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PROPER USE OF RUBBER BANDS TREATING MAXILLARY MEDIAN DIASTEMA : A CASE REPORT

상악 정중이개 치료시 rubber band의 부적절한 사용

  • Choi, Won-Hyuk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im, Eun-Jung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im, Hyun-Jung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im, Young-Ji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Nam, Soon-Hyeu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최원혁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김은정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김현정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김영진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남순현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Published : 2005.08.31

Abstract

Maxillary median diastema is the term used when there is spacing between maxillary central incisors. The space between maxillary central incisors are often observed during ugly duckling stage. In most of the cases, as maxillary permanent canines erupt, it gradually disappears. Maxillary median diastema needs to be treated when there is up to 2mm of space between the incisors even after eruption of permanent canines or when there is 3mm of space, at least, before the eruption of the canines. Particulary, for the latter case, orthodontic treatment is recommended because not only the esthetic point of view but also to regain the eruption space for maxillary lateral incisors and canines. The appliance used for orthodontic treatment are removable appliances, using finger spring and etc, and fixed appliances, using rubber elastics and coil spring. If rubber band alone was used to treat median diastema without any other appliance such as band, tube or bracket, it will gradually move downward along the root surface. Then it will destroy the peridontal ligament and causes tooth mobility, extrusion, and avulsion. This report presents cases of damaged tooth due to improper use of rubber band when treating maxillary median diastema.

정중이개란 상악 중절치 사이의 치간이개를 말한다. 이는 혼합 치열기에서 ugly ducking stage에 흔히 관찰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견치가 맹출하면서 자연적으로 소실되므로 꼭 치료가 필요한 것은 아니다. 그러나 견치 맹출 후에도 정중이개가 2mm이하로 계속 존재하거나 견치 맹출 전이라도 3mm이상의 정중이개가 존재하는 경우에서는 치료의 적응증이 될 수 있다. 특히 후자의 경우 심미적인 면에서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측절치와 견치의 맹출공간이 부족해지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교정치료가 권장된다. 정중이개 치료시 사용되는 장치물은 finger spring 등을 이용한 가철성 장치물과, 교정용 band, tube, bracket 등을 부착시켜 rubber elastics이나 coil spring 등을 사용하는 고정성 장치물로 나뉘어진다. 그러나 정중이개의 치료를 위해 rubber band를 band, tube, bracket 등과 같은 적절한 부가장치 없이 사용하면 rubber band가 치근은 따라 치은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치주 인대를 파괴하며 치근단 부위에 이르러 치아동요, 치아정출 및 탈락 등 치아에 치명적인 손상을 입힐 수 있다. 본 증례는 정중이개의 치료를 위해 부적절하게 rubber band를 사용하여 외상을 받은 치아를 관찰하여 다소의 지견을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