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fferent habitats

검색결과 351건 처리시간 0.029초

Diversity of Micro-algae and Cyanobacteria on Building Facades and Monuments in India

  • Samad, Lakshmi Kumari;Adhikary, Siba Prasad
    • ALGAE
    • /
    • 제23권2호
    • /
    • pp.91-114
    • /
    • 2008
  • Fifty seven taxa of Cyanobacteria and 15 taxa of Chlorophyta were recorded from the exterior of buildings and rock surfaces of monuments in different regions in India. Four cyanobacteria, e.g. Chroococcidiopsis kashayi, Pseudophormidium indicum, Plectonema puteale and Scytonema geitleri, and the green alga Trentepholia abietina var. tenue occur on the sub-aerial habitats throughout the year. In addition, five other green algae: Chlorococcum infusionum, Scenedesmus arcuatus, Trentepholia aurea, Gloeocystis polydermatica and Printzina effusa, and 18 other cyanobacteria taxa of the genera Chroococcus (5), Asterocapsa (1), Cyanosarcina (2), Gloeocapsa (7), Gloeothece (2) and Scytonema (1) occur on the sub-aerial surfaces enduring extreme temperature and desiccation during summer months of the tropics. During the rainy season, the warm and humid climatic regime coupled with availability of moisture supported an additional ten green algae and 29 cyanobacteria in eight and 17 genera, respectively. The green algal genera Klebsormidium, Stichococcus and Trebouxia, which are dominant in temperate regions, did not occur on the sub-aerial habitats in India, however, species of Gloeocapsa, Chroococcus, Chroococcidiopsis, Phormidium, Leptolyngbya, Nostoc, Scytonema, Chlorella and Trentepholia showed global occurrence in similar habitats.

Does Different Performance of Sampling Gears (Cast Net versus Gill Net) Bring the Inappropriate Estimation of Freshwater Fish in a Large River?

  • Kim, Jeong-Hui;Park, Sang-Hyeon;Baek, Seung-Ho;Jang, Min-Ho;Lee, Hae-Jin;Yoon, Ju-Duk
    • 생태와환경
    • /
    • 제53권2호
    • /
    • pp.156-164
    • /
    • 2020
  • The accurate estimation of fish assemblages is highly dependent on the sampling gear used for sampling. We used data from 15 sampling sites along the Nakdong River, which is a large river in South Korea, to identify differences in assemblages and sizes of freshwater fishes collected with either cast nets or gill nets, the two most commonly used sampling gear in South Korea. The two gears differed in the fish assemblages they captured, with more species caught by gill nets. Further, due to its tighter mesh size, the cast net caught significantly smaller fishes than the gill nets(independent t-test, p<0.05). We found the cast net to be appropriate for species that inhabit shallow (less than 2 m) and open water, but inappropriate for deep water, habitats with plant beds, and nocturnal species. Thus, cast net sampling is not efficient in a large river environment, and a combination of sampling methods is more suitable for understanding fish assemblages in such habitats. In general, appropriate selection of fishing methods to specific habitats is necessary to improve data quality and minimize the misrepresentation of environmental conditions.

모데미풀의 자생지별 외부형태 및 식생 (External morphology and vegetation of Megaleranthis saniculifolia populations in four different habitats)

  • 유기억;이우철;오영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12-323
    • /
    • 1999
  • 모데미풀 자생지 4지역(광덕산, 태기산, 점봉산, 소백산)에 대한 유연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외부형태, 주성분분석과 유집분석, 식생 및 토양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외부형태형질 중 유의성이 있는 형질로는 주로 꽃에 관한 형질과 삭과에 대한 형 질, 즉 꽃받침의 길이와 폭, 꽃받침지수, 꽃받침 열편에 거치의 존재유무, 화경의 길이와 분지 유무 등은 4집단을 구분하는데 유의성이 있는 형질로 나타났다. 그러나 식물의 높이, 총포, 종자의 특징 등은 변이가 매우 심하여 형질로서 가치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13가지의 양적 형질을 이용한 주성분분석 결과 주성분1(31.3%), 주성분2(20, 7%), 주성분 3(15.8%)이 총 67.79%의 기여율을 보였으며 주성분 1과 2를 이차원공간에 도시한 결과 태기산집단은 다른 세집단과 구별이 가능하였다. 평균연결방법과 Ward's법에 의한 유집분석 결과, 유집군들의 구성은 거의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집단간에는 서로 중복되어 나타나 구별이 불가능하였다. 식생조사 결과 상대피도와 상대빈도에 의한 중요치는 모데미풀이 50.8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눈개승마(12.64%), 현호색 (11.62%), 박새(11.45%), 홀아비바람꽃(8.96%), 벌깨덩굴(8.76%), 터리풀(7.06%), 진범(5.66%), 큰개별꽃(5.45%), 솜때(5.25%)의 순으로 나타나 이 종류들이 모데미 풀과 친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전지역에서 모데미풀이 가장 높았고 중요치가 높은 종류들은 자생지 별로 약간 차이를 보였다. 종다양성은 평균 1.40으로 나타났으며 광덕산(1.31)이 가장 높고 점봉산(1.17)이 가장 낮았다. 토양의 pH는 평균 5.25로 대부분 비슷하였고, 소백산은 Mg의 함량은 가장 낮았지만, E.C., 포장용수량, 유기물, 인산, Ca, K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E.C., 유기 물함량, Ca의 함량은 광덕산이 가장 낮았으며, 점봉산은 Mg의 함량이 가장 높은 반면 포장용수량, 인산, K의 함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 PDF

동해안에서 자생하는 거머리말속 (Zostera Zosteraceae) 식물의 분포와 생육지 환경 (Distribution of Zostera (Zosteraceae) ana Habitat Characteristics in the Eastern Coastal Waters of Korea)

  • 이상용;권천중;최청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501-507
    • /
    • 2000
  • 한국산 거머리말속 중 동해 연안에 자생하는 식물의 분포와 생육지 환경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1998년 6월부터 2000년 7월까지 중부 동해안의 화진포에서부터 남부 동해안 대변까지 조사하였다. 동해 연안에 자생하는 거머리말속은 거머리말, 왕거머리말과 포기거머리말 3종이 조사되었다. 거머리말 생육지는 기수호, 항과만의 수심 $1.3{\~}5.6 m$의 sand와 muddy sand 퇴적 환경에서, 왕거머리말은 수심 $8.5{\~}15.0 m$의 개방된 연안의 sand 퇴적 환경에서 출현하였다. 포기거머리말은 덕산항과 대변항에서 그 생육지가 처음 보고되었으며, 거머리말보다 깊은 지역에서 함께 생육하였다. 거머리말속의 식물 형태는 영양지와 생식지로 구분되었으며, 거머리말 영양지의 길이는 일산의 66.8cm에서부터 감포항의 110.0cm까지, 생식지의 길이는 화진포의 128.0cm에서부터 감포항의 277.8cm까지 생육 지역과 수심에 따라 다양하게 출현하였다. 왕거머리말은 영양지와 생식지가 $64.0{\~}75.7 cm$ 범위로 새로운 표현형으로 생육지의 수심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포기거머리말은 영양지와 생식지가 64.9{\~}70.3 cm$로 생식지가 좀더 길게 성장하였다. 영양염의 농도는 동해 남부 지역이 중부 지역보다 높게 나타났다. 동해안에서 자생하는 거머리말속 식물의 분포는 퇴적 환경보다는 종에 따라 생육 장소(만, 항구와 개방 연안 등)와 수심에 영향을 받고, 수심과 같은 생육 환경의 차이는 식물체의 형태 변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덕유산국립공원의 식생에 관한 연구 - 안성지구의 산림 식생을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Vegetation in the Deogyusan National Park - Focused on the Forest Vegetation of the Anseong district -)

  • 김현숙;이상명;송호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1-17
    • /
    • 200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lassify vegetation structure of the Anseong district in the Deogyusan National Park from May 2007 to September 2008 using the gradient analyses and phytosociological method. The vegetation communities were classified into Quercus mongolica, Carpinus laxiflara, Q. serrata, Fraxinus mandshurica, Betula davurica, B. costata, Pinus densiflora and Abies koreana. Characteristics of the vegetation such as species composition, layer structure, vegetation ratio, and the distribution of individual trees by DBH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communities. The order of important value of the forest community with DBH 2cm above plants was Q. mongolica (40.02), C. laxiflora (25.65), Q. serrata (24.68), F. mandshurica (21.66), P. densiflora (19.12), Acer pseudosieboldianum (16.96), C. cordata (11.87), B. davurica (11.66), B. costata (10.90), Styrax obassia (10.90) and A. koreana (10.41). Distribution of DBH P. densiflora had a formality distribution, suggesting a continuous domination of these species over the other species for the time being. In contrast, F. mandshurica appeared limited to the valley of the sheet and a higher frequency of young individuals, suggesting a continuous domination of these species the development of a climax forest terrain. This study showed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community and the environment according to DCCA ordination. The A. koreana community predominated on the northern slope of the park in the high elevation habitats which had many O-M. F. mandshurica community predominated in the highest elevation habitats which had many Moisture, EX-Cation and T-N. The P. densiflora community mainly occurred on the southern slope of the park in the low elevation habitats which had few Moisture, O-M and T-N. The Q. serrata community and C. laxifiora community appeared on the park in the middle habitats.

Pan-Genomics of Lactobacillus plantarum Revealed Group-Specific Genomic Profiles without Habitat Association

  • Choi, Sukjung;Jin, Gwi-Deuk;Park, Jongbin;You, Inhwan;Kim, Eun Ba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8권8호
    • /
    • pp.1352-1359
    • /
    • 2018
  • Lactobacillus plantarum is a lactic acid bacterium that promotes animal intestinal health as a probiotic and is found in a wide variety of habitats. Here, we investigated the genomic features of different clusters of L. plantarum strains via pan-genomic analysis. We compared the genomes of 108 L. plantarum strains that were available from the NCBI GenBank database. These genomes were 2.9-3.7 Mbp in size and 44-45% in G+C content. A total of 8,847 orthologs were collected, and 1,709 genes were identified to be shared as core genes by all the strains analyzed. On the basis of SNPs from the core genes, 108 strains were clustered into five major groups (G1-G5) that are different from previous reports and are not clearly associated with habitats. Analysis of group-specific enriched or depleted genes revealed that G1 and G2 were rich in genes for carbohydrate utilization (${\text\tiny{L}}-arabinose$, ${\text\tiny{L}}-rhamnose$, and fructooligosaccharides) and that G3, G4, and G5 possessed more genes for the restriction-modification system and MazEF toxin-antitoxi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are critical differences in gene content and survival strategies among genetically clustered L. plantarum strains, regardless of habitats.

Comparisons of microhabitat use of Schlegel's Japanese gecko (Gekko japonicus) among three populations and four land cover types

  • Kim, Dae-In;Choi, Woo-Jin;Park, Il-Kook;Kim, Jong-Sun;Kim, Il-Hun;Park, Daesi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2권4호
    • /
    • pp.198-204
    • /
    • 2018
  • Background: The effective use of habitats is essential for the successful adaptation of a species to the local environment. Although habitats exhibit a hierarchical structure, including macro-, meso-, and microhabitats, the relationships among habitats of differing hierarchy have not been well studied. In this study, we studied the quantitative measures of microhabitat use of Gekko japonicus from three field populations in Japan: one at Tsushima Island, one at Nishi Park, Fukuoka, and one at Ohori Park, Fukuoka. We investigated whether land cover type, a higher hierarchical habitat component, was associated with quantitative microhabitat use, a lower hierarchical component, in these populations. Results: The substrate temperature where we located geckos (SubT) and the distance from the ground to the gecko (Heigh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hree populations. In particular, SubT on Tsushima Island was lower than it was in the other two populations. Irradiance at gecko location and Height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land cover types. In particular, Height in evergreen needleleaf forest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deciduous broadleaf forest. Furthermore,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population and land cover type were observed for the SubT and Height variables. Conclusions: The quantitative measures of microhabitat use of G. japonicus varied with population and land cover type, which exhibited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on microhabitat use variabl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higher hierarchical habitat components can affect the quantitative measures of lower hierarchical microhabitat use in nocturnal geckos.

연복초(Adoxa moschatellina L.)의 분포와 자생지 입지환경 -강원도를 중심으로- (Distribution and Habitats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Adoxa moschatellina L. -Focus on Prov. Gangwon-do-)

  • 옥길환;천경식;장진환;유기억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46-256
    • /
    • 2012
  • 강원도 연복초 자생지 입지환경을 알아보기 위하여 분포지를 밝히고 9개 지역의 22 지점을 대상으로 환경요인, 식생 및 토양분석을 실시하였다. 연복초는 강원도 동해시, 속초시, 고성군과 양구군을 제외한 14개 시군의 총 44개 지역에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자생지는 해발 99-1,084 m의 범위에 위치하였으며, 경사는 $0-25^{\circ}$로 비교적 완만하였다. 식생조사 결과 방형구 내에 출현한 관속식물은 총 215분류군이었다. 초본층의 중요치는 연복초가 32.8%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벌깨덩굴(7.5%), 미나리냉이(5.1%), 미치광이풀(3.8%), 현호색(3.3%) 등의 순으로 나타나 이 종류들이 연복초와 친화도가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식생의 양적지수를 산출한 결과 종다양도는 0.4870-0.9848, 균등도와 우점도는 각각 0.4525-0.7601과 0.1335-0.4191의 범위로 나타났다. 각 방형구내에 조사된 종류들의 중요치에 기초한 군집분석 결과에서는 우점종의 상이성에 의해 유집되는 경향을 보였다. 토양 분석결과 포장용수량, pH 그리고 유기물함량은 각각 4.29-38.45%, 4.61-5.98, 2.44-20.21%의 범위로 조사되었다.

동강할미꽃 자생지의 환경 및 생태적 특성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Pulsatilla tongkangensis Habitats)

  • 유기억;천경식;장수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439-446
    • /
    • 2009
  • 동강할미꽃 자생지(백운산, 마하리, 귤암리와 덕항산)의 환경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환경요인, 식생 및 토양분석을 실시하였다. 동강할미꽃 자생지는 해발 220-772 m에 위치하고, 경사는 $41-85^{\circ}$로 다양하였으며, 주로 북서사면에 분포하였다. 식생분석결과 10개 방형구내에서 조사된 분류군은 총 27종류였다. 중요치는 동강할미꽃이 9.65%였으며, 산거울(28.93%), 돌양지꽃(16.55%), 돌단풍(7.09%), 기름나물과 그령(4.55%), 큰네잎갈퀴(3.90%) 등 6종류는 중요치가 높게 나타나 이 분류군들은 동강할미꽃과 친화도가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종다양도는 평균 0.75이었고 우점도와 균등도는 각각 0.24와 0.85로 나타났다. 토양의 포장용수량은 평균 19.05%이었으며, 유기물 함량은 10.51%로 나타났고, pH는 7.43으로 자생지간에 비슷하게 나타났다.

금강초롱꽃 자생지의 환경특성과 식생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Vegetation of Hanabusaya asiatica Habitats)

  • 장수길;천경식;정지희;김진수;유기억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3호
    • /
    • pp.497-506
    • /
    • 2010
  • 특산 식물인 금강초롱꽃 자생지의 환경요인과 식생을 조사하여 보존 및 복원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금강초롱꽃은 해발 580-1,396m에 위치하였고, 경사는 $5-80^{\circ}$ 로 대부분 북사면에 군락을 형성하였다. 10개 지역 32개 방형구를 조사한 결과 금강초롱꽃의 중요치는 8.87%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대사초(8.67%), 단풍취(7.10%), 실새풀(6.79%), 뱀고사리(5.33%), 노루오줌(3.11%) 등이 높게 나타나 이 종류들이 금강초롱꽃과 비슷한 환경을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상층수목은 교목층에 신갈나무, 아교목층에 당단풍나무가 우점하였으며, 관목층에서는 철쭉과 메역순나무가 높은 출현 빈도와 피도를 보였다. 종다양도는 평균 1.30, 우점도와 균등도는 각각 0.08과 0.88로 산출되었다. 토양의 토성은 사양토가 우세하였고, 포장용수량은 평균 23.95%로 확인되었으며, 유기물함량은 12.28%, pH는 5.79, 그리고 유효인산함량은 $25.48{\mu}g{\cdot}g^{-1}$으로 나타났다. 환경특성과 식생조사 및 토양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 상관분석에서는 상층수목의 피도가 종풍부도, 종다양도, 우점도, 균등도 및 금강초롱꽃의 피도와 높은 연관성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