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astema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29초

정중 과잉치 발거 이후 정중 이개의 폐쇄 (MANAGEMENT OF DIASTEMA AFTER REMOVAL OF MESIODENS)

  • 조은주;최영철;이긍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48-353
    • /
    • 2003
  • 정중 과잉치를 이른 시기에 발견하고 이를 신중하게 관리하는 것은 인접 영구 전치가 맹출하고 정상적인 위치로 자리 잡는데 미칠 수 있는 유해한 영향을 줄일 수 있다. 초기 혼합치열기에 있어 정중 이개가 정상적인 것으로 간주되지만 정중 과잉치의 존재를 이른 시기에 파악하고 이를 적절한 시기에 제거하는 것은 이어지는 영구 중절치의 자발적인 배열과 근접화를 가능하게 한다. 정중 이개의 관리에 있어서 가장 바람직한 선택은 주기적인 관찰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관찰 기간 동안에 정중 이개가 자발적으로 폐쇄되지 않을 때에는 교정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본 보고에서는 정중 과잉치로 인한 정중 이개의 폐쇄에서 정중 과잉치의 제거 이후 자발적 즉 생리적으로 폐쇄되는 증례(증례 1-3)와 함께 교정적 처치로 정중 폐쇄를 시행한 증례(증례 4)를 보고하고자 한다.

  • PDF

치과용 CBCT를 이용한 상악 정중치의 3차원 분석 및 정중치와 정중이개와의 관계분석 (Three Dimensional Analysis of Maxillary Mesiodens Using Dental CBCT and Relationship Between the Mesiodens and Diastema)

  • 강은주;최남기;김선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60-267
    • /
    • 2013
  • 본 연구는 Cone-beam computed tomography(CBCT)를 이용하여 상악 정중치의 크기, 형태, 위치 등의 3차원적 특성을 분석하고 이들이 영구치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2006년 6월부터 2012년 12월까지 내원하여 CBCT를 촬영한 환자 중 15세 이하의 환자, 19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중 정중이개를 보이는 43명을 대상으로 정중치의 크기, 위치와 정중이개량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정중치는 남성에서 약 3.9배 많이 발견되었고 7세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다. 평균 길이는 13.0 mm, 폭경은 6.8 mm이였으며, 원추형이 59.2%로 가장 많았다. 정중치는 순측보다 구개측에 다수 존재하였고 수직적으로는 영구치의 치관부위에 근접해 있는 경우가 많았다. 정중치의 63.0%가 역위 형태였으며 정중치에 의해 유발된 병발증은 맹출지연이 39.0%, 정중이개 23.6%, 치아회전이 15.9%를 차지하였다. 이 중 정중이개량은 정중치의 크기와 중등도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정중치의 근원심 위치도 정중이개량과 통계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시행한 정중치의 3차원 분석을 통해 정중치의 크기, 위치, 병발증의 발생분포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 중 정중이개량은 정중치의 크기, 근원심 위치와 상관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레진 직접법을 이용한 치가이개의 수복: 치은 형태 회복술 (Diastema closure with direct composite: architectural gingival contouring)

  • 김연화;조용범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6권6호
    • /
    • pp.515-520
    • /
    • 2011
  • 전치부 치간이개를 치료할 때 가장 어려운 것은 레진으로 축성 후 치아 사이의 "black triangle"없이 치간공극을 메우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치경부 형태와 접촉점의 위치에 기초하여 치은 형태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증례보고는 적절한 접촉점을 형성하기 위해 비침습적 방법을 사용하여 접촉점의 위치를 설정하였다. 또한 치은-치아 사이에 위치한 Mylar strip을 이용한 기존의 방법을 바꾸어 자연스러운 형태를 갖도록 변형하였다. Mylar strip을 치은연 상방으로 약 1 mm 정도 되게 치은열구에 위치시키고 작은 면구를 치은과 그 사이에 위치시켜 출현윤곽(emergence contour)을 부여하였다. 이와 같은 변형된 방법은 적절한 출현윤곽과 치은형태를 형성하는데 유용하였으며, 임상적용에 유효하였다.

상악 전치의 치열 형태에 따른 스캔 반복 측정 안정성 평가: in vitro 연구 (Evaluation of repeated measurement stability of dentition type of maxillary anterior tooth: an in vitro study)

  • 박동인;손호정;김웅철;김지환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11-217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epeated measurement stability of scans related to dentition type. Methods: A normal model and the crowding and diastema models are also duplicated using duplicating silicon. After that, a plaster model is made using a plaster-type plaster on the duplicate mold, and each model is scanned 5 times by using an extraoral scanner. The gingival part and molar part were deleted from the 3D STL file data obtained through scanning. Using the 3D stl file obtained in this way, data is nested between model groups. Thereafter, RMS values obtained were compared and evaluated. The normality test of the data was performed for the statistical application of repeated measurements with dentition type, and the normality was satisfied. Therefore, the one-way ANOVA test, which is a parametric statistical method, was applied, and post-tests were processed by the Scheffe method. Results: The average size of each RMS in the Normal, Diastema, and Crowding groups was Normal> Crowding> Diastema. However, the standard deviation was in the order of Crowding> Normal> Diastema. The average value of each data is as follows. Diastema model was the smallest ($5.51{\pm}0.55{\mu}m$), followed by the crowding model ($12.30{\pm}2.50{\mu}m$). The normal model showed the maximum error ($13.23{\pm}1.06{\mu}m$). Conclus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peatability of the scanning measurements according to the dentition type. Therefore, you should be more careful when scanning the normal intense or crowded dentition than scanning the interdental lining. However, this error value was within the range of applicable errors for all clinical cases.

'Y' 국민학교 아동의 상악중절치 치간이개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AXILLARY MEDIAN DIASTEMA OF 'Y' PRIMARY SCHOOL CHILDREN)

  • 한세현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19권12호통권151호
    • /
    • pp.1039-1044
    • /
    • 1981
  • The author surveyed on maxillary median diastema of 1440 (male: 740, female:700) 'Y' primary school children aged from 6 to 12 and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1. The prevalence of maxillary median diastema was 16.08% in male, 14.00% in female and 15.07% in both sexes. 2. The prevalence of maxillary median distema showed the highest rate in 8 years old children (male: 29.55%, female: 34.83%) and it showed decreasing tendency according to increasing age. 3. The prevalence of mesiodens was 0.79% and boys had higher rate than girls. 4. Mean value of 'Divergent degree' was 20.6mm in male, 20.5mm in female and mean value of 'Frenum distance' was 4.08mm in male, 41.1mm in female.

  • PDF

상악 정중이개 치료시 rubber band의 부적절한 사용 (IMPROPER USE OF RUBBER BANDS TREATING MAXILLARY MEDIAN DIASTEMA : A CASE REPORT)

  • 최원혁;김은정;김현정;김영진;남순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525-530
    • /
    • 2005
  • 정중이개란 상악 중절치 사이의 치간이개를 말한다. 이는 혼합 치열기에서 ugly ducking stage에 흔히 관찰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견치가 맹출하면서 자연적으로 소실되므로 꼭 치료가 필요한 것은 아니다. 그러나 견치 맹출 후에도 정중이개가 2mm이하로 계속 존재하거나 견치 맹출 전이라도 3mm이상의 정중이개가 존재하는 경우에서는 치료의 적응증이 될 수 있다. 특히 후자의 경우 심미적인 면에서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측절치와 견치의 맹출공간이 부족해지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교정치료가 권장된다. 정중이개 치료시 사용되는 장치물은 finger spring 등을 이용한 가철성 장치물과, 교정용 band, tube, bracket 등을 부착시켜 rubber elastics이나 coil spring 등을 사용하는 고정성 장치물로 나뉘어진다. 그러나 정중이개의 치료를 위해 rubber band를 band, tube, bracket 등과 같은 적절한 부가장치 없이 사용하면 rubber band가 치근은 따라 치은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치주 인대를 파괴하며 치근단 부위에 이르러 치아동요, 치아정출 및 탈락 등 치아에 치명적인 손상을 입힐 수 있다. 본 증례는 정중이개의 치료를 위해 부적절하게 rubber band를 사용하여 외상을 받은 치아를 관찰하여 다소의 지견을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치아 기관배양시 골형성단백의 역할에 관한 연구 (THE ROLE OF BONE MORPHOGENETIC PROTEIN IN THE TOOTH CULTURE)

  • 정일혁;정종훈;정필훈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0권5호
    • /
    • pp.438-443
    • /
    • 2004
  • Objectives : The proper development of the facial structures relies upon a sequence of tightly regulated signaling interactions between the ectoderm and mesoderm involving the participation of several families of signaling molecules. Among these, bone morphogenetic proteins (BMPs) have been suggested to be a key signal that regulates the development of the mandible and the initiation and morphogenesis of the teeth.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rtificial development of the mandibular structures and to examine the role of BMPs on tooth morphogenesis and differentiation using an organ culture system. Materials and Methods : The tooth germs from Ed 11.5, 13.5 mice were dissected, and transplanted into the diastema of the mandible primordia. The mandibles containing the transplanted tooth germs were cultured in vitro. During this period, beads soaked with BMP4 were implanted around the transplanted tooth germs. In addition, a diastema block containing the transplanted tooth germ was dissected, then transferred to an adult mouse kidney. After the organ culture, the developing mandibular explant was removed from the kidney and prepared for the tissue specimens. Odontogeneis of the transplanted tooth germs was examined after Hematoxylin-eosin, Masson-trichrome staining. Results :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the tooth germs cultured in the diastema was observed. In the BMP4-treated tooth germs, the form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molars was noted. The crown of the developing tooth showed the formation of a mature cusp with the deposition of enamel and dentin matrix.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BMP4 is involved in the formation of a dental crown and the differentiation of ameloblasts and odontoblasts of the molar tooth during the development of the transplanted tooth ger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