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amondback moth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4초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 L.)의 독성시험방법 비교와 지역별 약제저항성에 관한 연구 (Comparative Study of Toxicological Methods and Field Resistance to Insecticides in Diamondback moth(Lepidoptera: Plutellidae))

  • 이승찬;조영식;김도익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23-329
    • /
    • 1993
  • 배추좀나방의 독성시험방법 비교와 지역별 계통의 약제저항성 수준을 조사한 결과, 약제저항성 수준결정을 위한 다섯가지 독성시험 방법비교에서 leaf disc법의 CV가 11.4%로 정밀도가 높았으며 간편하고 처리가 용이한 방법이었다. Topical application법의 CV는 8.0%로 가장 정밀하고 반복성이 높았으나 시간을 요하고 시험조작이 불편한 점이 결점이었으며, insect-direct dipping법(CV=14.9%), leaf disc+insect spray법(CV=17.4%) 및 pot spray법(CV=21.4%)은 비교적 변이계수가 큰 편이었다. 배추좀나방의 지역별 계통에 대하여 topical application법에 의한 약제저항성수준은 $LC_{50}$,치로 감수성계통과 비교한 결과 공주, 김해, 제주 및 인제계통에 대하여 prothifos는 각각 61.1, 5.6, 5.4, 및 3.3배이고, cartap은 33.3, 12.8, 12.3 및 10.5배이며, cypermethrin은 141.7, 37.2, 32.5, 및 7.5배이며, Bacillus thringiensis에 대해 leaf disc법으로 조사한 저항성 수준은 광주, 김해, 제주 및 인제계통에 대하여 8.1, 2.7, 2.3 및 1.9배의 저항성으로 지역이나 약제에 따라 다른 수준의 살충제저항성을 나타냈다.

  • PDF

Description of the Diadegma fenestrale (Hymenoptera: Ichneumonidae: Campopleginae) Attacking the Potato Tuber Moth, Phthorimaea operculella (Lep.: Gelechiidae) New to Korea

  • Choi, Jin-Kyung;Kim, Ju Il;Kwon, Min;Lee, Jong-Wook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9권1호
    • /
    • pp.70-73
    • /
    • 2013
  • Diadegma fenestrale is known as a parasitoid of the potato tuber moth, Phthorimaea operculella. The potato tuber moth, Phthorimaea operculella (Zeller) is one of the most destructive pest of potatoes. Also, we found this species attacking the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Lepidoptera: Plutellidae). Ratio of parasitism is 20-30% and cocoon of lepidopteran was parasitic ichneumonid species after 3 days. This species and the genus Diadegma are recorded for the first time from Korea. In this paper, description of the parasitoid and photographs of the diagnostic characteristics are provided.

국내 지역별 채집계통 및 감수성계통 배추좀나방에 대한 Bacillus thuringiensis 제품의 생물활성 비교 (Resistance and Susceptibility of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Strains Collected from Different Region in Korea to Bacillus thuringiensis)

  • 김영림;조민수;오세문;김성우;윤영남;유용만
    • 농약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23-132
    • /
    • 2010
  • 국내 난방제 해충의 하나인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을 방제하기 위하여 사용되어온 상업용 Bacillus thuringiensis 제품들을 이용하여 국내 6개 지역에서 채집한 지역계통과 2개의 감수성계통 배추좀나방에 대한 저항성 발달정도를 검토하였다. 상품화된 B.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계통인 Tyuneup$^{(R)}$, Thuricide$^{(R)}$, Geumulmang$^{(R)}$ 등 3제품과 B. thuringiensis subsp. aizawai 계통인 Tobagi$^{(R)}$, Scorpion$^{(R)}$ 등 2제품을 이용하였다. 공시충으로 사용된 배추좀나방은 계대사육중인 감수성개체군 NP와 GR 2종류이며, 전국의 배추밭에서 채집한 SP, HS, NM, DR, HC, HW개체군 등 6종류를 야외 개체군으로 사용하였다. Tyuneup$^{(R)}$ 제품의 생물검정에서 감수성 계통인 고령지시험장계통의 GR과 비교해 SP 개체군은 4.8배를 그리고 HS 개체군은 2.5배의 저항성발달을 보였다. Geumulmang$^{(R)}$ 제품의 경우에는 감수성계통인 NP 개체군에 비하여 SP 개체군에서 9.9배와 NM 개체군에서 6.8배정도의 저항성을 나타냈다. Tobagi$^{(R)}$는 HS 개체군에서 GR 개체군에 비해 14배의 저항성을 보여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동일 계통의 Scorpion$^{(R)}$은 SP 개체군에 약 2배정도의 저항성을 보여주고 있을 뿐이다. 이러한 결과는 어떤 특정한 B. thuringiensis 제품이 특정지역에 집중적으로 계속 사용함으로서 저항성이 발달되는 것으로 판단되며 종류가 다른 B. thuringiensis 제품을 교호 살포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Tobagi$^{(R)}$에 14배의 저항성 발달을 보인 HS 개체군을 실험실에서 동일약제에 연속으로 노출시켰을 때 $F_2$세대에서는 급격히 저항성 수치가 떨어져 1.1로 나타나 저항성 기작의 검토가 필요하다.

단제도태에 의한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의 약제저항성 발당과 교차저항성에 관한 연구 (Resistance Development and Cross-Resistance of Diamondback Moth (Lepidoptera: Plutellidae) by Single Selection of Several Insecticides)

  • 조영식;이승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42-249
    • /
    • 1994
  • 화학적 group이 다른 5가지 살충제에 대하여 배추좀나방의 약제저항성 발달과 교차저항성은 다양하게 나타났다. 배추좀나방의 약제저항성 발달은 prothiophos에 대해 4세대 도태하였을 때 5.1배의 낮은 저항성 수준을 보였으나 8세대 도태하였을 때는 14.3배의 저항성 수준을 보였다. Cartap hydrochlodise에 대해서는 4세대 도태시켰을 때 4.2배, 8세대 도태시켰을 때 9.1배로 다른 약제계통에 비해 저항성이 낮게 유발된 반면, triflumuron은 4세대 도태시에는 17.2배, 8세대 도태시켰을 때 37.4배로 다른 약제에 비하여 높은 저항성 수준을 보였다. Lambda cyhalothrin 에 대해서는 4세대 대 4.7배 낮은 저항성 수준을 보였으나 8세대에서는 29.1배로 높은 저항성 수준을 보였다. B. thuringensis 대해서는 4세대 때 4.3배로 낮은 수준의 저항성 수준을 보였으나 8세대에서는 24.1배의 높은 저항성 수준을 보였다. 따라서 약종이나 약제의 특성에 따라 저항성 발달속도나 양상이 달리 나타났다. 배추좀나방에 대해 prothiophos로 누대 선발한 것의 교차저항성은 cartap hydrochlodise 가 5.5배로 낮은 수준의 교차저항성을 보였고, BT제, triflumuron, lambda cyhalothrin 에 대해서는 각각 2.8, 2.3, 1.3배로 비교차 저항성을 보였다. Cartap hydrochlodise 도태 계통은 lambda cyhalothrin에 대해서는 19.9배의 높은 수준의 교차저항성을 보였으나. 다른 계통의 약제에 대해서는 2.2~3.4배로 비교차 저항성을 보였다. Triflumuron 도태개체군은 다른 계통의 약제에 대하여 1.4~4.9배로 낮은 교차저항성을 보였다. Lambda cyhalothrin 도태 개체군은 cartap hydrochlodise에 대해서 9.1의 교차저항성 수준을 보였고, prothiophos에 대해서는 5.2배의 낮은 교차저항성을 보였고, 다른 계총의 약제 대해서는 2.5~2.6배로 비교차 저항성을 보였다. BT제로 도태한 개체군은 BT제에 대해서는 24배로 높은 저항성을 보였지만, 다른 계통의 약제에서는 1.1~2.0배로 비교차 저항성을 보였다.

  • PDF

Genetic Analysis of the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Collected from China Using Mitochondrial COI Gene Sequence

  • Li, Jianhong;Choi, Yong Soo;Kim, Iksoo;Sohn, Hung Dae;Jin, Byung Rae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9권1호
    • /
    • pp.137-144
    • /
    • 2004
  • The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is notorious because of its extensive potential and actual dispersal ability. Previously, the Korean populations of P. xylostella was extensively collected and analyzed for their genetic population structure using a portion of mitochondrial DNA (mtDNA). One of the postulated characteristics on population genetic structure of the species includes the presence of heterogeneous haplotypes, possibly possessed by some dispersed ones from neighboring countries. In this study, we sequenced ten P. xylostella collected from China (∼2,000 km away from the middle part of Korea) to know the genetic relationships of these to the Korean P. xylostella. Sequence analysis of the identical portion of COI gene resulted in five haplotypes with the sequence divergence ranging from 0.5% (two nucleotides) to 1.1 % (five nucleotides) among them and from 0.7% (three) to 2.5% (11) to the pre-existing 52 Korean haplotypes. Phylogenetic analysis showed that the Chinese P. xylostella were neither clearly separated from the Korean haplotypes nor clustered with one heterogeneous Korean haplotype. This result reinforces the significance of gene flow in this species and suggests to exclude the possibility that the heterogeneous Korean haplotypes may have emigrated from China, where our samples were obtained, although further extensive investigation is required.

Insecticide resistance monitoring in Korean local populations of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I)

  • Hee-Ji Kim;Hyun Ko;Young-Nam Youn
    • 농업과학연구
    • /
    • 제50권4호
    • /
    • pp.829-840
    • /
    • 2023
  • Various chemical pesticides are used to control diamondback moths, Plutella xylostella, which are agricultural pests that occur in cruciferous crops worldwide and cause economic losses. However, due to pesticide misuse, resistance to P. xylostella is consistently reported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Therefore, we aimed to monitor and map regional resistance to devise efficient and economical control methods for P. xylostella in Korea. This study selected eight highly used insecticides among those registered against P. xylostella. P. xylostella were collected from three cities in the Gyeonggi and Yeongnam Provinces to evaluate insecticide resistance. As a result of experiments with populations collected from Yeoju, Gyeonggi Province, resistance ratios were 114.88, 54.75, 119.00, and 64.00 times higher than the susceptible population with methoxyfenozide, indoxacarb, cyantraniliprole, and fluxametamide, respectively. The resistance ratios of the Yongin population in Gyeonggi Province were 166.33 times with cyantraniliprole and 195.25 times with fluxametamide higher than the susceptible population. The Pocheon population in Gyeonggi Province showed a resistance ratio 283.23 times higher than methoxyfenozide. As a result of experiments with populations collected from Gimhae and Sangju, Yeongnam Province, the resistance ratios of the Gimhae population were 80.97, 138.00, and 89.50 times higher than the susceptible population with methoxyfenozide, cyantraniliprole, and fluxametamide, respectively. Meanwhile, the resistance ratios of the Sangju population were 85.83, 224.67, and 303.25 times higher than the susceptible population with methoxyfenozide, cyantraniliprole, and fluxametamide, respectively. The Yeongnam Province Tongyeong population showed a resistance ratio 367.28 times higher to methoxyfenoz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