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advertising

검색결과 360건 처리시간 0.026초

래플광고의 메시지 표현 유형과 브랜드 친숙도에 따른 광고 효과 (A Study on the Message Expression Type and Brand Familiarity of Raffle Advertising)

  • 이성미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1권8호
    • /
    • pp.29-36
    • /
    • 2022
  •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스마트 광고는 지난 수년간 매우 활발한 연구 분야로 자리하고 있으며 끊임없이 새로운 형태의 스마트 광고가 등장하고 있다. 본 논문은 스마트 광고의 한 형태인 래플(Raffle)광고에 대한 이해의 틀을 마련하고자 광고메시지 유형과 브랜드 친숙도의 상호작용 효과에 대해 다루고 있다.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2(래플광고 메시지 표현 유형: 한정된 시간vs. 타인의 응모현황) × 2(브랜드 친숙도 수준: 고 vs. 저) 실험설계를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광고메시지 표현 유형이 래플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은 브랜드 친숙도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량적 통계분석을 통한 매체별 광고비 예측 연구 (A Study on the prediction of Advertising Expenditure)

  • 한상필;유승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9호
    • /
    • pp.111-121
    • /
    • 2014
  • 본 연구는 지난 20여년 간의 시계열 광고비 자료를 근거로 향후 5년 간 우리나라의 연도별 총 광고비와 6대 광고매체의 광고비를 계량적 통계 분석을 통하여 예측해 보고자 하였다. 제일기획에서 발간한 광고연감 자료를 사용하여 계량적 분석을 통해 추정한 결과, 2018년 우리나라의 총 광고비는 10조 8730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6대 매체별 광고비는 단순회귀법, 지수평활법, SUR회귀법 등 3가지 방법으로 예측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광고학계와 광고실무계에 어떤 시사점이 있는 가를 논의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가치가 있다고 하겠다.

한국과 중국의 공익광고 발전정책: KOBACO와 CCTV 운영체제 비교를 중심으로 (Development Policy of Korea and China Public Service Advertising: Focusing on Comparison of KOBACO and CCTV Operating System)

  • 김나미;유승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4호
    • /
    • pp.171-182
    • /
    • 2014
  • 사회의 여러 가지 공공문제가 부각될수록 공익광고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또한 각 국가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특성에 따라 공익광고의 주제가 다르며, 독특한 공익광고 운영체제를 갖추게 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정치, 사회, 문화 등의 차이로 인해 공익광고의 운영체제가 다를 것이라는 가정을 하게 되었다. 따라서 한국과 중국의 공익광고 운영 주체인 KOBACO와 CCTV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공익광고 운영체제를 3가지 범주(공익광고 운영현황과 공익광고의 주제 및 공익광고 관리감독)로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문헌분석과 전문가 심층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이 자료에 근거하여 5가지 공익광고 발전정책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한국과 중국의 공익광고 제작전략과 제도적 발전에 기여할 것이다.

중국시청자의 간접광고 효과요인과 광고기능 관련성 지각 (Relevant perceptual features on advertising and indirect advertising effectiveness factors of Chinese viewers)

  • 유승엽;강현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9호
    • /
    • pp.271-279
    • /
    • 2012
  • 본 연구는 중국 시청자를 대상으로 간접광고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중국 시청자에 대한 광고기능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간접광고 효과요인과 광고기능 인식 관계성은 어떠한가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중국시청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간접광고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7개로 나타났다. 즉, 연예인관여도, 노골적묘사, 협찬사신뢰성, 브랜드차별성, 윤리성 및 정보제공 요인이다. 둘째, 중국 시청자들의 광고기능에 대한 지각은 비교적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국 시청자들의 간접광고 효과요인과 광고기능 관련성지각에서 연예인관여도와 브랜드차별, 노골적묘사 및 윤리성 요인이 광고기능 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과 중국의 간접광고제작 실무자에게 중요한 신념요소가 무엇인가에 대한 자료를 제공할 뿐아니라 중국진출에 관심 있는 한국대행사의 간접광고제작 전략마련에 기초적 자료를 제공해 줄 것이다.

편의점 내 디지털 사이니지 티저(Teaser) 광고가 오리지널 콘텐츠 시청에 미치는 영향 연구: BGF 네트웍스의 바터(Barter)광고를 중심으로 (A study about the teaser advertising effect on a digital signage in a convenience store for viewing the original content : focusing on BGF Networks' Barter advertisement)

  • 김연성;김태양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3호
    • /
    • pp.233-244
    • /
    • 2020
  • 우리는 365일, 버스와 지하철에서 편의점, 커피숍, 음식점, 그리고 엘리베이터 등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를 통해 나오는 영상 콘텐츠 및 수많은 정보 등을 접하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디지털 사이니즈(Digital Signage)와 관련된 연구에 있어서는 디지털 사이니즈(Digital Signage)의 기술적인 효과 측면 또는 소비자 경험 측면에만 중점을 둔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해당 디지털 사이니즈(Digital Signage)의 티저(Teaser) 광고가 시청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하다시피 하였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편의점의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가 소비자, 시청자들에게는 다양한 영상 콘텐츠 경험을 제공하고 소통이 가능한 차별화된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만의 영역으로서의 발전을 기대해 봄과 동시에 2020년, 전 세계적인 코로나19 사태 이후, 점차 비대면,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환경하에서 디지털 콘텐츠(영상)도 이제는 제품으로 인식하는 시대임을 보여주는 하나의 연구로서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VR 광고 특성과 광고효과 간의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 : 소비자 혁신성의 매개효과 (A Study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Attributes of VR Ad and Advertising Effectiveness: Mediating Effect of the Consumer's Innovation)

  • 최윤슬;유승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2호
    • /
    • pp.37-45
    • /
    • 2019
  • 본 연구는 VR 광고 특성(입체감, 현실감, 역동감, 오락감)이 광고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알아보았다. 또한 VR 광고 특성과 광고태도에 있어 소비자 혁신성이 매개 역할을 하는지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VR 장비를 사용하여 실제 응답자에게 광고물 경험을 유도하였다. 분석은 공변량 구조분석을 통해 변인 간 인과관계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VR 광고 특성의 네 가지 구성요인 모두 소비자 혁신성에 정적인 영항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VR 광고 특성의 입체감, 오락감은 광고태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VR 광고 특성과 광고태도에 관계에 있어 소비자 혁신성의 매개역할은 VR 광고 특성의 구성요인 모두 유의한 영항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VR 광고를 제작할 때 광고 효과 과정을 이해하고 디지털 미디어 시장에 적합한 광고를 기획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Systematic Approach to Involving the Tools of Digital Marketing as a Guarantee of the International Business Development

  • Chernenko, Oksana;Kovalchuk, Svitlana;Perevozova, Iryna;Fayvishenko, Diana;Zaburmekha, Yevgen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2호
    • /
    • pp.311-317
    • /
    • 2022
  • The research is devoted to the substantiation of the system approach to the involvement of digital marketing tools as a guarantee of international business development. It is proved that digital marketing, as a type of marketing based on the use of digital technologies allows to make a profit, to promote the brand, as well as goods and services in the market. The digital marketing toolkit system is a set of elements with existing relationships that en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entire digital marketing, which in total is greater than its individual components. The implementation of a systems approach involves the implementation of the philosophy of digital marketing in general, its functions in the form of systems analysis, formation of strategic development goals and entry and promotion in the international market, preparation and implementation of tactical and strategic development plans.The use of such digital marketing tools as: content marketing, social media marketing, Email-marketing, targeted advertising, contextual advertising, media advertising, Search Engine Optimization, affiliate programs and the company's website is analyzed in detail.

가짜뉴스(Fake News) 현황분석을 통해 본 디지털매체 시대의 쟁점과 뉴스콘텐츠 제작 가이드라인 (Controversy and Guideline Suggestion Surrounding Fake News in the Digital Media Age)

  • 권만우;전용우;임하진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1419-1426
    • /
    • 2015
  • Distinguishing border between news and advertising is disappearing. Traditional journalism considered editorial part deals news and ad part handle commercial messages. But now this classification is meaningless. Current news consumers do not separate advertising content and non-advertising content. In Korea, making fake news or paid news pages is becoming social problem. Fake news uses various camouflages to pretend to be real news. This paper descriptively analyzed Korean fake news cases and suggested some guidelines for publishing news. We analyzed 3 major newspaper web sites from July to September, 2014. These three newspapers publish section pages everyday containing fake news or sponsored news. Totally more than one thousand articles were selected for content analysis. We coded the numbers of fake news, day of the week, the rate of sponsored news, average fake news publication number per pages, the conformity between news and advertising, and the type of fake news. We also coded the number of sponsored news article in day sections. We used method of comparing the advertising contents and news articles. As a result, 24.8% of news article were published for the advertising sponsors. Advertorial or fake news were sometimes arranged same pages the same day. We coded the conformity between same advertising and news content. More than 60 percent (60.9%) of fake news match with their sponsors. PR style of fake news is top and advertising type of fake news is the lowest.

제품검색광고 내 제품 이미지 위치와 판매 단위 유형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The Effects of Product Image Locations and Product Type on Responses to Search Engine Advertising)

  • 이성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2호
    • /
    • pp.397-404
    • /
    • 2021
  • 본 연구는 관여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기능적 가치를 추구하는 제품의 검색광고를 평가할 때, 제품 이미지의 위치와 판매단위유형 간의 일치성에 따라 광고효과가 달라질 수 있다고 보았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제품검색광고에 나타나는 제품 이미지의 위치(왼쪽 vs. 오른쪽)와 판매단위(낱개 vs. 묶음)가 광고태도, 브랜드태도, 그리고 구매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데 있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144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2×2 요인설계로 실험을 진행하였는데 독립 변인으로서 제품검색광고 내 제품 이미지의 위치, 제품 판매단위 두 가지 변인을 설정하였고, 종속변인으로 광고태도, 브랜드 태도, 구매의향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제품 이미지의 위치와 판매단위의 상호작용 효과가 브랜드 태도, 구매의향에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묶음 단위의 제품 광고에서 오른쪽에 제품 이미지가 위치할 때 브랜드 태도와 구매의향이 높아졌다. 본 논문의 결과를 기반으로 학문적 시사점과 향후 쇼핑 플랫폼, 온라인 스토어 등에 관심있는 실무자에게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여 후속연구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온라인 광고소구 유형과 자기 검색도의 상호작용 효과 연구 (The Interaction Effects of Online Advertising Types and Self-Monitoring)

  • 한상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5호
    • /
    • pp.207-211
    • /
    • 2018
  • 본 연구는 온라인 광고유형 (제품광고와 이미지광고)의 효과에 조절변인으로 영향을 미치는 자기 검색도의 역할을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수도권 소재 16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2{\times}2$ 요인설계로 실험이 실시되었다. 자기 검색도가 낮은 집단은 이미지를 강조하는 온라인 광고 보다는 제품의 특성을 강조하는 온라인 광고에 더 긍정적인 반면에, 자기 검색도가 높은 집단은 제품의 특성을 강조하는 온라인 광고 보다는 이미지를 강조하는 온라인 광고에 더 긍정적으로 반응할 것이라는 가설을 세우고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텔레비전과 신문과 같은 전통광고를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에서와 마찬가지로 온라인 광고에서도 가설이 검증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온라인광고 크리에이티브 전략과 효과를 제고할 수 있는 이론적 논의와 실무적 함의를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