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etitians.

검색결과 499건 처리시간 0.056초

포항지역 학교급식의 안전성을 위한 학교 급식 조리실의 기본 시설.설비 조사 (Analysis on Facilities & Basic Equipment of School Foodservice Safety in Pohang area)

  • 윤미연;이인숙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2권3호
    • /
    • pp.264-276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HACCP system implementation properly and to secure the food safety of school foodservices in Pohang city since the proper facilities and equipment should be key factors in food safety and production. So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existing equipment in food production area, receiving and dining area, and employee facilities. Questionnaire was mailed to 107 school foodservice dietitians in Pohang area and 97 were responded (90.7% response rate). Approximately sixty percent of foodservices were not available separate receiving or polluted area, fifty one percent were installed screen door for insecticidal and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and these environmental conditions were hard to keep kitchen dry and sanitary condition. Usually public schools were better equipped than private schools. Forty three percent of school foodservice had initial use of non-foodservice, opened before 1994, and thirty three percent of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Among employee facilities, hand washing sanitation stand was prepared seventy nine percent (78.9%) of school foodservices. Dietitians chose outworn equipment and facilities (30.9%), difficulties of maintaining standard temperature and humidity for foodservice (20.6%), lacking separate receiving or polluted area (13.4%), indirect contamination of water hoss (10.3%), and lacking employee facilities (10.3%) as critical points to correct in school foodservice. Therefore governmental regulating agencies must review and approval of plans prior to new construction or extensive remodeling of school foodservice facilities. In addition to these requirement, plan must be set-up step by step to implement HACCP system properly.

  • PDF

부산지역 요양병원 영양사의 직무수행도, 중요성인식도 및 직무만족도 (Job Performance, Perception of Job Importance, and Job Satisfaction in Dietitians Working in Geriatric Hospitals in Busan)

  • 김나영;성경미;이정숙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8권4호
    • /
    • pp.356-371
    • /
    • 201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job performance, perception of job importance, and job satisfaction in dietitians working in geriatric hospitals in Busan. A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28 to June 30, 2011,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 The age of over 41 group showed higher job performance in terms of sanitation and safety management than the age of under 25 group but showed lower job performance in terms of nutrition management than the age of 31~40 group. The subjects who worked for shorter than 2 years at their present jobs showed the lower job performance in terms of menu management and accounting management than the other groups, whereas those who worked in 'over 200 bed' hospitals showed the higher job performance in terms of sanitation and safety management than the others. The subjects who worked for longer than 6 years showed the higher job satisfaction in terms of communication and working environment than the others. Job performanc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erception of job importance, whereas it showe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More work experience correlated with a higher monthly income, and younger workers showed higher job performance. Younger age and more work experience at a present job correlated with a higher perception of job importance. More work experience at a present job, higher monthly income, and shorter work experience were correlated with higher job satisfa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would be effective to adopt training programs for appropriate nutrition service and provide continuous education program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보건소 영양사 직무 분석(I) : 업무수행도 및 중요성 인식도 분석 (Performance and Importance Analysis of Dietitian's Task in Public Health Nutrition Areas)

  • 박혜련;차진아;임영숙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540-554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ask performance and importance level of the dietitian who is working in the public health nutrition area. Work oriented job analysis methodology was employed for the study purpose. Subjects of 38 dietitians currently working at health centers in 2002 were recruited. Based on the focus group interview with 7 public health nutritionists and 7 professors, information about task elements was collected. Questionnaires measuring work performance and self-perception of importance of the selected task elements were administe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tasks with high performance and importance level among 20 tasks are developing nutrition education material (B1), nutrition services for adults and the elderly (C3), writing the proposal for nutrition services (A2), evaluating service effect (A4), improving professionalism (E1), and self management (E2). 2) The task elements with high performance and importance level among weekly task elements are nutrition education for diabetes (C56), nutrition counseling for adults (C47), nutrition for hypertension (C53), managing and keeping records (C80), nutrition education for kindergarten and nursery school children (C42), searching for nutrition education materials (B26), and searching for media (B27). 3) The number of task elements with high performance and importance level among monthly task elements are 13 in the planning and evaluation of public health nutrition service, and 5 in developing nutrition education materials. The tasks of a dietitian in the public health center show a very wide spectrum. However dietitians recognize most of the tasks are important even though they cannot perform those tasks adequately.

식육가공품에 대한 영양사의 인식 및 이용실태조사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Dietitians' Perception and Usage of Processed Meat Products -Kyungnam Area)

  • 이영순;이동선;류은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6호통권90호
    • /
    • pp.813-822
    • /
    • 2005
  • This study examined the dietitians 'perception and usage of processed meat products in institute foodservices. Out of 368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the subjects in school and business foodservices, 341 were chosen for statistical analysis after 27 were excluded for improper responses. According to the results, dietitian perceived the processed meat products food positively in terms of 'convenience'(3.94) and 'taste'(3.30), but negatively in terms of 'package'(275) and'additive'(2.01). In the frequency of usage, they used 'Ham'(2.51) the most frequently, followed in order by 'Wanja'(2.17), 'Dongas'(1.99), 'Tangsuyook'(1.82), 'Hamburg Steak'(1.71), 'Dduckgalbi'(1.59), 'Bacon'(1.50), 'Luncheon meat'(1.39), and 'Smoked meat'(1.30). The perception of processed meat products was more different according to institutes than dietitian. For dietitian, the frequency of usage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age and career, while for institute, it differed according to the type of management and the cycle of menu. Also dietitian placed the most importance on 'taste and preference'($90.1\%$) in buying and 'balance of nutrition'($72.0\%$) in cooking processed meat products (Ed- there is no respective comparison here). Finally, in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perception and usage of processed meat products, the taste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Hamburg steak', 'Tangsuyook', and 'Dongas', the additive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Tangsuyook', and convenience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Tangsuyook'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rocessed meat products should be researched, developed, and supplied, with consideration for institution foodseuices.

노인영양교육프로그램 참여자의 특성 분석-건강증진모델의 요인을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an Attendee in an Elderly Nutrition Education Program -Using the Factors of Health Promotion Model-)

  • 임경숙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609-621
    • /
    • 1998
  • Although many people initially enroll in health education programs, there are many instances of erratic participation and dropouts. Inconsistent participation in intervention programs minimizes their impact on health promotion. Therefore, a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factors influencing participation in these programs can potentially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its educational strategy. This study used the Pender's Health Promotion Model to examine specific factors influencing incentives to participate in an elderly nutrition education program. The Elderly Nutrition Counseling and Education Program was conducted with 147 volunteers (76 males, 71 females), aged 60 to 87, at 5 separate community elderly centers, by public health dietitians from February to April 1997. Some participants dropped out during the program. Overall, 61 people(18 males, 43 females) finished all 7 steps over 2 months. Pre-intervention data were collected by trained dietitians. This data included individual cognitive-perceptual factors(perceived benefits of nutrition improvement, importance of health, perceived control over health by multidimensional health locus of control, self esteem, perceived health status, concern about health, depression scale and social health scale), which were known to influence the likelihood of health behavior, and modifying factors(socioeconomic variables, biological characteristics, behavioral factors, such as smoking, alcohol drinking and exercise). Male finalists had a significantly lower chance for health locus of control, and better social health status with their children and grandchildren, compared to males who dropped out. Female finalists had a significantly higher locus of control regarding food behavior, higher self-esteem, better recognized nutritional status, worse self-recognized health status and lower concern about health than those who dropped o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ttendees and dropouts in age, BMI$(kg/m^2)$, Nutritional Risk Index, depression scale and daily nutrient intake. These results suggest that elderly nutrition intervention plans should focus on the individual cognitive and perceptual factors, with interpersonal influences, to increase participation in nutrition in nutrition improvement programs.

  • PDF

장기요양기관 유형별 위탁급식 운영 실태 및 개선 방안 (Current Status of Outsourced Food Service Operations According to the Type of Long-Term Care Institution and Plans for Improvement)

  • 권진희;이희승;정현진;장혜자;이정석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8권2호
    • /
    • pp.67-84
    • /
    • 2022
  •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status of food service outsourcing behavior of long-term care institutions (LTCIs) through a cross-sectional survey using a questionnaire administered between July 16th and August 7th, 2020. The survey respondents were either dietitians or facility managers, who worked at 731 nursing homes, 477 group homes, and 673 day-care centers. Approximately 25.9% of nursing homes, 11.7% of group homes, and 33.1% of day-care centers used a managed-services company to operate their food service units. The main reason for outsourcing food service by nursing homes was related to the staffing of dietitians and cooks, whereas group homes and day-care centers outsourced food services due to factors relating to meal costs and the cooking process. Almost all the LTCIs entered into private contracts for outsourced food services. Only a few food service contracts included the types of meals, nutrition standards such as protein and calories per meal, and the parameter or ratio of food cost. Of the respondents, 84.5% from nursing homes, 87.5% from group homes, and 87.1% from day-care centers agreed that the quality of outsourced food services of the LTCIs should be regulated. Meals are essential for maintaining the health and functional status of LTCI users. As more LTCIs outsource their food services, we suggest the following: (1) Increasing the minimum dietitian staffing standards for LTCIs as per the Welfare of Senior Citizens Act and requiring at least one dietitian for every nursing home, (2) Making it mandatory to use a standard food service contract template when drafting food service contract, and (3) Developing realistic standards for food service operations considering the size and operation type of the LTCIs.

영양사의 리더십과 조리종사원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Dietitian종s Leadership on the Job Satisfaction of Employees in Foodservice Organizations)

  • 김은미;전순실;윤지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10호
    • /
    • pp.1646-1652
    • /
    • 2004
  • 단체급식의 효과적인 목표달성을 위해 조리종사원이 자신의 직무에 만족하며 일할 수 있는 분위기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조리종사원이 인식한 영양사의 변혁적$.$거래적 리더십 유형을 확인하고 리더십 유형과 조리종사원의 직무만족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였다. 조리종사원이 인식하는 영양사의 리더십유형의 차이는, 카리스마(4.12), 지적자극(4.12), 개별적 배려(4.01)를 포함하는 변혁적 리더십(4.08)이 상황적 보상(3.99), 예외 관리 (2.70)를 포함하는 거 래적 리더십 (3.35)보다 더 강하게 인지하고 있었다. 조리 종사원의 연령 에 있어서 변혁적 리더십에서는40대 이상이 30대보다 영양사의 변혁적 리더십을 유의적으로 더 많이 인식하고 있었다. 학력에 따라서는 학력이 낮은 군에서 영양사의 변혁적$.$거래적 리더십 모두를 강하게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에 따른 차이는 경력이 많을수록 영양사의 변혁적 리더십을 더 잘 인식하고 있었다. 고용형태에 따라서는 계약직 조리 종사원이 정규직 조리종사원보다 영양사의 개별적 배려와 상황적 보상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급식소 유형에 따라서는 학교의 조리종사원이 산업체와 병원의 조리종사원에 비하여 영양사의 거래적 리더십을 유의적으로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영양사의 상황적 보상은 병원에 비해 학교의 조리종사원이 높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사 나이에 따른 리더십 유형차이에서 변혁적 리더십의 경우 40세 이상의 영양사에 비해 40세 미만의 영양사가 변혁적 리더십의 발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거래적 리더십에 있어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리더십 항목별로는 예외 관리에 있어서 40대 이상에서 다소 강하게 느끼고 있었다. 단체급식 조직에서 영양사의 변혁적$.$거래적 리더십 유형과 조리 종사원 직무만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리더십 유형과 직무만족도 간에는 예외관리를 제외하고 정의 상관 관계가 있었다. 그러므로, 조리 종사원의 직무수행시 자율성 범위를 넓혀 주어 직무만족도를 높여서 전문적인 급식환경을 조성하고 조직의 목표달성을 위해서 상황적 보상과 변혁적 리더십을 발휘할 때 조직성과가 높아질 수 있다.

충남지역 유치원의 영양사 배치 유무에 따른 급식실태와 학부모의 급식 만족도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Foodservices and Their Satisfactions between Kindergartens with and without Dietitians in Chungnam)

  • 이경희;김명희;최미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278-28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영양사 배치유무에 따른 유치원 급식 실태와 급식 만족도를 평가하여 유치원에 영양사 배치의 필요성과 보다 체계적인 유치원 급식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유치원의 급식을 위한 취사 시설은 영양사 배치 유치원의 경우 조리실과 급식실이 100%인 반면 미배치 유치원은 조리실이 100%이었다(p<0.001). 급식을 위한 식단 작성자는 영양사 배치 유치원이 영양사가 100%인 반면, 미배치 유치원은 원장(52.2%), 선생님(47.8%)의 순이었다(p<0.001). 유치원에서 제공하는 급식의 분량은 원아의 나이와 체격에 따라 다르게 준다(47.9%)가 가장 높았고, 유치원 급식운영에 있어서 가장 어려운 점은 운반 및 배식시의 유아의 안전(31.3%), 인력 부족(18.8%)의 순이었으며, 유치원 급식의 개선 및 발전 방향은 영양이 고른 다양한 식단(39.6%), 더욱 적극적인 식습관 지도(33.3%), 급식시설의 개선 및 인력 확충(27.1%)의 순이었고, 이들은 모두 영양사 유무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학부모의 실제 급식현장 방문이나 급식운영 참여 경험은 영양사 배치 유치원 학부모가 급식 현장을 직접 방문해 본 경험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급식운영에 참여한 분야는 전체적으로 급식행사 참여(52.9%), 식재료 검수(41.2%), 배식도우미(5.9%)의 순으로 급식행사 참관에서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급식운영에 참여하고 싶은 의지도 영양사 배치 유치원 학부모의 53.8%가 있다고 답해 미배치 학부모의 37.1%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1). 급식에 참여하고 싶은 분야는 영양사 배치 유치원 학부모의 경우 배식도우미에서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인 반면, 미배치는 식재료 검수에서 높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유치원 선택 시 급식을 고려하는지에 대해 영양사 배치 유치원 학부모의 경우 61.0%가 그렇다고 답해 미배치의 18.5%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01). 유치원 급식운영 개선 및 발전방안은 친환경, 유기농 제품을 이용한 급식운영(41.9%), 영양이 고른 다양한 식단(30.9%), 더욱 적극적인 식습관 지도(24.0%) 순이었다. 급식만족도, 급식의 맛, 메뉴의 다양성, 메뉴의 균형, 자녀의 급식만족도, 급식시설, 급식 위생의 모든 7가지 항목에서 영양사 배치 유치원 학부모의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급식만족도의 평균 점수도 영양사 배치 유치원 학부모가 4.1점으로 미배치의 3.7점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01).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영양사 배치 유치원의 급식상태 및 학부모의 급식 만족도가 미배치 유치원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지역 학교급식 영양사의 이벤트 마케팅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 평가 (Evaluation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by Dietitians about Events Marketing at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in Busan)

  • 이경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2호
    • /
    • pp.1794-1800
    • /
    • 2009
  • 본 연구는 학교급식의 고객만족을 위한 이벤트 마케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부산지역 초-중-고등학교의 영양사 359명을 대상으로 이벤트 마케팅 실시에 대한 중요도 및 수행도, 수행효과, 애로사항 및 개선필요사항 등을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자의 근무유형은 초등학교 46.2%, 중학교30.4%, 고등학교 23.4%였으며, 급식소 운영형태는 직영이 76.1%, 위탁이 23.9%로 나타났다. 학교급식 이벤트 마케팅의 중요도와 수행도에 대한 IPA 분석 결과, 중요도는 5점만점에 평균 3.39점, 수행도는 평균 2.78점으로 중요하게 생각하는데 비해 수행도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중요하게 생각하여 잘 수행하고 있는 이벤트는 계절-명절-절기-환경-학교행사-기념일 이벤트로 나타났다. 초-중-고등학 교별로 살펴본 결과, 초-고등학교의 수행도가 중학교에 비해 유의적(p<0.01)으로 높았다. 특히 중요도는 초등학교에서는 절기, 고등학교에서는 경품과 홍보 이벤트가, 수행도는 초등학교에서는 명절과 절기, 고등학교에서는 세계요리-경품-홍보 이벤트가 유의적(p<0.01)으로 높았다. 운영형태별로 살펴본 결과, 직영 급식소에 비해 위탁 급식소의 수행도가 유의적(p<0.01)으로 높았으며, 특히 중요도는 위탁에서는 학교행사와 건강 이벤트가, 수행도는 직영에서는 절기, 위탁에서는 세계요리?경품?건강 이벤트가 유의적(p<0.01)으로 높았다. 이벤트 실시 효과는 고객만족도 증가와 신뢰도(노력하고 있음을 인정) 증가 순이었다. 이벤트 수행의 애로사항으로 내부요인은 부족한 인력, 예산의 어려움, 이벤트진행 전문성 순으로 나타났으며, 외부요인은 열악한 급식시설, 낮은 식단가, 급식형태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이벤트 수행을 위한 필요개선사항은 충분한 예산과 급식인력, 급식시설개선 순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학교급식 영양사들은 이벤트 마케팅 실시에 대해 중요하게 생각하는데 비해 수행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학교급식에 대한 선택권이 부족한 학생고객들에 대한 배려와 서비스 제공에 적극 노력하고 외식의 기회가 빈번해짐에 따라 입맛이 다양화되고 고급화된 학생 고객군의 급식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전략의 하나로 이벤트 실시에 대해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에서 나아가 좀 더 적극적으로 이벤트 실시를 계획하여 수행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특히 초등학교에 비해 이벤트 마케팅 수행도가 낮게 나타난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 좀 더 적극적이고 새롭고 다양한 이벤트 실시로 감수성이 예민한 청소년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학업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즐거움을 줌으로써 학생 고객들과의 관계지행성을 높여 급식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러나 학교급식 고객인 학생들은 인원이 많은 단체급식의 식당에서 시행되는 이벤트에 대해서 호텔이나 패밀리레스토랑과 같은 전문성을 기대하기보다는 맛있고 다양한 메뉴의 음식을 배식원들로부터 친절하게 배식받기를 기대하므로 다수의 인력을 필요로 하거나 과도한 예산을 필요로 하는 이벤트와 같은 양적인 행사진행을 계획하여 고객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을 놓치는 실수를 범하지 말고 다양하고 신선한 메뉴를 맛있게 조리하여 진심으로 환대하는 마음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질적으로 충실한 이벤트 계획에 힘쓰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충북지역 학교급식 영양(교)사의 직무만족 및 몰입도 (Job Satisfaction and Engagement of School Food Service Dietitians and Nutrition Teachers in Chungbuk)

  • 김준영;이영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943-954
    • /
    • 2014
  • 본 연구는 충북지역 학교급식의 영양(교)사를 대상으로 영양(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직무몰입 조직몰입을 조사함으로써 향후 학교급식의 질적 향상에 기초가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 영양(교)사의 일반사항에 대해 살펴보면 연령은 30대가 경우가 39.7%, 40대 이상 35.0%였고, 대학교 졸업 이상이 86.9%였고, 경력은 1년 미만이 57.5%였고, 1~5년 미만이 24.39%였으며, 고용형태는 정규직이 51.9%로 나타났고, 학교형태는 초등학교가 52.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고등학교가 24.3%, 중학교가 22.9% 순으로 나타났고 근무지역은 도시가 55.6%로 나타났다. 영양(교)사의 직무만족도를 분석하기 위해 46개의 속성을 직무자체, 임금(보수), 승진, 동료와의 관계, 감독, 근무환경, 업무 관련 정책, 전문성 신장의 8개 영역으로 구분 후 각 직무만족 및 영역의 점수를 조사한 결과 직무만족 영역별 점수는 직무 자체 영역은 평균 3.21점, 동료와의 관계 영역은 3.31점, 감독 영역은 3.21점, 근무환경 영역은 3.08점, 전문성신장 영역은 3.40점으로 8개 영역 중 5개 영역에서 3점대로 보통 수준이었으나, 임금 영역은 2.43점, 승진 영역은 2.00점, 업무 관련 정책 영역은 2.59점으로 나타났다. 영양(교)사의 직무 및 조직 몰입도를 분석하기 위해 17개 속성을 직무몰입, 조직몰입의 2개의 영역으로 구분 후 몰입도 영역별 결과 직무몰입이 3.53점으로 나타났으며, 조직몰입이 3.12점, 전체적인 몰입도가 3.29점으로 나타나 직무 및 조직 몰입도는 보통 수준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직무만족도 요인과 직무 및 조직몰입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직무만족도 관련 영역과 직무몰입도 관련 영역 간에는 양(+)의 방향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각 변인들의 상관관계는 0.128~0.957로 나타났다. 8개의 영역으로 구성된 직무만족도에 관한 설문에서 직무 자체, 동료와의 관계, 감독, 근무환경, 전문성 신장의 5개 영역의 직무만족도는 3점대로 보통 수준이었으나, 임금, 승진, 업무 관련 정책영역은 2점대로 '만족하지 않는다'로 나타나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고용형태와 학교유형에 따라 영양(교)사의 직무만족도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P<0.001) 비정규직보다 정규직이, 중학교와 고등학교보다 초등학교 집단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직무몰입의 평균값은 3.53점, 조직몰입의 평균값은 3.12점, 전체적인 몰입도는 3.29점으로 나타나 직무 및 조직 몰입도는 보통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도 관련 영역과 직무몰입도 관련 영역간에는 양(+)의 방향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학교급식에서 동일한 업무를 하고 있는 영양(교)사들에게 있어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임금이 3.20점과 1.60점으로 임금에 대한 직무만족의 격차가 매우 크고 영역별 직무만족에서도 임금에 대한 만족도가 낮았다. 임금과 몰입도의 상관관계에서는 유의적인 양적 상관관계로 나타나 임금에 대한 만족여부가 직무, 조직몰입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에 임금에 대한 비정규직 영양사들의 바람직한 급식의 실시와 효율적인 인력관리를 위하여 임금체제의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영양교사는 초등학교에 많이 배치되어 있고 비정규직 영양사들은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집중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1일 1배식과 2, 3배식의 차이로 나타나 동일한 업무를 더 많이 수행해야 하는 2, 3식에 대한 임금 개선 역시 필요하다. 영양교사는 부장교사, 장학사, 교감의 승진으로의 기본 자격 조건인 1급 정교사가 아니며 비정규직인 계약직 영양사 역시 승진에 대한 현재 마련된 기준이 없다. 정규직 영양교사와 비정규직 영양교사의 승진에 대한 직무만족도는 영역별 평가 중 가장 낮은 만족도를 나타내었고, 몰입도와의 상관관계에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여주어 승진에 대한 만족도가 몰입에 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이에 대한 개선을 위해 승진할 수 있는 체계적인 평정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