉영상을 재생한다 마지막으로 원래의 은닉영상과 복호화된 은닉영상과의 상관을 통해 워터마크의 존재여부를 결정한다. 제안된 워터마킹 기술은 이진 값으로 구성된 은닉영상의 홀로그램정보를 이용하고 스크램블링 암호화 기법을 활용하였음으로 기존의 어떠한 워터마킹 기술보다 압축, 잡음 및 절단과 같은 다양한 외부공격에 안전하고 견실한 특징을 가지고 있음을 컴퓨터시뮬레이션을 통해 그 장점들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