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aesthetic

검색결과 291건 처리시간 0.026초

디지털 애니메이션의 연출 특성 -사실적 표현과 과장성의 융합- (The Characteristics of Directing in Digital Animation : Combination of Reality and Exaggeration)

  • 김유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27-34
    • /
    • 2016
  • 사실성을 미적 특성으로 하는 컴퓨터 그래픽스의 활용은 디지털 애니메이션에 있어서도 이미지와 움직임 묘사의 사실성을 강화하였다. 그러나 디지털 애니메이션의 사실성은 실제를 있는 그대로 모사하지 않고 변형을 통한 물리적 제한의 극복과 상상의 실현이라는 애니메이션의 전통적 미적 의의를 계승하고 있다. 즉, 이처럼 강화되는 사실성 사이에 간헐적으로 삽입되는 카툰적 과장은 현실과 상상의 교차라는 대조와 충돌을 이루어 변증법적 합(合)으로 유희를 창출하게 된다. 즉, 디지털 애니메이션에서 사실적인 표현들과 충돌하는 비합리적 카툰적 변형들의 충돌과 대치로 서로를 보강한다. 사실적인 표현으로 관객이 실제를 마주하듯 몰입하게 하다가도 어느 순간 물리적 제약을 극복하는 행위들은 상상의 실현 내지 정신적 해방감을 준다. 결국 사실적 표현은 현실로써 전제가 되며 카툰적 변형은 그러한 제약을 극복하는 것이 되어 관객에게 유희로 작용한다.

포스트디지털 세대의 교복 디자인 개발 (The Development of School Uniform Design for the Post-digital Generation)

  • 문지현;나현신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758-765
    • /
    • 2012
  • As the 21st century is the post-digital era, a mix of the hard digital and the soft analog realm, the school uniform designs for the post-digital generation need to be changed within this paradigm shift. Thus, this study is conducted with the purpose of developing the school uniform design that reflects aesthetic value and sensitivity of the post-digital generation. The definition and background of the post-digital generation is reviewed and the values of this generation are drawn based on the theoretical research. Also, through the survey of 205 high school girls in Seoul, the purchase, wear & fit,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of present school uniforms are investigated. Based on the studies above, the guidelines for designing school uniforms for the post-digital generation are established and the products are developed.

Aesthetic Characteristic Study on Sportswear Uniform - Concentrating on Sportswear Uniform Applying Ensign Image -

  • Kan, Ho-Sup;Kim, Tae-Hee
    • 패션비즈니스
    • /
    • 제12권3호
    • /
    • pp.99-115
    • /
    • 2008
  • International exchange gets active in nations with the increase of Internet use and heading toward digital age. Thus the communication conveying image of nations effectively plays an important role in an international society. Sports events are regarded as important international exchange events and good opportunities for public relations of one's own country and taken as tools of planting good images in other nations. This study surveyed the concept and history of uniform through the documents and previous studies in order to find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sportswear uniform applying the image of national ensign and investigates the origin and start time in Korea of selected 6 sports items. As a result of finding the expression way of ensign image and drawing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by analyzing the use and variation of ensign colors, the use of colors other than ensign and reflection of ensign form in collected 60 sports uniforms, this study could draw the symbolical beauty, beauty of variation and beauty of brevity. First, symbolical beauty is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expressing uniforms by using the pattern ensign symbolizes and ensign colors themselves or enlarging a part of ensign. Second, beauty of variation is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creating geometrical new patterns in uniform through the distortion and exaggeration of ensign shape, or transforming the colors themselves of ensign. Third, beauty of brevity is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using other colors only as decorative factor while applying the main colors of ensign to the most part of uniform, or unifying the uniforms with only one color of ensign. As a result of survey, the proportion of the symbolical beauty was highest in summer season and beauty of brevity and beauty of variation followed and the proportion of beauty of variation was highest and the symbolical beauty and beauty of brevity followed after that in winter season. This study found the way of expressing image of one's own country in sports uniform through this article, expecting the exact recognition on sports uniform and the diversity of sports uniform design in which the images of the nation are expressed more variously.

한류 이미지 활용에 대한 컬러링 게임 미적요소 발전방향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loring Game Aesthetic by the Application of Hallyu Korean Wave Image)

  • 이준희;정형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2호
    • /
    • pp.565-570
    • /
    • 2020
  • 본 논문은 세계적으로 한국문화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는 것을 의미하는 단어인 한류에서 알 수 있듯이 한국콘텐츠와 한국브랜드의 상품들이 세계적으로 파생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디지털 한류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선화 이미지들에 채색하는 기능성 컬러링 게임에 접목시키는 방향을 제안한다. 이용자들의 여가시간을 해결해 줄 수 있는 한국형 디지털 융복합 기능성 게임 산업 발전을 위해 상용화되어 서비스되고 있는 컬러링 게임들에서 제공되는 선화 이미지 컷들을 비교, 분석하고 기존 컬러링 게임들에서 제공되지 않는 한류콘텐츠 이미지 활용 발전방향을 찾고자 한다. 기능성 컬러링 게임 안에 사용되어지는 이미지 컷들 속에서 차별화된 한류콘텐츠 이미지 컷 활용에 대한 요소들을 찾아 컬러링 게임의 미적요소 발전방향을 연구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우리만의 미적요소를 살린 한류콘텐츠 연구들은 계속 되어야 할 것이며, 한국 게임 산업에서 디지털 모바일 디바이스 기기를 이용한 기능성 게임과 한국적 이미지를 활용한 게임 콘텐츠 요소들은 한국 대중문화 확산과 디지털 한류에 도움이 될 것이다.

디지털 메체를 적용한 퍼포먼스 행위적 공간연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pace-performance with applied digital technology)

  • 황현숙;류호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00-105
    • /
    • 2001
  • The space in today's digital era is developing in a new direction with the changing paradigm, which is different from that in the analog era. The space that appeals to the advanced technology mobilizes all the five senses of the space user with the technical elements of the more variable fields and aesthetic productions, and creates an interactive environment by motivating the user's active participation through the digital media. The environmental device called digital media connects the function pace with living performance. Unlike in the analog space, the different sides of the digital media space create a human consciousness that corresponds to the realistic ambience, further contributing to the lively condition. For the main production technique in the digital medias performance-active space, there are electronic image production, changeable production, impromptu-active production, light and sound production, and total artistic production that lead to the progressive interaction between man and space.

  • PDF

디지털 가상 3D 카드게임 애니메이션에 반영된 예술적 가치 - 작품 제작 중심으로- (Aesthetic Value Reflected to Digital Virtual 3D Card Game Animation -Focused on the )

  • 이선주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4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575-578
    • /
    • 2004
  • 디지털 가상 3D 카드 애니메이션 를 통해 기술과 오락성을 많이 지니고 있는 카드 게임과 3D 애니메이션의 예술적 가치를 찾아보고 그 대중성에 대해 고찰해 보고 기술과 예술의 창조적 협력관계를 모색해 보고자 한다.

  • PDF

건축의 형태에 있어서 예각(銳角) 디자인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The Problems of an Acute Angle Design in Architectural Form and Improvement Plan)

  • 임명구;이재국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3권2호
    • /
    • pp.20-29
    • /
    • 2003
  • It is an obstacle to improve living environments that an acute angle architectural design is often seen. Though that design give a stress to the neighborhood, we can't prevent the design taking place. We must control architectural design, because it is important to public worth and urban aesthetic. To prevent selfish architectural design, it is recommend to extend design review and reflect neighborhood opinions.

  • PDF

단편 애니메이션 에 나타난 로토스코핑 기법의 미학적 가능성 (The Aesthetic Possibility of the Rotoscoping Techniques in the Short Film )

  • 김로유;김수현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9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55-56
    • /
    • 2019
  • 본고는 캐나다 국립영화위원회(NFB, National Film Board of Canada)의 단편 애니메이션 (1999) 속에 재현을 위한 새로운 시도로서 로토스코핑 기법이 갖는 미학적 의미를 도출해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관습적인 제작방식에서의 탈피와 응용이 창조적 정신을 갖춘 작가를 배양할 수 있음을 강조하고, 로토스코핑 기법의 새로운 미학 발견으로 인한 다양한 영상 분야 속 로토스코핑의 효과적 도입 가능성을 함께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예술작품의 원작으로 구성된 전시와 원작을 재매개한 디지털 전시의 미적 경험에 대한 상이성 연구: <모네,빛을 그리다전(展)>와 <풍경으로 보는 인상주의전(展)>의 비교연구 (A Study on Differences of Aesthetic Experience in the Exhibition of Artworks and the Remediated Exhibition of Artworks: A Comparative Study between and )

  • 이보아;최수민;홍용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153-164
    • /
    • 2017
  • 본 연구는 전시매체적 상이성에 따른 미적 경험을 비교하기 위해, 문헌연구와 <풍경으로 보는 인상주의전(展)(이하 인상주의전)>과 <모네, 빛을 그리다전(展)(이하 모네전)>의 사용자 경험에 대한 정량적 연구를 병행했다. 감상태도의 관점에서, 두 전시에서 공통적으로 두 가지의 지각방식이 공존했다. 인상주의전에서는 집중적 지각이 우세했고, 모네전에서는 분산적 지각이 높았지만, 모네전에서만 집중적 지각의 전시만족도 및 전시몰입도에 대한 영향력이 입증되었다. 관람객 역할 측면에서는 두 전시에서 공통적으로 수동적 역할에 대한 비중이 높았으며, 관람객 역할은 지각방식 뿐만 아니라 전시만족도 및 전시몰입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인상주의전의 경우, 미적경험요소에 대한 평가가 높게 제시되었으며, 사전지식의 활용은 관람객의 역할에 긍정적인 영향력으로 작용했다. 본 연구를 통해 전통적인 예술작품에 익숙한 관람객들은 디지털 전시에 대해서도 수동적 역할을 취하면서 두 가지의 지각방식에 의존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디지털 기술을 통한 재매개는 전시의 매체적 상이성에 따른 감상태도 및 관람객 역할에 대한 이분법적 논리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들었으며, 이로 인해 명화 기반의 디지털 전시는 전통적인 예술작품 및 디지털 미디어의 특성을 동시에 갖는다는 것이 주요 시사점이라 할 수 있다.

Digital Image의 미학적 해석 (A Study on the esthetic analysis for the Digital Image)

  • 최성원
    • 디자인학연구
    • /
    • 제15권4호
    • /
    • pp.169-176
    • /
    • 2002
  • All kinds of artwork, including multimedia and digital image that has been subliminated into an af mediating two numbers 0 and 1 in recent age, are self-sufficient and autonomous in themselves. Nevertheless, each of those artworks can be realized as a real entity only if its appreciator is capable enough to explore some potential meaning out of it through his or her own perceptual work. According to Mikel Dufrenne, an artwork is composed of three existential tiers: "le sensible" or the sensible material; "fe representation" or the subject(le sujet), and "1′expression." Dufrenne contends that our esthetic perception can be realized by way of three steps that are comparable to those three tiers: perception of the presence of the body("le sensible"), contemplative perception by way of imagination("le representation"), and reflective perception ("1′expression") as a result of dialectics of sense and sensibility. This paper argues on the aesthetic perception with regard to digital image expressed by two numbers 0 and 1, putting focus on the epistemological role of sensibility(감) that explores "1′expression" a la Dufrenn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