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allyl trisulfide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6초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Volatile Compounds in Heated Garlic (Allium sativum)

  • Woo, Koan-Sik;Yoon, Hyang-Sik;Lee, Youn-Ri;Lee, Jun-Soo;Kim, Dae-Joong;Hong, Jin-Tae;Jeong, Heon-Sa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5호
    • /
    • pp.822-827
    • /
    • 2007
  • The aroma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volatile compounds in heat-treated garlic (Allium sativum L.) were evaluated. The garlic was heated to various temperatures (100, 110, 120, and $130^{\circ}C$) for different lengths of time (1, 2, and 3 hr). The volatile compounds of heated garlic were extracted by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 extraction (SDE). Aroma compound profiles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and antioxidative activity was measured by 2,2-diphenyl-2-picrylhydrazyl (DPPH) assay and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cation decolorization assay. The major aroma compounds were sulfur compounds such as dimethyl disulfide, 2-propen-1-ol, methyl-2-propenyl disulfide, dimethyl trisulfide, diallyl disulfide, methyl-2-propenyl trisulfide, and di-2-propenyl trisulfid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EDA, %) and the ascorbic acid equivalent antioxidant activity (AEAC) of volatile compounds in heated garlic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the increase of temperature and time (p<0.001). The EDA (%) and AEAC of raw garlic were 26.8%/10 mg garlic and 39.05 mg ascorbic acid equivalent per g sample. After heat treatment, the highest values were 40.50%/10 mg garlic for EDA (%) and 46.43 mg ascorbic acid equivalent per g sample for ABTS.

마늘순의 영양적 성분 및 향기 성분 분석 (Analysis of Nutritional and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Garlic Shoot)

  • 김미연;정신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61-68
    • /
    • 1997
  • To enhance the utilization of garlic shoots as food material, the nutritional and volatile flavor com pounds were investigated for garlic shoots, both cold and warm region type garlic shoots. Proximate composition of cold and warm region type was as follows, respectively; crude protein 2%, crude lipid 0.4%, crude ash 1.1% and 1.5%, crude fiber 1.3% and 1.5%. The major fatty acids of 2 varieties of garlic shoots were linoleic, palmitic and linolenic acid, and their desaturation ratio of them was comparatively high, showing 73.7 and 66.8%, respectively. Free sugars were composed of glucose, sucrose, fructose, arabinose and sorbitol. In the total amino acid analysis, the major amino acids were glutamic acid and aspartic acid. The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fresh garlic shoots extracted by hexane and Likens-Nikerson steam distillation apparatus were identified to be methyl-2-propenyl disulfide, diallyl disufide, propenyl propyl disulfide, di-2-propyl-trisulfide, 2-vinyl-1,3-dithiane, and 2-vinyl-4H-1,3-dithiin. Hexane was more effective than steam distillation for extraction of volatile components of garlic shoots.

  • PDF

열처리 방법에 따른 마늘의 성분 분석 (Component Analysis by Different Heat Treatments of Garlic (Allium saivum L.))

  • 김용두;서재신;김경제;김기만;허창기;조인경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61-165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마늘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열처리해 새로운 형태의 식품으로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기 위해 생마늘과 열처리한 마늘의 성분함량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각각의 마늘의 일반성분의 분석결과 수분, 조회분, 조섬유 및 조지방 함량은 비슷하게 나타났으나 조단백질의 함량은 열처리 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생마늘의 총 구성아미노산 함량은 $6091.88\;mg\%$였고 생마늘에서 arginine이 $998.88\;mg\%$로 가장 높았고 열처리함에 있어서는 총 구성아미노산 차이는 거의 없었다. 생마늘과 열처리한 마늘의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생마늘이 $3122.76\;mg\%$였으며 열처리한 마늘의 총 유리 아미노산은 비슷하게 나타났다. 생마늘과 열처리한 마늘에 함유된 무기성분 함량 분석 결과는 6가지 무기성분 중 K의 함량이 가장 많았다. 열처리 함에 있어 마늘의 향기성분 전체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삶은마늘은 생마늘에 비하여 diallyl disulfide은 $18.29\%$, diallyl sulfide은 $0.65\%$, allyl methyl sulfide $0.54\%$, methyl allyl ether $4.85\%$, trisulfide methyl 2-propenyl $1.2\%$ 및 2-vinyl-1,3-dithiane $1.72\%$ 정도의 함량을 나타났으며, 구운마늘은 각각 $26.22\%,\;0.50\%,\;0.87\%,\;2.89\%,\;1.52\%$$1.97\%$의 함량을 나타냈고, 전자레인지로 가열한 마늘은 각각 $25.03\%,\;1.32\%,\;0.73\%,\;3.26\%,\;2.55\%$$2.38\%$정도의 함량을 보여 생마늘과 비교 하였을때 열처리한 마늘의 모든 향기성분 함량이 줄어들었고 열처리한 마늘의 주 향기성분은 diallyl disulfide 로 나타났다.

분말녹차 첨가 김치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Added with Green Tea Powder)

  • 고영태;이수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4호
    • /
    • pp.281-286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김치에 분말상태의 녹차를 첨가하고, 김치에 첨가된 녹차가 젖산균의 산생성과 생육, 관능적특성 및 몇 가지 휘발성냄새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는 것이다. 김치 제조원료에 분말녹차를 0.2, 0.4, 0.6, 1.2%(w/w)의 농도로 첨가하였다. pH는 녹차의 첨가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비숙성시료와 숙성1일에는 약간 증가하였으나, 숙성2일과 숙성3일에는 보다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산도는 녹차의 첨가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비숙성시료와 숙성1일에는 대체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숙성2일과 숙성3일에는 대체적으로 감소하였다. 한편 녹차의 첨가로 젖산균수는 대체적으로 큰 변화가 없었다. 전반적인 기호도, 맛, 냄새는 녹차 0.2% 또는 0.4% 첨가시료가 다른 시료보다 관능성이 우수하였고, 조직감은 숙성2일 또는 숙성3일시료의 경우 녹차의 첨가농도가 높을 때 관능성이 저하되었다. 색상은 녹차의 첨가농도가 증가할수록 관능성이 저하되었다. 비숙성시료에 비하여 숙성시료에서 diallyl sulfide와 methyl trisulfide가 새로이 생성되었으며, 일부의 냄새성분 함량은 숙성과정 중에 증가하거나 변화를 보였다.

과열 증기 처리에 따른 양파의 향기 성분 및 품질특성 (Effects of superheated steam treatment on volatile compound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onion)

  • 이미현;이교연;김아나;허호진;김현진;천지연;최성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69-377
    • /
    • 2016
  • 본 연구는 과열증기처리 기술을 양파에 적용하여 불쾌취를 저감화하고, 이를 통해 고품질 양파 가공품 개발 및 소재화에 활용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과열증기처리에 따른 양파의 휘발성 물질, 불쾌취 유발 물질과 항산화활성, 조직감, 관능적 특성 등 품질특성을 분석하였다. 과열증기처리에 의해 휘발성 향기성분 및 불쾌취와 매운맛의 지표 물질이 저감화됨을 확인하였다. 항산화활성 및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hardness, chewiness 등은 확연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파 추출액의 총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처리에 의해 전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처리에 따라 기호도 점수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과열증기 처리가 양파의 불쾌취저감화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과열증기 기술을 적용한 양파의 불쾌취 저감화 및 이를 통한 다양한 고품질 가공품 개발 및 소재화를 위한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판단되며, 과열증기오븐 처리를 통해 불쾌취를 조절함과 동시에 생리활성능을 지니는 향기 성분 및 유용성분의 감소는 최소화하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무 첨가김치의 품질특성과 동결건조에 의한 품질변화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Prepared with Chinese Radish and Its Quality Change by Freeze-Drying)

  • 고영태;이주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937-942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무의 첨가농도가 각각 다른 김치를 제조하여 김치의 품질특성 즉, 젖산균의 생육과 산생성, 관능성 및 휘발성 냄새성분을 조사하고, 아울러 동결건조가 무첨가김치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무의 첨가가 젖산균의 산생성과 생육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숙성시료의 pH는 표준시료(무를 첨가하지 않은 시료)의 경우는 4.31이었으나 무의 첨가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pH가 다소 저하하여 20% 첨가시료의 경우는 4.21이었다. 산도는 이와 반대로 0.673%에서 0.743%로 증가하였으며, 젖산균수는 무의 첨가로 변화가 없었다. 한편, 동결건조후 복원된 시료의 pH는 표준시료가 4.59인데 비하여 20%첨가시료는 4.50으로 다소 저하하였고, 산도는 0.287%에서 0.376%로 증가하였으며, 젖산균수는 시료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관능검사의 결과를 보면 무 10% 또는 20%의 첨가로 숙성시료 또는 복원시료의 전반적인 기호도와 맛이 대체적으로 향상되었다. 휘발성 냄새성분의 분석결과를 보면, 숙성되지 않은 시료(0일 시료)의 경우는 ethanol과 5개의 함유황성분이 확인되었으며, 무의 첨가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함유황성분 2개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20^{\circ}C$에서 3일간 숙성된 시료에서는 ethanol과 7개의 함유황성분이 확인되었으며, 무의 첨가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함유황성분 5개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미숙성시료와 비교하면 diallyl sulfide와 methyl trisulfide가 새로이 생성되었다. 동결건조에 의하여 김치 또는 무 첨가김치의 모든 휘발성 냄새성분이 현저하게 감소하였고, 동결건조된 제품에는 ethanol과 4개의 함유황성분이 검출되었다.

감초정제물 첨가 김치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with Added Purified Licorice(Glycyrrhiza uralensis) Extract)

  • 이수현;고영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2권5호통권95호
    • /
    • pp.609-616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김치의 맛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감미료로 첨가되는 설탕 대신에 감초정제물을 첨가하여 김치의 품질특성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이다. 김치제조원료에 설탕 또는 감초정제물을 첨가하여 젖산균의 생육과 산생성, 관능적 특성 및 휘발성냄새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pH는 숙성 2일과 3일의 경우 감초정제물의 첨가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다소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산도는 0일과 1일의 경우는 감초정제물의 첨가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p<0.05), 2일과 3일의 경우는 감초정제물의 첨가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감초정제물의 첨가로 젖산균수는 변화가 없었다. 비숙성시료와 1일숙성시료의 전반적인 기호도와 맛은 감초정제물의 첨가농도가 0.01% 이상인 경우 유의적으로 저하하였다(p<0.05). 2${\sim}$3일 숙성시료의 전반적인 기호도와 맛은 감초정제물 0.005% 또는 0.01% 첨가시료가 다른 시료보다 유의적으로 우수하였다(p<0.05). 비숙성시료에 비하여 숙성시료에서 diallyl sulfide와 methyl trisulfide가 새로이 생성되었으며, 일부의 냄새성분 함량은 숙성과정에서 증가하거나 변화를 보였다.

국내 산지별 마늘의 향기성분 및 항균활성 (Aroma Compounds and Antimicrobial Effect of Garlic from Different Areas in Korea)

  • 신정혜;김라정;이수정;강민정;서종권;성낙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99-207
    • /
    • 2011
  • 마늘의 산지별 품질특성 비교에 대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국내의 한지형 및 난지형 마늘 주산지로부터 수집된 마늘 및 중국산 마늘의 물리적 특성, 향기성분과 항균활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마늘 구의 폭은 난지형 마늘이 50mm 이상으로 한지형 마늘에 비하여 넓었으며 평균 인편수도 난지형 마늘에서 6.38~9.31개로 더 많았다. 마늘의 표면색 중 L값은 80.73~87.40의 범위였으며, a값은 시료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b값은 남해산과 무안산에서 가장 낮아 각각 $20.97{\pm}1.20$$20.91{\pm}1.62$였으며, 제주산이 $26.38{\pm}2.08$로 가장 높았다. 마늘의 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총 25~30개의 피크를 얻었으며, 이 중 GC-MS로 17종의 화합물을 동정할 수 있었고, 동정된 화합물 중 황화합물이 15종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마늘의 향기성분을 총 피크면적비로 계산한 결과 diallyl disulfide는 검출된 총 화합물 중 34.90~60.54%로써 타성분에 비해 월등히 높은 함량이었는데 중국산에서 가장 높게 검출되었으며 무안산에서 그 함량이 가장 낮았다. 다음으로 diallyl trisulfide가 17.55~38.72%였다. Strep. mutans, B. subtilis, E. coti, V. parahaemolyticus, Asp. flavus, C. albicans에 대해 항균활성을 실험한 결과 모든 마늘 시료에서 E. coli와 C. albicans에 대해 비교적 활성이 높았으며, 전체적으로 활성이 높았던 태안, 제주 및 남해마늘을 농도별로 가하여 항균활성을 실험한 결과 시료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항균활성도 증가하였으며, 남해산 마늘에서 가장 항균활성이 높았다.

Evaluation of Deodorization Capabilities, Morphologies, and Thermal Stabilities of Baking Soda, Charcoal, Coffee, and Green Tea for Kimchi Packaging Application

  • Jeong, Suyeon;Yoo, Seung Ran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9
    • /
    • 2020
  • We evaluated the applicability of baking soda, charco'al, coffee, and green tea as a natural deodorant in Kimchi packaging. Moreover, to evaluate the potential usage of these deodorants in packaging materials and confirm their applicability in high-temperature melt-extrusion processing, the thermal stabilities of the deodorants were investigated, and heat-treated deodorants were evaluated in terms of the deodorizing function compared with non-treated deodorants. Aroma patterns were decreased after deodorizing treatment with all-natural deodorants. Dimethyl disulfide, methyl trisulfide, and diallyl disulfide, the most significant odorous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of Kimchi, decreased after treatment with the deodorants. In particular, baking soda and charcoal showed the highest efficiency in removing odorous compounds and VOCs from Kimchi, even after high-temperature processing. The acetic acid removal rates for both baking soda and charcoal were 99.9±0.0%. The heating process increases the deodorizing effects of baking soda. Sensory evaluation results show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increase (p < 0.05) in the overall preference for Kimchi samples packaged with charcoal and baking soda. This study provides useful information for the deodorization effects of natural deodorants for Kimchi smell and their applicability for packaging materials.

청국장과 김치에서의 이취 발생과 저감화 (The Reduction of "Off-flavor" in Cheonggukjang and Kimchi)

  • 홍은정;김영준;노봉수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24-333
    • /
    • 2010
  • Off-flavor in foods and in raw materials is quite concerning, as it could signify deeper-rooted problems. Methods of reduction of "off-flavors" in traditional food such as Cheonggukjan and Kimchi, and in raw materials of soybean paste were studied by means of a literature review. It was found that the major components of "off-flavor" were due to butyric acid, valeric acid, alkylpyrazines, ammonia, and sulfides for Cheonggukjang, and for Kimchi were sulfur containing components such as methyl allylsulfide, dimethyl disulfide, diallyl disulfide, methyl allyl trisulfide, methyl 2-propenyldisulfide, dipropenyldisulfide. There is a demand for a scientific and systematic approach in overcoming the "off-flavor" problem. Nutritional aspects and safety should be considered. Several methods have been attempted, such as masking, binding, improving cooking process, inhibiting rancidity, and controlling the growth of micro-organism. Methods of masking were the most frequently ones used for the reduction of "off-flavor", and in some cases, othertechniques were additionally applied. The masking method would be useful in the reduction of "off-flavor" in traditional Korean foods, i.e. Cheonggukjang, Kimchi, as well as in new product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