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amondback moth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37초

Test of Larvicidal Effect of Some Commercial Natural Products on Lepidoptran Plutella xylostella and Spodoptera litura Larvae

  • Jeong, Hyung-Uk;Im, Hyun-Hwak;Chang, Sung-Kwon;Paik, Chae-Hoon;Han, Tae-Ho;Kim, In-Seon;Kim, Ik-Soo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15권1호
    • /
    • pp.87-91
    • /
    • 2007
  • A diverse kind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EFAM) for the control of insect pests is on the market. These EFAMs are a part of essential sources for the accomplishment of successful, sustainable, and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Thus, accurate information of these EFAMs is one that required for the success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but, in reality, still appropriate information is absolutely in shortage. In this study, we, therefore, tested the efficacy of commercial EFAMs against two lepidopteran insect larvae, the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Lepidoptera: plutellidae) and the tobacco cutworm Spodoptera litura(Lepidoptera: Noctuidae). After the two insect pests were successfully stabilized in indoor environment the larvicidal activity was tested at $24{\pm}1^{\circ}C$, relative humidity(RH) of $60{\pm}5%$, and a photoperiod of 16L:8D, and mortality was determined 48 hrs after EFAMs are treated. The EFAMs that showed more than 90% of larvicidal activity were each six among 16 against both P. xylostella and S. litura and only three of them showed consistent larvicidal activity against both species, signifying species specificity of EFAMs and importance of selection of proper EFAMs depending on target insect pest.

생식형불일치 유형에 따른 국내 프루텔고치벌(Cotesia plutellae)의 유전적 위치 (Genetic Identity of a Korean Isolate of an Endoparasitoid Cotesia plutellae(Hymenoptera: Braconidae), Among Reproductive Incompatibility Types)

  • 박정아;김용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57-62
    • /
    • 2007
  • 자생밀도의 증가를 위해 도입되는 생물적 방제인자를 선정하는 데 있어서 생식형불일치는 주요한 요인이다.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L.))에 대한 효과적 생물적방제 인자로서 프루텔고치벌(Cotesia plutellae (Kurdjumov))은 집단 사이에 생식형불일치로 크게 두 생식형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 서식하는 특정 프루텔고치벌 집단에 대해서 형태적 및 미토콘드리아 염기서열 지표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 결과 국내 집단이 기존에 보고된 두 생식형집단에 비해 형태적 형질과 분자지표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국내 프루텔고치벌 집단이 새로운 생식형집단일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외래 프루텔고치벌의 도입을 위해서는 국내 자생종과의 생식형불일치 가능성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고 보고한다.

새로운 Bacillus thuringiensis NT0423 균주의 제제화 (Formulation of a New Bacillus thuringiensis Strain NT0423.)

  • 김호산;노종열;이대원;장진희;제연호;우수동;김주경;유용만;강석권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58-364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새로 분리된 B. thuriniensis(Bt) NT0423 균주를 이용하여 효과적인 미생물 살충제를 개발하고 그 효력을 검정하였다. 농업부산물인 저가의 대두박과 밀기울을 이용한 새로운 SW32 배지로 Bt NT0423 균주를 대량배양하여 BioBact 10%, 20% 및 40%로 명명된 세 종류의 미생물 살충제를 수화제 제형으로 제조하였다. 제조된 세 종의 BioBact 제제는 수화성, 현수성, 입도 및 부착성에서 우수한 물성을 보였고 또한 SDS-PAGE분석 결과,약 130kDa의 내독소 단백질도 안정적으로 존재하였다. 세 종의 BioBact로 명명된 제제중, BioBact 10%는 독성이 낮았지만, BioBact 20%와 40%는 배추좀나방을 공시충으로하여 시판중인 Bt 제제인 subsp. kurstaki 균주를 사용한 A 제품, Bt subsp. aizawai 균주를 사용한 B 제품 및 화학살충제와 더불어 실내 및 야외 독성검정 실험을 비교 수행한 결과, 각각 100%와 80% 이상의 매우 높은 살충력을 보였다. 또한 야외에서 독성의 지속성도 다른 제제에 비해 최소 7일 이상 살충력이 유지되었다.

  • PDF

Xenorhabdus 및 Photorhabdus 세균 배양액을 이용한 생물농약 개발에 관한 연구 (Study on Development of Novel Biopesticides Using Entomopathogenic Bacterial Culture Broth of Xenorhabdus and Photorhabdus)

  • 서삼열;김용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41-249
    • /
    • 2010
  • Xenorhabdus 및 Photorhabdus 두 곤충병원세균은 곤충의 아이코사노이드 생합성을 억제하여 면역작용을 저하시키는 인자로 알려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들 세균의 배양액을 이용하여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을 방제하는 새로운 생화학농약을 개발하려 추진되었다. 두 세균 배양액의 단독 처리는 배추좀나방의 생존력에 뚜렷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그러나 비티(Bacillus thuringiensis) 생물농약과 혼합하여 처리할 경우 비티 단독 처리에 비해 배추좀나방 4령충에 대해서 현격하게 높은 병원성 증가효과를 주었다. 배양액의 세균 활성을 조사하기 위해 이 세균 배양액을 고온 멸균 및 $0.2\;{\mu}m$ 여과 멸균 처리하였다. 이렇게 처리된 멸균 배양액은 세균이 생존했던 배양액과 차이 없이 비티 생물농약의 병원력을 상승시켰다. X. nematophila 배양액에서 유래된 세 가지 대사물질도 세균배양액과 유사한 비티 병원력 상승효과를 보였다. 야외 배추좀나방 방제 시험에서도 세균배양액은 비티 생물농약의 방제가를 상승시키는 효과를 나타냈다.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enomyl-Resistant Mutants in an Entomopathogenic Fungus, Metarhizium anisopliae

  • Kim Soon Kee;Shim Hee Jin;Roh Jong Yul;Jin Byung Rae;Boo Kyung Saeng;Je Yeon Ho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10권2호
    • /
    • pp.119-123
    • /
    • 2005
  • Benomyl-resistant mutants of entomopathogenic fungus, Metarhizium anisopliae were isolated and their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These militants were obtained spontaneously or by UV irradiation in benomyl-treated media. Four spontaneous (S-2, S-11, S-18, S-19) and four UV-induced (UV-4, UV-5, UV-19, UV-24) mutants, which grow stably and normally were select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idia or hyphal shape, conidia viability, mycelial biomass, or virulent to the diamondback moth were observed between the wild type and their mutants. But differently from the mycelial growth of other benomyl-resistant mutants which was slower than that of the wild type on a modified Czapek-Dox, SDAY, $4\%$ chitin, or $1\%$ skim milk medium, that in the spontaneous mutants, S-18 and S-19, did not show any difference from the wild type. Especially, S-18 and S-19 grew well at benomyl concentrations up to 50 times or higher than that which inhibits wild type proliferat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S-18 and S-19 could potentially be used with the fungicide, benomyl.

배추좀나방과 담배거세미나방 유충에 대한 한방식물체 추출물의 살충 및 섭식저해활성 (Larvicidal and Antifeeding Activities of Oriental Medicinal Plant Extracts against Plutella xylostella and Spodoptera litura)

  • 권형욱;안용준;권정현;이상길;변병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7권6호
    • /
    • pp.503-508
    • /
    • 1994
  • 17종과 45종 한방 식물체 메탄올 추출물의 배추좀나방과 담배거세미나방 유충에 대한 살충활성 및 섭식저해활성을 잎침지법으로 조사하였다. 살충활성은 8,000 ppm에서 조사하였는바, 현호색 추출물만이 담배거세미나방 유충에 대해 강한 살충활성을 보였다. 섭식저해활성은 5,000 ppm에서 조사한 결과, 누리장나무, 거문누리장나무, 목향, 우방자, 인진, 전호, 백지 및 현호색 추출물이 강한 섭식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 PDF

The Stress-Responsive and Host-Oriented Role of Nonribosomal Peptide Synthetases in an Entomopathogenic Fungus, Beauveria bassiana

  • Liu, Hang;Xie, Linan;Wang, Jing;Guo, Qiannan;Yang, Shengnan;Liang, Pei;Wang, Chengshu;Lin, Min;Xu, Yuquan;Zhang, Liwe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3호
    • /
    • pp.439-449
    • /
    • 2017
  • Beauveria bassiana infects a number of pest species and is known to produce insecticidal substances, such as the nonribosomal peptides (NRPs) beauvericin and bassianolide. However, most NRPs and their biological roles in B. bassiana remain undiscovered. To identify NRPs that potentially contribute to pathogenesis, the 21 predicted NRP synthetases (NRPSs) or NRPS-like proteins of B. bassiana ARSEF 2860 were primarily ranked into three functional groups: basic metabolism (7 NRPSs), pathogenicity (12 NRPSs), and unknown function (2 NRPSs). Based on the transcript levels during in vivo growth on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Linnaeus)), half of the Group II NRPSs were likely to be involved in infection. Given that the metabolites biosynthesized by these NRPSs remain to be determined, our result underlines the importance of the NRPSome in fungal pathogenesis, and will serve as a guide for future genomic mining projects to discover functionally essential and structurally diverse NRPs in fungal genomes.

새로운 pyrazole oxime ether 유도체의 살충활성 연구 (Preliminary studies on Insecticidal activities of 5-substituted pyrazole oxime ether derivatives)

  • 박노중;박현자;박민섭;이기인
    • 농약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58-264
    • /
    • 2004
  • 효과적인 살충제로 pyrazole 계통의 화합물이 널리 알려졌으며, 이중에 fenpyroximate와 tebufenpyrad는 시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fenpyroximate의 새로운 유도체로써 5-번 위치가 치환된 pyrazole oxime ether를 합성하였다. 본 연구의 핵심 중간체인 4-formyl-5-chloro-pyrazole 2는 ethyl acetoacetate와 methylhyazine의 축합반응으로 얻은 pyrazolone 1을 Vilsmeier-Haack chloroformylation을 통하여 합성하였다. 2에 nucleophilic aromatic substitution 반응을 하여 질소고리화합물이 5-번 위치에 도입된 pyrazole aldehyde 3a-i를 만든 후, 차레로 oxime 화합물 4a-i 그리고 oxime ether 화합물 6a-i를 각각 합성하였다. 합성된 화합물 중에서 6d는 벼멸구 (Brown Planthopper, BPH), 배추좀나방 (Diamondback Moth, DBM), 점박이응애 (Two Spotted Spider Mite, TSSM)에서 높은 활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fenpyroximate의 살충활성과 비슷하였다. 본 결과는 6d가 다양한 곤충 및 응애에 대하여 효과가 우월하여 살충, 살비제로써 개발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유전자변형 양배추로부터 비유전자변형 모본으로의 유전자 이동성 (Gene Flow from GM Cabbage to Non-GM Control)

  • 김영중;남경희;백인순;박정호;정순천;한지학;김창기
    • 농업과학연구
    • /
    • 제41권3호
    • /
    • pp.157-161
    • /
    • 2014
  • Understanding the gene flow from genetically modified (GM) crops to conventional crops is important to prevent and mitigate seed contamination caused by pollen-mediated gene flow. We conducted a field test to investigate the gene flow from diamondback moth resistant GM cabbage (Brassica oleracea var. capitata) containing cry1Ac1 gene, to a non-GM control line AD126. GM and non-GM cabbage plants were cultivated in the field and pollinated using Bombus terrestris under the nets during the flowering periods. After seeds were collected from non-GM plants, hybrids between them and the GM cabbages were screened by multiplex PCR targeting cry1Ac1 gene. Out of 878 germinated seedlings, 168 hybrids were found and the average gene flow frequency was 19.7%. Because cabbage is mainly pollinated by insect pollinators, large-scale field tests are needed to study gene flow of GM cabbage.

목화진딧물과 배추좀나방에 대한 thiamethoxam의 살충효과 및 작용특성 (Action properties and insecticidal effects of thiamethoxam to the melon aphid, Aphis gossypii, and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 장철;황인천;유용만;최광렬
    • 농약과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126-136
    • /
    • 1998
  • 신규화합물인 thiamethoxam의 목화진딧물과 배추좀나방에 대한 살충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일반적인 생물검정 방법을 이용하여 접촉 및 섭식독성반응과 속효성, 침투이행성, 잔효성 등을 다른 약제들과 비교 검토하였다. Spray법을 이용하여 접촉독성을 조사한 결과 목화진딧물에 대한 반수치사농도($LC_{50}$)는 유기인계인 acephate 41.9 ppm, 카바메이트인 carbosulfan 5.2 ppm, 니코틴계인 imidacloprid와 thiamethoxam은 각각 1.1, 0.7 ppm을 나타냈다. 배추좀나방을 대상으로 엽침적법으로 처리했을 경우 섭식독성은 2령 유충의 경우 $LC_{50}$값이 imidacloprid 64.9 ppm, thiamethoxam 24.6 ppm, acetamiprid 15.2 ppm, 3령 유충에서는 각각 125.1, 42.7, 27.8 ppm이었고, 4령 유충에서는 각각 241.1, 44.5, 23.9 ppm으로 령기별로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한편, 목화진딧물을 대상으로 한 약제의 속효성을 측정하는 반수치사시간 ($LT_{50}$)은 접종 후 약제살포시에 imidaclopid 26.6분, thiamethoxam 28.0분, carbosulfa 30.3분, acephate 41.7분의 순이었고, 약제살포 후 접종하였을 때에는 thiamethoxam 95.5분, imidaclopid 118.0분, carbosulfan 122.9분으로 진딧물에 직접 살포한 것이 살충시간을 단축시켰다. 또한, 잎표면으로부터 이면으로의 약효성분의 이행성을 비교한 결과 $LT_{50}$값은 thiamethoxam 162.2분, imidacloprid 168.9분, carbosulfan 564.1분이었고, 하위 잎으로부터 최상위 잎으로의 이행성에서는 carbosulfan 2.3일, thiamethoxam 2.9일, imidacloprid 3.0일, acephate 8.8일이었다. 뿌리로부터 잎으로의 이행성은 carbosulfan 0.6일, imidacloprid 1.0일, thiamethoxam 1.0일, acephate 13.8일로서 thiamethoxam의 침투이행성이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Spray법을 이용한 잔효성 시험결과 thiamethoxam과 imidaclopid는 약제처리 후 10일째에도 80%이상의 높은 살충효과를 나타내어 잔효성이 우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