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exclusion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9초

사회적 배제가 프라이버시 염려와 개인정보 제공의도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통제감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social exclusion on privacy concern and intention to provide personal information: Focused on perceived sense of control)

  • 전수지;정혜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0호
    • /
    • pp.151-161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배제 경험이 프라이버시 염려와 개인정보 제공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지각된 통제감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사회적 배제가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염려를 증가시키고, 개인정보 제공의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배제가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염려와 개인정보 제공의도에 미치는 지각된 통제감의 조절효과도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즉, 지각된 통제감으로 인해 사회적 배제가 프라이버시 염려와 개인정보 제공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적 배제가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염려와 개인정보 제공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지각된 통제감이 사회적 배제의 영향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함으로써 기존의 프라이버시 관련 연구 분야에서 개인의 심리적 요인도 영향 변수로 고려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사회적 배제와 중·고령 노인 우울의 연관성: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Association of Social Exclusion on Depression in Middle and Older Elderly: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s)

  • 이예진;노영민;김진욱;하영은;이주현;노진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2호
    • /
    • pp.293-301
    • /
    • 2019
  • 본 연구는 중 고령 노인의 우울과 연관이 높은 사회적 배제 요인 7가지를 새롭게 정의하고, 각 사회적 배제 요인과 노인의 우울의 연관성을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 6차년도(2016년) 자료 중 50세 이상 중 고령 노인을 추출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AS 9.4를 이용하여 기술분석, 카이제곱검정 및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노동, 주거, 건강, 관계가 배제된 노인이 우울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성은 주거 배제된 노인이 그렇지 않은 노인보다 우울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우울 연관 요인에서 성별 차이가 확인되었다. 이에 사회적 배제가 높게 나타난 요인인 노동과 문화에 대해 노인이 참여할 수 있는 지역 사회 프로그램 개선이 필요하며, 다양한 문화 프로그램의 참여 기회를 높여 노동과 문화 배제 해소를 통해 우울을 개선해야 한다. 또한 전반적인 노인의 사회적 배제 해소를 위한 구체적 지침의 마련이 필요하다.

디지털인쇄에서 색재현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olor Reproduction in Digital Printing)

  • 김재해;이성형;조가람;구철회
    • 한국인쇄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3-34
    • /
    • 2006
  • Color reproduc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expression factors in digital printing. In this paper, an experiment was done where the characteristics of color reproduction in digital printing. The results could summarized as follows. The printing used device profile showed a color difference of less than printing used default value in digital printing. As a result of weighting color difference, a difference between color gamut of digital original and color gamut of printing, when transforming the RGB color space to CMY color space, a exclusion the gray revision. The solution is to optimize the color transformation by gamut mapping and gray revision.

  • PDF

결혼이민자 여성소비자의 디지털정보격차지수 결정 요인: 연령별 차이 연구 (Age-related differences in the digital divide: Focusing on married female immigrants)

  • 김효정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6권3호
    • /
    • pp.217-232
    • /
    • 2018
  • This study analyzes the determining factors of the digital divide index in married female immigrants based on panel data from the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6). There were 287 participants, all of whom owned a smartphone. The study divided the consumer groups into three age groups: 20-29, 30-39, and 40-49 years. SPSS 19.0 was used to statistically analyze the results.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were described using frequency, descriptive, cross-tab, ANOVA,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nationality, acquisition of Korean nationality, and duration of living in Korea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hree groups. Second, digital competency and online service usage were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hree groups. Third, PC usage ability, mobile usage ability, and diversity of online usage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digital divide index in all age groups. Fourth, residential duration in Korea significantly decreased the digital divide index for groups in their 30s and 40s. Fifth, Lonelines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digital divide index for groups in their 20s. Sixth, depression significantly increased the digital divide index for groups in their 30s. The study will help to further understand age-related differences and the digital divide of married female immigrants.

Analysis of Bone Fixation Methods in Digital Replantation

  • Lee, Seung Woo;Lee, Dong Chul;Kim, Jin Soo;Roh, Si Young;Lee, Kyung Jin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4권1호
    • /
    • pp.53-58
    • /
    • 2017
  • Background Adequate fixation of replanted digits is essential not only for short-term healing but for long-term function. Various bony fixation methods using Kirschner (K-) and intraosseous wire are available in replantation. We examined clinical and radiographic outcomes of fixation methods on bone union after digital replantation. Methods A single institutional retrospective review identified 992 patients who had undergone 1,247 successful replantations between July 2009 and September 2015. Exclusion criteria included amputations of the distal phalanx, comminuted fractures, and intra-articular fractures. Patient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5 categories of fixation methods: single K-wire, double longitudinal K-wires, cross K-wires, wire with, and wire without K-wire support. Bone union was evaluated by 5-month postoperative X-ray and fixation outcomes were compared across the 5 groups. Results The exclusion criteria were applied, and 88 patients with 103 replanted digits remained for analysis. Single K-wire fixation was used in 40 digits, double longitudinal K-wires in 30, and cross fixation in 14. Wire with and without K-wire support was required in 15 and 4 digits. Nonunion was observed in 32 digits (31.1%), of which 13 required additional operations such as bone graft or corrective osteotomy. The highest percent of nonunion was observed after cross fixation (35.7%) and the lowest after wire alone (25.0%). Conclusions In this study, contrary to general knowledge, we found that single K-wire fixation was not associated with poorer outcomes. Successful bone union outcomes may be achieved by careful selection of bone fixation methods. This study provides useful information for planning bone fixation in digital replantation.

Fusion of LIDAR Data and Aerial Images for Building Reconstruction

  • Chen, Liang-Chien;Lai, Yen-Chung;Rau, Jiann-Yeou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773-775
    • /
    • 2003
  • From the view point of data fusion, we integrate LIDAR data and digital aerial images to perform 3D building modeling in this study. The proposed scheme comprises two major parts: (1) building block extraction and (2) building model reconstruction. In the first step, height differences are analyzed to detect the above ground areas. Color analysis is then performed for the exclusion of tree areas. Potential building blocks are selected first followed by the refinement of building areas. In the second step, through edge detection and extracting the height information from LIDAR data, accurate 3D edges in object space is calculated. The accurate 3D edges are combined with the already developed SMS method for building modeling. LIDAR data acquired by Leica ALS 40 in Hsin-Chu Science-based Industrial Park of north Taiwan will be used in the test.

  • PDF

한·미 FTA 전자상거래 협정문의 주요쟁점과 디지털콘텐츠 산업의 활성화 과제 (Legal Issues of Electronic Commerce Chapters of the Korea·US FTA and Tasks of the Digital Contents Industry)

  • 권순국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5호
    • /
    • pp.21-29
    • /
    • 2015
  • 인터넷의 출현은 국제상거래 분야에 영화, 음악, 소프트웨어 및 기타 디지털콘텐츠 제품의 전자적 거래를 발생시켰다. 본 연구는 한 미 FTA 전자상거래 협정문의 주요쟁점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디지털콘텐츠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과제에 대해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우선 통상측면의 과제로는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분류 및 관세 문제, 디지털콘텐츠의 비차별대우 문제, 시청각서비스의 배제 문제 등에 대한 해결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산업측면에서는 디지털콘텐츠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 수출지원 시스템의 일원화, 지역 및 장르별 해외시장 진출 전략 수립, 글로벌 전문인력의 양성, 디지털콘텐츠의 지적재산권 보호 등이 필요하다.

국내 뇌졸중 환자를 위한 디지털 치료의 효과: 메타분석 (The Effects of Digital Therapy for Stroke Patients in Korea: Meta-analysis)

  • 정재훈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15
    • /
    • 2023
  • Purpose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herapy for stroke patients in Korea. Methods : A comprehensive database search was performed using KCI, Science on, e-article, RISS, KISS and Korea OpenMed databases for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that studied the effects of digital therapy on patients who had a stroke. This study includes RCTs published from January 2000 to July 15, 2022, which fulfilled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A total 697 studies were screened and 30 studies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Methodological quality was assessed with the Cochrane's RoB (risk of bias) tool. Meta-analysis was performed using CMA 4.0 software. Results : A total of 56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from the 30 selected stud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overall effect size of digital therapy was .59 (95 % CI=.43-.74). When classified according to type of intervention, VR (virtual reality) (g=.58, 95 % CI=.40-.75), and CACR (computer assisted cognitive rehabilitation) (g=.62, 95 % CI=.30-.95)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VR showed medium to large effect sizes in cognitive function (g=.78, 95 % CI=.20-1.37), psychosocial function (g=.63, 95 % CI=.20-1.07), and physical function (g=.61, 95 % CI=.38-.83). In the CACR, there was a large effect size in cognitive function (g=.84, 95 % CI=.52-1.1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sychosocial function. Also,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interventions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ffect size of both interventions according to the intervention session. Furthermore, medium to large effect sizes were found for subacute and chronic stroke patients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disease. Conclusion : This study presents evidence that digital therapy has a positive effect on various functions of stroke patients in Korea. The researchers expect to actively accept the new paradigm of digital therapy and continue to apply digital therapy in clinical practice.

노인의 우울 완화를 위한 디지털 헬스케어의 활용: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The use of digital health care for the relief of depression in the elderl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서은주;박명배;임진섭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9호
    • /
    • pp.71-79
    • /
    • 2022
  • 본 연구는 디지털 헬스케어가 노인의 우울 완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체계적 문헌고찰을 수행하였으며, 메타분석을 통해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체계적 문헌고찰을 위해 CINHAL, Embase, Medline, DBpia, KERIS, KISS, RISS를 검색한 결과 총 4,071편이 검색되었고, 문헌 선정 및 배제 기준에 따라 최종적으로 6편의 논문이 분석에 포함되었다. 그 중 메타분석이 가능한 5편의 연구를 분석한 결과 우울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SMD=-4.73, 95% CI -7.44 to -2.01, Z=3.41, p=.0007). 디지털 헬스케어를 제공한 프로그램의 종류로는 웹 기반 프로그램만이 포함되었으므로, 향후 스마트 기기 등 다양한 부분에서의 디지털 헬스케어의 적용으로 노인의 우울 증상을 줄이는 방안을 모색할 것을 제안한다.

노년층의 성취자본이 디지털자본 획득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디지털 기기 이용 태도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Accomplished Capital of the Elderly on Digital Capital -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with Digital Device Use Attitudes)

  • 김봉섭;고정현
    • 정보화정책
    • /
    • 제29권2호
    • /
    • pp.106-126
    • /
    • 2022
  • 한동안 사람들의 관심에서 멀어졌던 디지털 격차 이슈가 디지털 전환의 급속한 진행으로 재부상하고 있다. 최근 디지털 격차는 기기 소유 여부를 넘어 디지털 기기에 대한 접근과 활용 역량의 차이가 경제적, 사회적 불평등과 차별을 심화시킨다는 쪽으로 논의가 확대되고 있다. 그 어떤 계층보다 노년층이 사회로부터 배제되고 소외되는 현상이 심각하다. 이에 따라 노년층 디지털 격차 현상에 대한 이해를 높여 디지털 격차 해소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본 연구를 진행했다. 이를 위해 노년층 디지털 기기 활용과 관련하여 삶의 과정에서 획득한 '성취자본'과 디지털 기기 이용 태도 등의 관계를 고찰했다. 분석은 '2020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65세 이상 노년층 653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분석 결과, 디지털 기기 이용 태도를 중심으로 학력자본, 소득자본, 사회자본, 정서자본 등의 성취자본이 노년층의 디지털 역량 자본에 다양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했다. 이를 토대로 노년층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