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etary probiotics

검색결과 178건 처리시간 0.032초

Effect of dietary mannanoligosaccharide supplementation on nutrient digestibility, hindgut fermentation, immune response and antioxidant indices in dogs

  • Pawar, Mahesh M.;Pattanaik, Ashok K.;Sinha, Dharmendra K.;Goswami, Tapas K.;Sharma, Kusumakar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9권5호
    • /
    • pp.11.1-11.7
    • /
    • 2017
  • Background: Use of prebiotics in companion animal nutrition is often considered advantageous over probiotics because of the ease of handling, ability to withstand processing and storage etc. While most of the studies on prebiotic use in dogs have been done with processed food as basal diet, the response in relation to homemade diet feeding is not very well explored.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dietary mannanoligosaccharide (MOS) supplementation on nutrient digestibility, hindgut fermentation, immune response and antioxidant indices in dogs. Ten Spitz pup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control (CON) with no supplementation, and experimental (MOS) wherein the basal diet was supplemented with MOS at 15 g/kg diet. All dogs were fed on a home-prepared diet for a period of 150 days. The study protocol included a digestion trial, periodic blood collection and analysis for lipid profile and erythrocytic antioxidants. Immune response of the animals was assessed towards the end of the feeding period. Results: Results revealed no significant (P > 0.05) variations in palatability score, intake and apparent digestibility of nutrients between the groups. Faecal score, faeces voided, faecal pH, concentrations of ammonia, lactate and short-chain fatty acids were comparable (P > 0.05) between the two groups. Cell-mediated immune response, assessed as delayed-type of hypersensitivity response, was significantly higher (P < 0.05) in the MOS group. The percent of lymphocyte sub-populations CD4+ and ratio of CD4+:CD8+ were also significantly (P < 0.05) higher in MOS group. The serum IgG levels were similar (P > 0.05) in both the groups. Supplementation of MOS lowered (P < 0.05) serum total- and LDL- cholesterol levels,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erythrocytic antioxidant indices were similar (P > 0.05)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s: The results indicated that supplementation of MOS at the rate of 15 g/kg in the diet of dog augmented the cell-mediated immune response and serum lipid profile without any influences on digestibility of nutrients, hindgut fermentation and antioxidants indices.

큰느타리버섯 수확후배지 발효사료 급여가 비육한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fermented spent mushroom substrates from Pleurotus eryngii on Hanwoo Steers)

  • 문여황;김혜수;김철환;조웅기;유영복;신평균;조수정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08-113
    • /
    • 2015
  • 본 연구는 큰느타리버섯 수확후배지 발효사료에 적합한 생균제를 개발하고 큰느타리버섯 수확후배지 발효사료 급여가 비육한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큰느타리버섯 수확후배지 발효사료를 제조하기 위하여 큰느타리버섯 수확후배지로부터 cellulase, xylanase 활성이 우수하면서 Asp. flavus에 대해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균주를 선발하여 Bacillus subtilis CS21로 명명하고 버섯수확후배지 발효사료용 생균제로 사용하였다. 사양시험은 13개월령 비육한우 20두를 공시하여 29-30개월령까지 수행하였다. 공시동물은 성장단계(육성기, 비육전기, 비육후기)에 따라 배합비를 조절한 TMR 사료를 급여한 대조구와 30%의 큰느타리버섯 수확후배지 발효사료가 첨가된 TMR 사료(30% F-SMS TMR)를 급여한 처리구로 나누어 수용하였다. 시험기간 동안 총 증체량과 일당 사료섭취량은 대조구보다 30% F-SMS TMR 급여구에서 약간 높게 나타났다. 육질등급에서는 대조구와 30% F-SMS TMR 급여구 모두 1등급 이상 출현율이 100%를 나타내었으나 육량등급의 A등급 출현율은 대조구(57%)가 30% F-SMS TMR 급여구(41.67%) 보다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C등급 출현율은 대조구(0%)보다 30% F-SMS TMR 첨가구(25%)에서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발효공정을 거쳐 기호성과 저장성이 개선된 큰느타리버섯 수확후배지 발효사료 급여는 육질등급에서는 대조구와 비슷하였지만 증체량은 대조구 보다 30% F-SMS TMR 급여구가 높은 반면 육량등급의 A등급 출현율은 낮고 C등급 출현율은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므로 육량등급을 높일 수 있도록 배합사료 조성비를 개선한다면 큰느타리버섯 수확후배지는 비육한우의 대체사료자원으로 이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료비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사료용 복합생균제가 브로일러의 생산성과 닭고기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 Probiotic Feed Mixture on Chicken Meat Quality and Growth Performance in Broilers)

  • 신종서;엄경환;김창래;최윤서;박희진;이혜선;박병성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779-788
    • /
    • 2019
  • 브로일러의 생산성과 닭고기의 품질에 미치는 Bacillus. subtillus, Streptomyces galilaeus 및 Sphingobacteriaceae로 구성된 사료용 복합생균제(PFM, probiotic feed mixture)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병아리 (Ross 308) 240마리를 4개의 처리구로 나누어 35일간 사육하였다. 처리구는 사료용 복합 생균제를 함유하지 않은 대조구(CON, control), 일반생균제(CP3, commercial probiotics 0.3%), 사료용 복합 생균제 3(PFM3, 사료용 복합 생균제 0.3%), 사료용 복합 생균제 5(PFM5, 사료용 복합 생균제 0.5%)로 구분하였다. 체중은 CON과 비교할 때 CP3, PFM3, PFM5가 높았고 PFM3, PFM5는 CP3에 비해 우수하였다(p<0.05). F낭, 흉선, 비장의 무게 및 IgG 수준은 CON과 비교할 때 PFM3, PFM5 및 CP3에서 증가하였으며 PFM3, PFM5는 CP3에 비해 높았다(p<0.05). 맹장의 Lactobacillus 균수는 PFM3, PFM5 및 CP3를 섭취한 브로일러가 CON에 비해서 높았으나 E.coli, Salmonella, coliforms, 총 호기성 균수는 감소하였다(p<0.05). PFM3 및 PFM5를 섭취한 닭 가슴살의 보수력은 CON 및 CP3와 비교할 때 증가하였다(p<0.05). 결론적으로 Bacillus subtillus, Streptomyces galilaeus 및 Sphingobacteriaceae를 포함하는 사료용 복합생균제 0.3%가 브로일러의 생산성과 닭고기 품질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산란말기 사료 내 Bacillus subtilis와 오레가노 오일 첨가가 산란계의 계란 생산성, 계란품질 및 장의 형태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Bacillus subtilis and Oregano Oil Supplementation on Performance, Egg Quality, and Intestinal Morphology in Late-Phase Laying Hens)

  • 김현수;김희진;윤연서;이우도;신혜경;손지선;홍의철;전익수;강환구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311-323
    • /
    • 2023
  • 본 연구는 생균제인 Bacillus subtilis(BS) 및 Oregano essential oil(OEO)이 산란말기 산란계의 계란 생산성, 계란 품질, 그리고 회장 내 융모의 조직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산란말기(69주령) 산란계 총 150마리를 공시하였으며, 시험 전 산란율 차이에 따라 산란율 100%(H), 평균(A, 88%~89%) 총 두 그룹으로 나눈 다음, 각 그룹별로 BS 또는 OEO을 처리하였다. 산란율 차이에 따른 두 그룹에서 각각 대조군(CON)은 상업용 시판사료를 급여하였으며, BS군은 대조군 사료에 3 × 108 CFU/kg Bacillus subtilis를 첨가하였고, OEO은 대조군 사료에 사료용 Oregano essential oil 0.3 g/kg을 첨가하였다. 총 6처리로 하여 처리당 5반복, 반복당 5수를 완전 임의 배치하여 5주간 사양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 종료 후 계란 생산성, 계란 품질, 그리고 회장내융모의 조직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산란율 평균인 처리구에서 BS(91.69%) 및 OEO(91.94%)에서 CON(86.80%)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혈구 및 혈청 생화학 분석 결과, 산란말기 산란율 및 BS과 OEO 첨가 급여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난각강도는 OEO(3.31~3.49 kg/cm2)에서 CON(2.96~3.17 kg/cm2)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개선되었다(P<0.05). 장 건강지표인 융모높이(villi height; VH)와 장샘깊이(crypt depth: CD)에 대한 분석결과, CON보다 BS와 OEO를 급여한 처리구에서 높은 VH/CD의 비율을 나타내었다(P<0.05). 본 연구 결과는 산란말기 산란계 사료에 Bacillus subtilis와 Oregano essential oil을 첨가 급여하는 것이 산란율, 계란품질 및 장 건강을 향상시키는 사료 첨가제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돼지의 분변에서 분리한 Enterococcus durans LP44의 생균제로서의 특성 (Probiotic Properties of Enterococcus durans LP44 Isolated from Pigs Feces)

  • 홍종욱;김인호;이상환;권오석;한영근;김지훈;강국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939-944
    • /
    • 2002
  • 본 시험은 국내 사육 돼지 분변에서 분리, 동정한 E. duran LP44의 생균제로서의 효과 및 습식급이 형태로 생균제를 급여하였을 경우, 생균제 급여 이후 자돈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돈분으로부터 180균주의 혐기성 세균을 분리한 후, 내산성 및 내담즙성이 있는 E. duran LP44균주를 선발하였다 E. durans LP44 배양물을 이유자돈에게 급여한 사양시험에서, 전체사양 시험기간 동안, 일당증체량 및 일당식이 섭취량에 있어서는 WF 처리군이 DF 처리구와 비교하여 높게 평가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식이효율에 있어서도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영양소 소화율에 있어서는 사양시험 개시 후 5일째 되는 날에 건물과 질소 소화율은 WF+SED군과 WF+10ED군이 DF군과 WF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높게 평가되었다(p<0.05). 또한, 14일째 되는 날, 건물 소화율에 있어서는 WF+10ED군이 DF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되었으며, 질소 소화율에 있어서는 WF+10ED군이 다른 처리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높게 평가되었다(p<0.05). 결론적으로 국내 사육 돼지 분변에서 분리, 동정한 E. duran LP44 배양물을 습식급이 형태로 급여한 후 자돈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시험에서,E. durans LP44 배양물을 급여하였을 경우 자돈 시기에 성장 및 영양소 소화율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Isoflavone 비배당화 및 항산화 활성을 지닌 Lactobacillus plantarum YS712의 선발 (Isolation and Partial Characterization of Isoflavone Transforming Lactobacillus plantarum YS712 for Potential Probiotic Use)

  • 조윤희;임지영;김화영;홍성길;황성주;박동준;오세종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640-646
    • /
    • 2009
  • 발효유제품, 김치, 및 신생아 분변 등에서 유산균을 분리하여 isoflavone 전환 능력을 평가하였다. 유산균 중 높은 수준의 $\beta$-glucosidase 활성을 보인 균주는 Enterococcus sp. 77, L. paracasei, Lactobacillus sp. 712, L. brevis ATCC 8287, Lactococcus sp. KU107, L. acidophilus KCNU, L. plantarum L155 등으로 나타났다. 이들 유산균에 대하여 유당 발효성을 평가하여 가장 우수한 유산균을 선발하여 API, 16S rDNA를 분석한 결과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동정되었으며 이 활성 유산균을 Lactobacillus plantarum YS712로 명명하였다. Lactobacillus plantarum YS712는 pH 2.5에서도 약 50% 이상의 강한 생존율을 보였으며 DPPH 라디칼 소거능도 95.8%로, 선발된 유산균 중 가장 높은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이로써 Lactobacillus plantarum YS712는 발효식품 및 유제품에 다양하게 이용할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혼합 생균제가 열 스트레스에 노출된 산란계의 생산성, 계란품질, 면역반응 및 맹장 미생물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Dietary Probiotic Mixture on Caecal Microflora, Immune Response, Egg Quality and Production of Layerunder Heat Stress)

  • 송영한;고용균;엄경환;박병성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787-796
    • /
    • 2018
  • 본 연구는 열 스트레스 (heat stress, HS)에 노출된 산란계에서 혼합 생균제의 급여가 생산성, 계란품질, 면역반응, 맹장 미생물 및 분 암모니아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총 400마리의 50주령 Hy-Line brown 산란계를 무작위로 각각 100마리씩 4 그룹, C (대조군, 실온 $25^{\circ}C$), HS (열 스트레스 $33^{\circ}C$), HSP (HS 플러스 혼합 생균제 500, 750 mg/kg)로 배치하였다. 산란계의 생산성, 계란품질, 비장 무게, 혈액 IgG 및 lymphocyte 농도는 HSP 그룹에서 HS 그룹과 비교했을 때 증가하였고, 코르티코스테론, heterophil과 lymphocyte의 비율 (H:L) 및 폐사율은 유의하게 낮았다. Lactobacillus는 HSP 그룹에서 HS 그룹과 비교했을 때 증가하였으나 Escherichiacoli (E. coli), coliform bacteria 및 aerobic bacteria는 유의하게 낮았다. 분에서 암모니아 발생은 HS 그룹이 HSP 그룹에 비해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혼합 생균제가 여름철 산란계의 더위 피해를 방해주고 면역반응, 맹장 미생물 균형을 경유하여 생산성, 계란품질 및 계분으로부터 악취 발생을 줄이는 데 효율적인 영양전략이 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한방생균제가 한우의 체중, 혈액성상, 면역성 및 육량·육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erbal Probiotic Supplementation on Weight, Blood Composition, Meat Quality and Immunity in Beef)

  • 김병기;하재정;이준구;오동엽;정대진;황은경;김수정;안용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860-869
    • /
    • 2016
  • This study was a report on 60 heads of Hanwoo steers(5 treatments ${\times}$ 4 heads ${\times}$ 3 repeats). Their start weights were $361.2{\pm}14.39kg$ to $380.5{\pm}27.33kg$; 12.7 to 13.6 months of age. The aim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erbal probiotic supplementation on the weight, blood composition, meat quality and immunity in beef. In case of body weight gain, con. 1 plot(183.8 kg) in the early fattening stage, T3 plot(115.1 kg) in the middle fattening stage, and T2 plot(163.3 kg) in the late fattening stage significantly increased(p<0.05).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blood content of T-Cho and IgG: con. 1 plot and T1 plot in the early fattening stage, T3 plot and T2 plots in the middle fattening stage, and con. 2 plot and T1~T3 plots in the late fattening stage had higher blood content than that of other treatment plots (p<0.05). In addition, the carcass weight was highest in the T1 plot and T2 plot among the total treatment plots(p<0.05). However, no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different treatments; all individual treatment plots(T1~T3 plots) were somewhat higher than the control plots(con. 1~con. 2 plots) with respect to the carcass quantity and carcass quality. Combining and analyzing all results revealed that the dietary addition of herbal probiotics for Hanwoo steer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weight, amount of meat, meat quality and immunity.

Direct-fed Microbials for Ruminant Animals

  • Seo, Ja-Kyeom;Kim, Seon-Woo;Kim, Myung-Hoo;Upadhaya, Santi D.;Kam, Dong-Keun;Ha, Jong-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3권12호
    • /
    • pp.1657-1667
    • /
    • 2010
  • Direct-fed microbials (DFM) are dietary supplements that inhibit gastrointestinal infection and provide optimally regulated microbial environments in the digestive tract. As the use of antibiotics in ruminant feeds has been banned, DFM have been emphasized as antimicrobial replacements. Microorganisms that are used in DFM for ruminants may be classified as lactic acid producing bacteria (LAB), lactic acid utilizing bacteria (LUB), or other microorganisms including species of Lactobacillus, Bifidobacterium, Enterococcus, Streptococcus, Bacillus and Propionibacterium, strains of Megasphaera elsdenii and Prevotella bryantii and yeast products containing Saccharomyces and Aspergillus. LAB may have beneficial effects in the intestinal tract and rumen. Both LAB and LUB potentially moderate rumen conditions and improve feed efficiency. Yeast DFM may reduce harmful oxygen, prevent excess lactate production, increase feed digestibility, and improve fermentation in the rumen. DFM may also compete with and inhibit the growth of pathogens, stimulate immune function, and modulate microbial balance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LAB may regulate the incidence of diarrhea, and improve weight gain and feed efficiency. LUB improved weight gain in calves. DFM has been reported to improve dry matter intake, milk yield, fat corrected milk yield and milk fat content in mature animals. However, contradictory reports about the effects of DFM, dosages, feeding times and frequencies, strains of DFM, and effects on different animal conditions are available. Cultivation and preparation of ready-to-use strict anaerobes as DFM may be cost-prohibitive, and dosing methods, such as drenching, that are required for anaerobic DFM are unlikely to be acceptable as general on-farm practice. Aero-tolerant rumen microorganisms are limited to only few species, although the potential isolation and utilization of aero-tolerant ruminal strains as DFM has been reported. Spore forming bacteria are characterized by convenience of preparation and effectiveness of DFM delivery to target organs and therefore have been proposed as DFM strains. Recent studies have supported the positive effects of DFM on ruminant performance.

Effect of Recombinant Lactobacillus Expressing Canine GM-CSF on Immune Function in Dogs

  • Chung, Jin-Young;Sung, Eui-Jae;Cho, Chun-Gyu;Seo, Kyoung-Won;Lee, Jong-Soo;Bhang, Dong-Ha;Lee, Hee-Woo;Hwang, Cheol-Yong;Lee, Wan-Kyu;Youn, Hwa-Young;Kim, Chul-Jo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9권11호
    • /
    • pp.1401-1407
    • /
    • 2009
  • Many Lactobacillus strains have been promoted as good probiotic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iseases. We engineered recombinant Lactobacillus casei, producing biologically active canine granulocyte 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 (cGM-CSF), and investigated its possibility as a good probiotic agent for dogs. Expression of the cGM-CSF protein in the recombinant Lactobacillus was confirmed by SDS-PAGE and Western blotting methods. For the in vivo study, 18 Beagle puppies of 7 weeks of age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the control group was fed only on a regular diet and the two treatment groups were fed on a diet supplemented with either $1\times10^9$ colony forming units (CFU)/day of L. casei or L. casei expressing cGM-CSF protein for 7 weeks. Body weight was measured, and fecal and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dogs during the experiment for the measurement of hematology, fecal immunoglobulin (Ig)A and IgG, circulating IgA and IgG, and canine corona virus (CCV)-specific IgG.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body weights among the groups, but monocyte counts in hematology and serum IgA were higher in the group receiving L. casei expressing cGM-CSF than in the other two groups. After the administration of CCV vaccine, CCV-specific IgG in serum increased more in the group supplemented with L. casei expressing cGM-CSF than the other two groups. This study shows that a dietary L. casei expressing cGM-CSF enhances specific immune functions at both the mucosal and systemic levels in pupp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