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elevation model

검색결과 720건 처리시간 0.027초

Utilization of Thematic Mappers Data for the Comparison of Methods to Create Watersheds

  • Chang, Eun-Mi;Park, Kyeong;Kim, Young-Soo;Lee, Bok-Ho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1999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343-348
    • /
    • 1999
  • Delineation of watersheds is one of the most basic steps for water resource management and National Park manag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o utilize Thematic Mappers scenes to compare watersheds created by running a model with those produced by digitizing topographic maps of Keum River basin. A methodology is designed and tested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GIS) and remote sensing to map areas with various thematic maps. A CAD data on watersheds from the Decision Support system for Water Quality is converted into GIS format. The digital elevation model with 100-meter resolution is used to create watershed by cumulative watershed method. TM scenes are also classified by new procedures including stacking method, NDVI, NDWI, and unsupervised classification methods. To evaluate the relative correctness Kyerongsan National Park was studied intensively whose area was divided into 6 watersheds in both cases. The boundaries of watershed from the model are less correct than those of the topographic maps. This result shows that automated watershed creating system needs higher-resolution digital elevation model than 100-meters.

  • PDF

위성영상 RPC 카메라 모델로부터 외부표정요소 결정 (Exterior Orientation Parameters Determination from Satellite Imagery RPC Camera Model)

  • 이효성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59-67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위성영상의 RPC 카메라 모델로부터 외부표정요소 결정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법을 이용하여 SPOT 위성영상을 이용한 선행실험을 한 결과, RPC로부터 결정된 외부표정요소와 원래의 외부표정요소의 차이는 미소하였으며, 지상좌표 추출에 있어서도 거의 유사한 결과 정확도를 얻었다. 그리고 제안한 방법을 IKONOS 위성의 Geo레벨 입체영상에 적용한 후, RPC 블럭조정방법에 의한 위치결정 정확도와 비교한 결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두 방법으로 획득한 샘플지역의 DEM 또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Application of adaptive mesh refinement technique on digital surface model-based urban flood simulation

  • Dasallas, Lea;An, Hyunuk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0년도 학술발표회
    • /
    • pp.122-122
    • /
    • 2020
  • Urban flood simulation plays a vital role in national flood early warning, prevention and mitigation. In recent studies on 2-dimensional flood modeling, the integrated run-off inundation model is gaining grounds due to its ability to perform in greater computational efficiency. The adaptive quadtree shallow water numerical technique used in this model implements the adaptive mesh refinement (AMR) in this simulation, a procedure in which the grid resolution is refined automatically following the flood flow. The method discounts the necessity to create a whole domain mesh over a complex catchment area, which is one of the most time-consuming steps in flood simulation. This research applies the dynamic grid refinement method in simulating the recent extreme flood events in Metro Manila, Philippines. The rainfall events utilized were during Typhoon Ketsana 2009, and Southwest monsoon surges in 2012 and 2013. In order to much more visualize the urban flooding that incorporates the flow within buildings and high-elevation areas, Digital Surface Model (DSM) resolution of 5m was used in representing the ground elevation. Results were calibrated through the flood point validation data and compared to the present flood hazard maps used for policy making by the national government agency. The accuracy and efficiency of the method provides a strong front in making it commendable to use for early warning and flood inundation analysis for future similar flood events.

  • PDF

수치표고모델, 3차원 카메라이미지자료 및 복사모델을 이용한 Sky Line과 Skyview Factor에 따른 강릉원주대학교 복사관측소 관측환경 분석 (Analysis of Observation Environment with Sky Line and Skyview Factor using Digital Elevation Model (DEM), 3-Dimensional Camera Image and Radiative Transfer Model at Radiation Site,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 지준범;조일성;김부요;이규태;장정필
    • 대기
    • /
    • 제29권1호
    • /
    • pp.61-74
    • /
    • 2019
  • To investigate the observational environment, sky line and skyview factor (SVF) are calculated using a digital elevation model (DEM; 10 m spatial resolution) and 3 dimensional (3D) sky image at radiation site,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GWNU). Solar radiation is calculated using GWNU solar radiation model with and without the sky line and the SVF retrieved from the 3D sky image and DEM. When compared with the maximum sky line elevation from Skyview, the result from 3D camera is higher by $3^{\circ}$ and that from DEM is lower by $7^{\circ}$. The SVF calculated from 3D camera, DEM and Skyview is 0.991, 0.998, and 0.993, respectively. When the solar path is analyzed using astronomical solar map with time, the sky line by 3D camera shield the direct solar radiation up to $14^{\circ}$ with solar altitude at winter solstice. The solar radiation is calculated with minutely, and monthly and annual accumulated using the GWNU model. During the summer and winter solstice, the GWNU radiation site is shielded from direct solar radiation by the west mountain 40 and 60 minutes before sunset, respectively. The monthly difference between plane and real surface is up to $29.18M\;m^{-2}$ with 3D camera in November, while that with DEM is $4.87M\;m^{-2}$ in January. The difference in the annual accumulated solar radiation is $208.50M\;m^{-2}$ (2.65%) and $47.96M\;m^{-2}$ (0.63%) with direct solar radiation and $30.93M\;m^{-2}$ (0.58%) and $3.84M\;m^{-2}$ (0.07%) with global solar radiation, respectively.

남한 강수량 분포 추정을 위한 PRISM 매개변수 및 수치표고모형 최적화 (Optimization of PRISM Parameters and Digital Elevation Model Resolution for Estimat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Precipitation in South Korea)

  • 박종철;정일원;장희준;김만규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6-51
    • /
    • 2012
  • 생태환경모델링, 수문모델링, 기후변화 영향평가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정규 격자 형태의 기후자료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PRISM(Precipitation-Elevation Regressions on Independent Slopes Model)은 다양한 격자형태의 기후자료 생산방법 중 고지대의 강수량 추정에 유용한 방법이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이 모델의 매개변수 및 모델에 사용되는 수치표고모형의 공간해상도 최적화에 대한 논의가 충분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PRISM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SCE-UA(Shuffled Complex Evolution-University of Arizona) 기법을 이용하여 2000-2005년 1km 공간해상도의 남한 연평균 강수 격자자료를 생산하는 데 필요한 PRISM 매개변수 최적값 및 DEM의 적정 공간해상도를 추정하였다. 아울러 매개변수와 수치표고모형에 대한 PRISM의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PRISM 모델에서 관측소 최대 탐색반경(67km)과 최소반경(31km), 지형고도-강수량의 선형회귀식 산정에 필요한 최소 관측소 개수(4개), 수치표고모형의 적정 공간해상도($1{\times}1km$) 등을 결정하였다. 그리고 PRISM 모의 결과가 수치표고모형의 공간해상도에 매우 민감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PRISM 기법을 국내에 적용할 때 정확도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항공사진 영상을 이용한 도심지역의 지형공간정보 취득 (The Acquisition of Geo-spatial Information by Using Aerial Photo Images in Urban Area)

  • 이현직;김정일;황창섭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7-36
    • /
    • 2003
  • 일반적으로 도심지역의 지형공간정보 취득은 대축척 항공사진영상을 이용하여 수치사진측량방법에 의해 수치 표고모형(DEM) 및 정사투영영상을 제작함으로써 수행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수치사진측량방법을 이용하여 도심지역의 지형공간정보를 취득할 때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자동으로 추출되는 DEM의 정확도가 크게 저하되어 정사투영영상 및 수치지도의 정확도 역시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치사진측량방법을 이용하여 도심지역의 DEM 정확도 향상방안에 대하여 연구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도심지역의 지형공간정보 추출에 기여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의 수행결과, 지형분류를 통하여 DEM을 각 지형별로 제작함으로써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자동추출된 DEM에 비하여 DEM의 정확도를 크게 향상시켰으며 또한, 경계선추출방법을 적용함으로써 3차원 수치지도의 제작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SWAT를 이용한 델라웨어강 유역의 수질모델링 (Water Quality Modeling in the Delaware River Basin by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s))

  • 조성민;이명우
    • 환경영향평가
    • /
    • 제4권2호
    • /
    • pp.39-57
    • /
    • 1995
  • 이 논문은 미국 Pennsylvania의 델라웨어강 유역에서의 토지이용으로 인한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질모형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를 GIS등과 결합하여 (Arc/info 와 GRASS)사용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GIS를 수치수질모형과 결합하여 사용하였으며 그 대상지역은 $250km^2$의 Brodhead Creek 유역이다. 수질모형에 사용된 자료는 1:250,000의 DEM (Digital Elevation Model)에서 추출된 자료와 토양자료 및 관측된 유량 및 질산염 농도와 관련된 자료이다. 그리고 DEM자료, Curve Number 및 기타 입력변수의 민감도를 분석하였다.

  • PDF

준 분포형 모형을 이용한 비점오염원 유출모델링 및 관리 -삼척 오십천을 중심으로- (Non-point Source Pollutants Runoft Modeling and its Management Using Quasi Distributed DEM -Focused on the Oshipchon of Samcheok)

  • 강상혁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3권1호
    • /
    • pp.43-53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폐쇄성 수역에 있어서 비점 오염원의 모델링 및 적정 수환경 관리방안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공간적으로 분포하는 각종 환경정보를 효과적으로 얻기 위하여 GIS데이터(contour data)를 이용하였다. 등고선 데이터로부터 소유역 및 하도망을 자동적으로 도출하였으며, 준 수치고도모델(Quasi Digital Elevation Model)을 모형화함으로써 유역으로부터의 질소 오염물질 유출량을 해석하였다. 본 모형은 실측자료를 토대로 유효화하였다. GIS와 연계한 본 모형은 수역의 오염현황을 고려한 유역의 비점 오염원유출 분석에 효과적이며, 향후 수 환경 관리에 적절하게 이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SWMM 기반 SRTM-DEM을 활용한 강우-유출 모의 가능성 평가 (Assessment of Feasibility of Rainfall-Runoff Simulation Using SRTM-DEM Based on SWMM)

  • 김미래;강준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3권7호
    • /
    • pp.443-452
    • /
    • 2024
  • The recent increase in impermeable surfaces due to urbanization and the occurrence of concentrated heavy rainfall events caused by climate change have led to an increase in urban flooding. To predict and prepare for flood damage, a convenient and highly accurate simulation of rainfall-runoff based on geospatial information is essential. In this study, the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SWMM) was applied to simulate rainfall runoff in the Bangbae-dong area of Seoul, using two sets of topographical data: The conventional topographic digital elevation model (TOPO-DEM) and the proposed shuttle radar topography mission (SRTM)-DEM.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the SRTM-DEM for rainfall-runoff modeling, two DEMs were constructed for the study area, and rainfall-runoff simulations were performed. The construction of the terrain data for the study area generally reflected the top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area. Quantitative evaluation of the rainfall-runoff simulation results indicated that the outcomes were similar to those obtained using the existing TOPO-DEM.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propose the use of SRTM-DEM, a more convenient terrain data, in rainfall-runoff studies, rather than asserting the superiority of a specific geospatial data.

조선지형도와 SRTM 및 Copernicus 글로벌 수치지형모델을 이용한 북한 무산광산의 채광량 및 폐석 적치량 추정 (Estimation of the Amount of Mining and Waste Rocks at Musan Mine in North Korea Using a Historical Map and SRTM and Copernicus Global Digital Elevation Models)

  • 추용재;이훈열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9권5_1호
    • /
    • pp.495-505
    • /
    • 2023
  • 함경북도 무산군에 위치한 무산 광산은 한반도의 대표적인 노천 철 광산으로 1935년부터 본격적인 채광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지난 백 여년 동안 무산 광산 지역에서 발생한 채광량 및 적치량을 지형 고도의 변화를 통해 추정하고자 하였다. 광산의 부피 변화를 계산하기 위해 1918년에 발행된 1:200,000 축척의 조선 제3차 지형도를 디지타이징(digitizing)하여 digital elevation model (DEM)화한후, Shuttle Radar Topography Mission (SRTM) DEM (2000) 및 Copernicus DEM (2011-2015)과 비교하였다. 구해진 부피 변화에 철광석과 폐석의 밀도와 공극률을 가정하여 질량으로 환산한 결과, 백 년 동안 약 13억 7천만 톤의 철광석이 채광되었고 약 10억 6천만 톤의 폐석이 적치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무산 광산이 본격적으로 개발되기 이전의 자연 지형 자료를 사용함으로써 약백년 가량의 무산 광산의 활동을 정량적으로 산정했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향후 자료 획득이 제한된 북한의 장기적 지형변화 탐지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