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evidence

검색결과 494건 처리시간 0.036초

사이버 침해사고 유형별 디지털 포렌식 증거의 식별 및 수집에 관한 연구 (Research about the Identification and Gathering of Digital Forensic Evidence by Cyber Intrusion Accident Types)

  • 신경준;이상진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93-105
    • /
    • 2007
  • 급격히 증가하는 사이버 침해사고의 수사에 디지털 포렌식 기술과 도구들이 많이 사용되고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디지털 포렌식 증거의 식별 및 수집 도구는 매우 어려운 통합도구이거나 간단하지만 기능이 미흡한 도구들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로 인해 공공기관이나 민간 기업의 침해사고 수사시 중요한 디지털 증거들이 누락되거나 훼손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윈도우 시스템을 기반으로 'Log Parser'을 이용한 '사이버 침해사고 유형별 디지털 포렌식 증거 식별 및 수집 도구'를 제안하고 이를 이용한 사이버 침해사고 유형별 디지털 포렌식 증거의 식별 및 수집에 관한 방법론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 PDF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 디지털리터러시, 간호정보역량이 근거기반실무역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Digital Literacy, and Nursing Informatics Competence on the Competency in Evidence-Based Practice among Clinical Nurses)

  • 박상언;최소영
    • 임상간호연구
    • /
    • 제30권1호
    • /
    • pp.1-10
    • /
    • 2024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ompetency in evidence-based practic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digital literacy, and nursing informatics competence, an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ompetency in evidence-based practice among nurses.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96 nurses from a university hospital in J-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1 to December 30, 2023.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 26.0 program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ompetency in evidence-based practice included nursing informatics competenc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digital literacy, and having a master's degree. The participants with a master's degree demonstrated higher competency in evidence-based practice compared to those with a three-year degree or a four-year degree, and a total explanatory power was 53.1%. Conclusion: In this stud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digital literacy, and nursing informatics competence were influential factors in competency of evidence-based practice. Therefore, a variety of interven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enhance the impact of these factors on nurses' competency in evidence-based practice.

Digital Forensics: Review of Issues in Scientific Validation of Digital Evidence

  • Arshad, Humaira;Jantan, Aman Bin;Abiodun, Oludare Isaac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4권2호
    • /
    • pp.346-376
    • /
    • 2018
  • Digital forensics is a vital part of almost every criminal investigation given the amount of information available and the opportunities offered by electronic data to investigate and evidence a crime. However, in criminal justice proceedings, these electronic pieces of evidence are often considered with the utmost suspicion and uncertainty, although, on occasions are justifiable. Presently, the use of scientifically unproven forensic techniques are highly criticized in legal proceedings. Nevertheless, the exceedingly distinct and dynamic characteristics of electronic data, in addition to the current legislation and privacy laws remain as challenging aspects for systematically attesting evidence in a court of law. This article presents a comprehensive study to examine the issues that are considered essential to discuss and resolve, for the proper acceptance of evidence based on scientific grounds. Moreover, the article explains the state of forensics in emerging sub-fields of digital technology such as, cloud computing, social media, and the Internet of Things (IoT), and reviewing the challenges which may complicate the process of systematic validation of electronic evidence. The study further explores various solutions previously proposed, by researchers and academics, regarding their appropriateness based on their experimental evaluation. Additionally, this article suggests open research areas, highlighting many of the issues and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empirical evaluation of these solutions for immediate attention by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Notably, academics must react to these challenges with appropriate emphasis on methodical verification. Therefore, for this purpose, the issues in the experiential validation of practices currently available are reviewed in this study. The review also discusses the struggle involved in demonstrat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se approaches with contemporary evaluation methods. Furthermore, the development of best practices, reliable tools and the formulation of formal testing methods for digital forensic techniques are highlighted which could be extremely useful and of immense value to improve the trustworthiness of electronic evidence in legal proceedings.

Script에서 Forensic 증거자료 확보 방안 (Generation of Forensic Evidence Data from Script)

  • 김슬기;박대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53-355
    • /
    • 2017
  • 최근 발달된 디지털기기들은 사이버로 연결되어 사용되고 있다. 디지털기기 사용자들은 사이버에 연결된 단말기들을 활용하여 금융결제, 전자상거래 등 활동을 하고 있다. 사이버거래의 활성화와 함께 사용자에 대한 사이버범죄가 증가하고 있다. 사이버범죄의 수사에서 Forensic 증거자료를 확보하여야 한다. 하지만, 디지털 포렌식 증거자료를 분석하기에는 많은 정보가 함유되어 있다. 이러한 많은 디지털정보에서, 사이버범죄에 증거를 확보하기 위한 Script가 효율적인 방안이다. 본 논문 연구에서는 Script를 활용하여, Forensic 증거자료를 확보하는 방안을 연구한다. EnCase를 통한 증거자료 추출과 Script를 활용한 증거자료 확보 방안을 연구한다. 본 연구는 안전한 국민생활을 위한 사이버 보안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PDF

Proposal of AI-based Digital Forensic Evidence Collecting System

  • Jang, Eun-Jin;Shin, Seung-J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3권3호
    • /
    • pp.124-129
    • /
    • 2021
  • As the 4th industrial era is in full swing, the public's interest in related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big data, and block chain is increasing. As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s used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the need for research methods incorporat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n related fields is also increasing. Evidence collection among digital forensic investigation techniques is a very important procedure in the investigation process that needs to prove a specific person's suspicions. However, there may be cases in which evidence is damaged due to intentional damage to evidence or other physical reasons, and there is a limit to the collection of evidence in this situation. Therefore, this paper we intends to propose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evidence collection system that analyzes numerous image files reported by citizens in real time to visually check the location, user information, and shooting time of the image files. When this system is applied, it is expected that the evidence expected data collected in real time can be actually used as evidence, and it is also expected that the risk area analysis will be possible through big data analysis.

스마트그리드 기기 보안 침해사고 대응을 위한 원격 증거 수집 시스템 설계 (The Design of Remote Digital Evidence Acquisition System for Incident Response of Smart Grid Devices)

  • 강성구;김신규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5권1호
    • /
    • pp.49-60
    • /
    • 2015
  • 스마트그리드 기기는 스마트그리드의 주요 구성요소로 전력 서비스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수집 및 처리하고, 주변의 다른 스마트그리드 기기 또는 상위 시스템들과 정보를 송 수신하여 보다 지능화된 전력 제공 서비스 제공한다. 하지만 이러한 스마트그리드 기기들은 보안 침해사고 발생 시 다른 스마트그리드 기기 또는 상위 주요 시스템으로 침입할 수 있는 경로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전력 서비스에 큰 장애가 발생 할 수 있다. 따라서 보안 침해사고 발생 시 전력 서비스의 가용성 확보를 위해 스마트그리드 기기에 대한 증거 수집 및 분석, 복구 등에 있어 보다 신속한 대응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스마트그리드 기기에서 발생될 수 있는 보안 침해사고를 보다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스마트그리드 기기의 운영환경을 분석하여 원격 증거 수집 시스템이 기존 IT환경에 비해 스마트그리드 환경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적용 및 운영됨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스마트그리드 기기 운영환경을 고려한 스마트그리드 기기 원격 증거 수집 시스템 설계 방안을 제시하였다.

디지털 포렌식 증거 채택 기준의 한계와 개선 방안 (Limitations and Improvements of Adoption Criteria for Digital Forensic Evidence)

  • 김민수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35-43
    • /
    • 2018
  • 현재 디지털 증거는 증거 채택에 있어 자유심증주의를 택하는 바, 채택의 기준이 명확하지 못하며, 분산처리 기법으로 디지털 증거의 분석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나 암호기술의 발전 등으로 영장청구 제한시간인 48시간에 적합하지 못한다는데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민/형사 소송절차에서의 증거능력과 증명력을 판례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자유심증주의를 대체할 객관적이고 세부적인 채택기준의 필요성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또한, 포렌식 관점에서의 영장 청구 제한시간에 대한 문제점과 이에 대한 개선안으로 디지털 증거분석 사전신청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모바일 포렌식 에서의 무결성 입증방안 연구 (Integrity proof Method research in Mobile Forensic)

  • 김기환;신용태;박대우
    • 한국컴퓨터정보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7-46
    • /
    • 2007
  • 최근에는 IT기술의 발전으로 다양한 기능을 하는 모바일 정보 기기의 보급이 많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모바일 정보기기의 대표적인 휴대폰을 이용하여 더 편리하고 효율적인 생활 및 업무를 하는 순기능도 있지만, 휴대폰을 이용한 첨단기술자료 유출, 개인의 프라이버시 침해, 공갈 및 협박 등의 범죄의 수단으로 활용되는 역기능도 나타나게 되어 문제점들이 많이 나타나게 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휴대폰을 이용한 범죄에 대해서는 법령 미비 등의 법적 연구도 부족할뿐더러 수사 관점에서도 삭제, 복사, 이동이 쉬운 디지털증거의 특성상 객관적인 증거로 보장하기 위한 디지털증거의 무결성을 입증하기 위한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디지털 포렌식 분야를 모바일 포렌식 이라고 한다. 본 논문에서 모바일 포렌식의 대표격인 휴대폰을 통하여 일어날 수 있는 디지털증거의 획득 방안에 대하여 실제 검증해보고 해쉬함수를 이용하여 디지털증거의 무결성을 입증하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 PDF

디지털 치료제가 뇌성마비 아동의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효과: 체계적 고찰 (Effect of digital therapies on balance and gait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 systematic review)

  • 김정현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92-110
    • /
    • 2023
  • Background: Digital therapeutics are software medical devices that provide evidence-based treatments to prevent, manage, and treat disease. Digital therapies have recently been shown to be effective in motivating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s a tool in neuropsychological therapy. Digital therapies improve postural control, balance and gait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gital therapies on balance and gait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nd to provide guidelines for prescribing digital therapies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Design: A Systematic Review Methods: This study searched for English-language articles published in medical journals from January 2000 to July 2023 using PubMed and MEDLINE based on the year of initiation of the digital therapy. The search terms used in the study were 'digital technology' OR 'digital therapeutic' OR 'mobile application' OR 'mobile health' OR 'virtual reality' OR 'game' AND 'cerebral palsy', 'balance' 'gait' as the main keywords. The final article was assigned an evidence level and a Physiotherapy Evidence Database (PEDro) score to assess the quality of clinical trials studies. Results: The digital therapies applied to improve balance and gait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re game-based virtual reality training and the Nintendo Wii Fit program. Both digital therapy intervention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balance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nd virtual reality training significantly improved balance and gait.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improvements in balance and gait within two weeks of treatment, regardless of the type of digital intervention. Conclusion: The study suggests that this data will be important in building the evidence base for the effectiveness of digital therapies on balance and gait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nd in advancing clinical protocols.

디지털 증거물의 법적능력 확보를 위한 정보감사용 e-Forensic 툴 연구 (e-Forensic Tool Research for Obtaining Legal Evidence Ability of Digital Evidence by Intelligence Inspection)

  • Kim, Seungyong;Kim, Gyeongyong;Hwang, Incheol;Kim, Dongsik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267-275
    • /
    • 2017
  • 본 연구는 재해현장에서 발생한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증거물을 채집 분석하는데 있어 디지털 포렌식 기법에 입각하여 효율적으로 재해 현장 디지털 데이터를 채증할 수 있는 e-Forensic 툴 개발에 관한 것이다. 현장에서 채집한 다양한 디지털 증거물이 법적 증거물로 채택되기 위해서는 디지털 증거물이 위변조가 없는 원본과 동일한 상태임을 입증해야만 하는데 이를 본 e-Forensic툴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이 툴을 활용하면, 현장 수사 중 디지털 파일을 증거로 수집하는 경우에 현장에서 바로 해시값을 생성, 암호화된 디지털 파일에 부가함으로써 디지털 파일의 원본과 사본의 동일성을 보장하고 현장 증거의 무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음을 증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