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Characteristics of Directing in Digital Animation : Combination of Reality and Exaggeration

디지털 애니메이션의 연출 특성 -사실적 표현과 과장성의 융합-

  • 김유미 (강원대학교 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6.09.13
  • Accepted : 2016.10.31
  • Published : 2016.12.28

Abstract

The application of computer graphics, which is characterized by reality, has even reinforced reality of image and motion expression in digital animation. But reality of digital animation succeeds to traditional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animation for overcoming physical limitations of the real world and realizing imagination through transformation, rather than copying actuality as it is. But it does not succeed to drawing animation wholly. Digital animation adds cartoonish transformation, based on three-dimensional realistic expression and those animation situations look as if they get over realistic restrictions, while drawing animation constantly reminds of mediality in drawing motion, based on two-dimensional plane and handwork. n other words, cartoonish exaggeration that is intermittently inserted between these reinforced realities, expresses digital animation's own aesthetic characteristics as a dialectical sum by crashing into contrast coming from a cross between reality and imagination.

사실성을 미적 특성으로 하는 컴퓨터 그래픽스의 활용은 디지털 애니메이션에 있어서도 이미지와 움직임 묘사의 사실성을 강화하였다. 그러나 디지털 애니메이션의 사실성은 실제를 있는 그대로 모사하지 않고 변형을 통한 물리적 제한의 극복과 상상의 실현이라는 애니메이션의 전통적 미적 의의를 계승하고 있다. 즉, 이처럼 강화되는 사실성 사이에 간헐적으로 삽입되는 카툰적 과장은 현실과 상상의 교차라는 대조와 충돌을 이루어 변증법적 합(合)으로 유희를 창출하게 된다. 즉, 디지털 애니메이션에서 사실적인 표현들과 충돌하는 비합리적 카툰적 변형들의 충돌과 대치로 서로를 보강한다. 사실적인 표현으로 관객이 실제를 마주하듯 몰입하게 하다가도 어느 순간 물리적 제약을 극복하는 행위들은 상상의 실현 내지 정신적 해방감을 준다. 결국 사실적 표현은 현실로써 전제가 되며 카툰적 변형은 그러한 제약을 극복하는 것이 되어 관객에게 유희로 작용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모린 퍼니스, 한창완, 조대현, 김영돈, 곽선영 역, 움직임의 미학, 한울 아카데미, p.18, 2001.
  2. E. H. 곰브리치, 차미례 역, 예술과 환영, 열화당, p.313, 2008.
  3. 넬슨 굿맨, 김혜숙, 김혜련 역, 예술의 언어들 - 기호 이론을 향하여,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p.25, 2002.
  4. 마셜 매클루언, W. 테런스 고든 편집, 김상호 역, 미디어의 이해, 커뮤니케이션북스, p.60, 2013.
  5. 진중권, 엥겔루스 노부스, 아트북스, p.52, 2013.
  6. 문재철, "3D 컴퓨터애니메이션의 디지털 이미지에 대한 연구 - 테크놀로지의 미학적 효과를 중심으로," 만화애니메이션연구, 제7호, p.84, 2003.
  7. 더들리 안드류, 조희문 역, 현대영화이론, 한길사, p.84, 1998. 남명자, "세르게이 에이젠슈타인 (Sergei Eisenstein)의 영화편집 이론에 대한 고찰-철학적, 미학적인 관점을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p.158, 1997에서 재인용.
  8. 박성수, 디지털 영화의 미학, 문화과학사, p.62, 2005.
  9. 이윤희, 애니메이션의 시각적 매혹성에 대한 연구,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영상예술학과 애니메이션이론 전공, 박사학위논문, p.41, 2007 재인용.
  10. Stephen Prince, Digital Visual Effects in Cinema: The Seduction of Reality, Rutgers University Press, p.32, 2012.
  11. 김유미, 디지털 애니메이션 테크놀로지와 움직임의 시각적 표현,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영상학과 영상예술학-애니메이션이론 전공, 박사학위논문, p.13,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