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appliance

검색결과 257건 처리시간 0.026초

유성견에서 periodontal distraction에 의한 급속 치아견인 시 치수 및 치주조직의 변화에 관한 연구 (Pulp and periodontal tissue changes following rapid tooth retraction by periodontal distraction in young adult dogs)

  • 이종진;홍현실;채종문;조진형;김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351-363
    • /
    • 2007
  • 유성견에서 periodontal distraction 과정을 통해 급속 견인 후에 치수와 치주조직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유성견의 상악 제2소구치를 발거하고 제3소구치 근심의 치간골을 부분 제거하였다. 견인장치는 6일 동안 하루에 2번씩 견인하고, 강화기 동안 0주, 1주, 3주, 5주, 7주, 9주에 치수와 치주조직의 변화를 임상적, 방사선학적, 조직학적, 면역조직화화학적으로 관찰하였다. 신장된 치주인대 내에서 견인 직후부터 4주까지 활발한 골밀도 증가를 보였으며, 특히 2-3주 사이에서 가장 활발하였다. 강화기 0주에 압박측 치조골의 흡수 및 파골세포 출현, 염증세포 침윤이 가장 많이 관찰되었고 1주의 신장측 치주인대에서 특징적인 골형성을 보이기 시작하였다. 신생골 형성은 1주와 3주에 가장 많이 관찰되었으며 9주에는 성숙골로의 대치 및 치주인대의 재생으로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실험군의 calcitonin gene-related peptide의 발현은 치수, 치주인대 내의 염증 부위에서 나타났으며 0주, 1주에 압박측 치주인대에서 증가하였다가 5주 이후에는 감소하여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이상과 같은 소견은 periodontal distraction에 의한 급속 치아 이동이 정상적인 골 재형성 과정을 도모하는 새로운 치아이동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조작 방식에 따른 음성과 소리 피드백의 할당 방법 가전제품과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An Arrangement Method of Voice and Sound Feedback According to the Operation : For Interaction of Domestic Appliance)

  • 홍은지;황해정;강연아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5-22
    • /
    • 2016
  • 가전제품과 사용자와의 상호작용 방식이 다양해지고 있다. 사용자는 리모컨, 터치스크린 등으로 기기를 제어할 수 있고, 기기 역시 사운드, 음성, 시각적 신호 등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줄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사용자의 조작 방식에 따른 피드백 방식을 배정하는 원칙이나 기준이 없어 각 브랜드, 기기 별로 임의로 배정되어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가 가전제품을 음성 명령을 통해 조작할 때와 버튼으로 조작할 때 가전제품에서 주어지는 피드백의 방식으로 음성, 소리 중 어떤 방식이 적절한지 실험을 통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조작 방식(음성 인식, 버튼), 피드백 방식(음성 안내, 소리)의 조합으로 구성 된 총 4가지($2{\times}2$) 셀을 갖는 요인 설계 실험을 진행하였고, 조작 방식과 피드백 방식의 조합에 따라 피 실험자가 느끼는 사용성, 만족도, 선호도, 적합도가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가전제품을 음성 인식으로 조작 하는 것이 사용 용이성, 조작 만족도가 높았다. 하지만 버튼으로 조작 했을 때는 피드백 방식의 종류에 따라 사용 용이성, 조작 만족도가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나, 조작 방식과 피드백 방식의 상호작용 효과가 검정되었다. 조작 방식, 피드백 방식의 조합이 가전에 적절한지에 대해서는 피드백 방식의 주효과가 검정되었다. 결론적으로 음성 인식으로 조작 할 때는 피드백이 소리(earcons)로 제시되는 것이 만족도가 높았으나 이는 통계적으로 검정 되는 정도는 아니었으며, 버튼을 조작 할 때는 피드백이 음성 안내로 제시되는 것이 만족도가 높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검정 되었다. 또한 가전에 어떠한 조작 방법이나 피드백 방법이 적절한지에 대해서는 피드백 방법이 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자 중심 시나리오를 활용한 IPTV 인터페이스 분석 (IPTV and User Scenario-Based Interface in Home Network Service)

  • 이지희;김소현;김현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92-100
    • /
    • 2010
  • 현재 홈 네트워크 환경은 디지털 가전기기의 발전으로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TV는 IPTV의 양방향성 특성으로 시청환경과 거주환경에도 변화를 주고 있다. TV는 거주자의 동선이 가장 많이 확보되는 거실에 배치되어 있다는 점과 가족구성원이 손쉽게 사용하고 사용도 또한 높다는 점에서 홈 미디어의 통합적 제어 역할에 적합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 그래서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TV의 현재 역할과 사용자 시나리오 분석을 통해 앞으로의 사용자 니즈를 유추하기 위해 1차적으로 국내외 기업들이 제시하고 있는 기술과 개발시나리오를 수집하고 2차로는 에스노그라피 관찰을 통해 IPTV를 중심으로 한 사용자 행태를 관찰하여 앞서 1차적으로 조사하였던 기업이 제시하는 시나리오와 비교분석하였다. 사례조사와 실험을 통한 사용자 시나리오를 분석한 결과 기업별 연구에는 시큐리티, 엔터테인먼트와 가정 내에서 이루어 질 수 있는 통합형 디바이스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면, 에스노그라피에 의한 사용자행동패턴은 오토테인먼트, 시큐리티가 주를 이루었고, 아직 TV와 홈 미디어 주변기기와의 상호작용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논문을 통해서 가정에서의 사용자의 컨텍스트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서비스 개발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제시할 수 있었고, 사용자의 행태를 분석결과 가정 내 활동과 가정 외 활동의 비율 또한 고려되어야 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여름철 배추김치 담금시 지역별 관능적 선호도 조사 (A Survey on the Sensory Preference for Making Summer Kimchi by Nationwide Region)

  • 차용준;김훈;조우진;정연정;이영미;김은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93-399
    • /
    • 2003
  • 본 연구는 전국의 590세대 가정주부를 대상으로 배추절임조건, 사용하는 부재료의 종류, 김치제조자의 고향 및 성장지역 등을 조사함으로써 지역적으로 다양한 김치맛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분석하여 지역적 특성을 살린 시판김치의 산업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되고자 실시하였다. 여름철 배추김치 담금시 배추절임방법은 물간법과 마른간법을 동시에 사용하는 혼용법이 가장 많았으며, 절임 시간은 평균적으로 3~5시간으로 나타났다. 김치 제조시 첨가되는 부재료의 종류를 조사한 결과 총 7종의 젓갈류가 전국적으로 사용되고 있었는데, 사용빈도가 높은 젓갈류로는 새우젓, 멸치 액젓, 멸치젓 그리고 까나리 액젓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사용은 지역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01). 또한 대부분이 단일보다는 2개 이상씩 혼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배추김치 담금시 고춧가루, 마늘, 생강, 파, 무, 부추, 양파, 당근, 설탕 및 풀 등 10종과 MSG는 기본으로 사용되었고 경상도는 여기에 다시국물과 물엿 등이 추가로 첨가되는 한편 전라도 지방은 생고추를 간 것과 밥풀의 첨가가 특징적이었다. 또한 MSG는 제조자의 연령과는 상관없이 전반적으로 사용하고있어 김치전용 조미료의 개발이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김치담금시 가족구성원 중 기준으로 하는 입맛으로는 제조자 본인이 가장 많아 핵가족인 가족형태와 시대흐름을 반영하였으며, 제조자의 고향과 성장지역의 조사를 통해 부재료의 사용과 제조방법에서 거주지역 보다는 고향이나 성장지역의 특징을 계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드럼세탁기 사용시 세탁물의 변.퇴색 방지에 관한 연구 (The Color Fading and Staining of Fabrics by Drum-type Washer)

  • 유효선;김은아;윤창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947-958
    • /
    • 2008
  • 은나노를 이용한 드럼식 세탁기로 세탁한 경우 발생되는 세탁물의 변퇴색 및 오염현상을 관찰하기 위해 이와 유사한 세탁원리를 갖는 론더로메타를 이용하여 그 결과를 알아보았다. 반응성염료로 염색한 면직물과 분산염료로 염색한 폴리에스터 직물을 세탁포로 하고, 첨부 백포로 면, 폴리에스테르, 나일론을 이용하여, 세탁온도, 세탁액비, 세제 농도, 세탁용수를 변화시켜 세탁물의 염색견뢰도를 관찰하였고, 은물로 세탁한 경우 세탁물로의 은침착 여부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세탁조건에 따른 염색포의 변색은 크지 않았으나, 세탁온도가 높고, 세탁 액비가 낮은 조건에서 첨부 백포로의 오염이 크게 나타났고, 특히 나일론 첨부 백포로의 오염이 컸다. 세제농도와 세탁용수는 염색견뢰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세탁용수를 달리하여 세제없이 백포만 반복 세탁한 경우, 은물로 세탁한 면, 나일론은 수돗물로 세탁한 경우보다 백도가 약간 낮게 나타났으며, 정량분석 결과 세탁물에 은화합물이 침착되었음이 확인되었다.

인터넷 홈서버를 위한 스트리밍 전용 파일 시스템 (File System Support for Multimedia Streaming in Internet Home Appliances)

  • 박진연;송승호;진종현;원유집;박승민;김정기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246-259
    • /
    • 2001
  • 최근 급속도로 확장되고 있는 인터넷을 통한 동영상 서비스와 이미 상용 서비스가 시작된 디지털 방송 서비스 등으로 인하여, 가전제품에서 디지털 동영상을 처리하는 데에 관한 관심이 매우 높아지고 있다. 텍스트 기반이나 이미지 기반 데이터와 달리 멀 티미디어 데이터는 정보의 출발점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가지 작업의 목적지에 도달하지 않으면 원래 전달하고자 했던 자료의 의미를 제대로 전달할 수 없다.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전용 시스템은 데이터를 정해진 시간가지 목표에 전달하는 것을 궁극적인 목표로 하고 설계되어야 한다. 이러한 시간적 제약성 때문에,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응용은 많은 디스크 대역폭을 필요로 하고, 파일 시스템에 많은 부하를 가하게 된다. 기존에 사용되는 대부분의 범용 파일 시스템은 스트리밍 부하의 특성인 순차적 읽기에 적합하게 설계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스트리밍 환경을 위해서 사용되기 위해서는 많은 개선의 여지를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부하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에 최적화된 파일 시스템을 설계한다. 설계된 파일 시스템을 구현하여 범용 파일 시스템과의 성능평가 실험을 수행하였다. 성능 평가 결과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파일 시스템이 순차적 파일 접근의 경우 기존의 유닉스 계열에서 제공되는 파일 시스템 보다 월등한 성능을 보이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효율적으로 동영상 자료를 접근할 수 있도록, MPEG-4 압축방식에 특화된 커널 수준의 파일 시스템 APIl를 제안한다.

  • PDF

사용자 관심 이슈 분석을 통한 추천시스템 성능 향상 방안 (Improving Performance of Recommendation Systems Using Topic Modeling)

  • 최성이;현윤진;김남규
    • 지능정보연구
    • /
    • 제21권3호
    • /
    • pp.101-116
    • /
    • 2015
  • 많은 기관들이 데이터에 기반을 둔 의사결정을 수행해 왔으며, 특히 수치자료를 비롯한 정형 데이터가 이러한 목적으로 널리 활용되어 왔다. 하지만 최근에는 스마트기기와 소셜미디어의 발달로 인해 다양한 형태를 가진 방대한 양의 정보가 생성, 공유, 저장되면서, 전통적인 정형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으로부터 비정형 빅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으로 관심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의 대표적 분야인 추천시스템 분야에서도 성능 향상을 위해 비정형 데이터를 활용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최근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특히 사용자의 성향이나 선호도는 고객의 니즈와 직결되기 때문에, 비정형 데이터 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성향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상품 추천 및 구매 예측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매우 시급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의 성향을 측정하여 재구매 예측 정확도, 특히 카테고리별 재구매 예측 정확도를 높임으로써, 궁극적으로 추천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일상적인 인터넷 사용 기록을 분석하여 고객이 조회하는 뉴스 기사의 이슈를 식별하고 다양한 이슈에 대한 고객의 관심을 계량화한 후, 이를 활용하여 고객의 카테고리별 재구매 여부를 예측하는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실제 웹 트랜잭션으로부터 도출된 인터넷 뉴스 조회 기록 및 쇼핑몰 구매 기록을 대상으로 실험을 수행한 결과, 고객의 과거 구매이력만을 활용한 카테고리 재구매 예측 모형에 비해 본 연구에서 제안한 모형, 즉 고객의 과거 구매이력과 관심 이슈를 모두 활용한 예측 모형의 정확도가 다소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