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allyl sulfide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2초

마늘 정유물의 향기성분 및 저장 안정성 (Flavor Compounds and Storage Stability of Essential Oil from Garlic Distillation)

  • 조길석;김현구;하재호;박무현;신효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840-845
    • /
    • 1990
  • 마늘에서 정유물을 증류하고 그 정유물의 휘발성 성분분석 및 저장안정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정유물을 포집하는데 사용한 pentane과 dichloromethane의 비는 2 : 1이었고, 정유물의 수율은 0.8 mm의 크기로 마쇄처리한 시료의 경우가 0.35%였고, 통마늘의 경우는 0.07%였다. 마늘 정유물에서 dimethyl sulfide, diallyl sulfide, methyl-1-propenyl disulfide, diallyl disulfide, allyl methyl sulfide, diallyl trisulfide 등의 6종류의 휘발성 물질이 동정되었고, diallyl trisulfide, diallyl disulfide, allyl methyl sulfide가 주요한 휘발성 성분이었다. 마늘 정유물을 $5^{\circ}C$$25^{\circ}C$에서 60일 동안 저장 중 품질 변화는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 PDF

동결건조에 의한 김치의 휘발성냄새성분의 변화 (Changes of Volatile Odor Components in Kimchi by Freeze-drying)

  • 고영태;강정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559-564
    • /
    • 2002
  • 김치를 각각 다른 온도에서 일주일간 숙성시킨 후, 먼저 젖산균수와 관능성을 관찰하고 동결건조시킨 후, 동결건조에 의한 김치의 주요한 휘발성냄새성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김치의 숙성온도를 증가시킴에 따라 시료의 pH는 저하하였고 $25^{\circ}C$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젖산균수는 증가하였으며, 관능적 특성은 $0^{\circ}C$의 경우는 표준시료와 차이가 없었으나, $5^{\circ}C$, $15^{\circ}C$, $25^{\circ}C$의 관능적 특성은 숙성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 저하하였다. 본 실험에서 검출된 김치의 휘발성냄새성분은 allyl mercaptan, methyl allyl sulfide, dimethyl disulfide, diallyl sulfide, diallyl disulfide와 같은 황함유성분 5종과 ethanol이며, 이 중에서 allyl mercaptan, methyl allyl sulfide, diallyl sulfide, ethanol은 시료에 따라 차이는 있었으나 김치의 숙성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생성량이 증가하였고, dimethyl disulfide와 diallyl disulfide는 숙성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한편 24시간 동결건조의 경우는 이상의 모든 휘발성 냄새성분이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48시간 동결건조에 의하여 시료에 따라서는 24시간과 거의 같거나 24시간보다 더 감소하였다.

건조마늘과 기름에 볶은 마늘의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Freeze Dried Garlic and Garlic Roasted with Oils)

  • 서혜민;주광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332-341
    • /
    • 2007
  • 마쇄한 생마늘과 생마늘을 동결건조한 분말의 함황화합물과 휘발성 향기성분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마늘을 동결 건조시켜 분말로 제조하고, 마늘과 동결건조 마늘을 콩기름과 참기름에 $180^{\circ}C$에서 각각 5분간 볶은 6개의 시료를 제조하여 향기성분을 추출하였다. 마늘의 독특한 향기를 나타내는 sulfur compounds로서 methyl allyl sulfide, diallyl sulfide, methyl allyl disulfide, diallyl disulfide, methyl allyl trisulfide, diallyl trisulfide 등이 확인되었으며 diallyl disulfide와 diallyl trisulfide의 함량이 풍부하였다. 이 sulfur compounds 성분들은 마늘의 총 향기성분의 98%를 차지하여 마늘의 주요 구성분임을 다시 한 번 확인하였다. 건조마늘에서 확인된 향기성분은 마늘에서 검출되지 않았던 aldehyde, alcohol, furans, esters가 생성되어 개별 향기성분의 수는 마늘의 것보다 더 많았으나 sulfur compounds와 향기성분의 총 함량이 마늘의 것보다 감소하였다. 콩기름에 볶은 건조마늘의 sulfur compounds 함량은 크게 감소하여 건조마늘의 sulfur compounds 함량의 20%에 불과하여 그 함량이 크게 감소하였다. 마늘을 콩기름과 참기름으로 가열하였을 때 allicin의 분해 생성물인 많은 양의 3,4-dihydro-3-vinyl-1,2-dithiin과 2-vinyl-4H-1,3-dithiin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건조마늘을 콩기름과 참기름에 가열하였을 때 마늘의 아미노산과 당류의 반응에 의하여 생성된 2-methyl pyrazine, 2,6-dimethyl pyrazine, 2-ethyl-5-methyl pyrazine 등 17개의 pyrazine이 관찰되었다. 건조마늘을 참기름에 볶은 시료에서 확인된 개별 향기성분의 수는 모든 마늘시료 중에서 가장 많았고 향기성분의 총 함량도 마늘의 것과 거의 동일하여 차이가 없었으나 sulfur compounds의 함량은 마늘의 27%에 해당되었다. 건조마늘을 콩기름과 참기름으로 가열함으로써 그 함량이 마늘 자체의 것보다 오히려 증가한 것은 diallyl sulfide, methyl allyl disulfide, dimethyl trisulfide이었다. 마늘에서 그 함량이 가장 많았고 마늘의 독특한 향기성분을 내는 diallyl disulfide는 건조하여 참기름으로 가열함으로써 파괴되어 완전히 소멸되었다.

Diallyl Sulfide와 Diallyl Disulfide에 의한 랫드의 간암발생 억제효과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Inhibitory Effects of Diallyl Sulfide and/or Diallyl Disulfide in the Rat Hepntocarcinogenesis)

  • 김배환;이영순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3권4호
    • /
    • pp.279-287
    • /
    • 1995
  • This study examined the anti-cancer effects of diallyl sulfide(DAS) and/or diallyl disulfide(DDS), major components of garlic oil, with the DEN-PH model in rats, by the numbers and areas per cm$^2$ of induced glutathion S-transferase placental form(GST-P) positive foci and silver-stained nucleolar organizer regions(Ag-NORs) counts per nuclei in liver as indicator. Sprague-Dawley(SD) rats were given the diethylnitrosamine(DEN, 200 mg/kg, i.p.) as initiator and 2 weeks later, in experiment 1, rats were treated with DAS(200 mg/kg, i.g.) and/or DDS(50 mg/kg, i.g.) for 6 weeks, respectively and concomitantly and also were given the same dose of DAS and/or DDS prior to DEN treatment for 2 weeks, and in experiment II, rats were treated with potential cancer promoter, 2-acetylaminofluorene (2-AAF, 20 mg/kg, i.g.). The DAS and/or DDS were treated prior to 2-AAF for 8 weeks, respectively and concomitantly. Then the anti-promoting effects of DAS and/or DDS were assessed. All rats were subjected to the two-thirds partial hepatectomy(PH) at week 3 and sacrificed at week 8. In experiment I, DAS and/or DDS treatment only prior to DEN showed inhibition of the development of GST-P positive foci. In experiment II, DAS and/or DDS treatment prior to 2-AAF promotion showed obvious inhibition of the development of GST-P positive foci in numbers and areas and AgNORs counts. In conclusion, We found DAS and/or DDS had the preventive effects on the hepatocarcinogenesis in rats and the concomitant treatment had some additive effects compared with the each treatment and AgNORs counts correlated well with the preneoplastic hepatic lesion.

  • PDF

가열에 의한 김치의 pH, 관능성 및 휘발성냄새성분의 변화 (Changes in pH, Sensory Properties and Volatile Odor Components of Kimchi by Heating)

  • 고영태;백인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1123-1126
    • /
    • 2002
  • 김치를 $25^{\circ}C$에서 4일간 숙성시킨 후, pH와 관능성을 관찰하고 몇가지 주요한 휘발성냄새성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pH는 가열에 의하여 거의 변화가 없었다. 전반적인 기호도는 가열된 시료, 특히 40분 가열시료의 기호도수치가 높았으며 3시료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산미, 맛, 냄새, 조직감의 경우도 전반적인 기호도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나, 형태의 경우는 3시료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휘발성 냄새성분의 결과를 보면 reference(비가열시료)는 allyl mercaptan, methyl allyl sulfide, dimethyl disulfide, diallyl sulfide, diallyl disulfide와 같은 5종의 황함유성분과 ethanol이 검출되었는데, $100^{\circ}C/10$분시료는 ethanol과 methyl allyl sulfide만 검출되고 그 함량도 reference에 비하여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100^{\circ}C/40$분 시료는 $100^{\circ}C/10$분 시료와 비교하여 ethanol의 함량은 현저히 감소하고 methyl allyl sulfide의 함량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마늘의 alcohol 침지 중 휘발성 향기성분과 침출유리아미노산 함량 (Elution Profiles of Volatile Compounds and Free Amino Acids during Alcohol Soaking of Garlic(Allum sativum L.))

  • 이영근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2호통권82호
    • /
    • pp.286-292
    • /
    • 2007
  • 마늘주의 산업화에 앞서 기초 자료로써 활용하고자, 마늘을 소주 등의 술에 침지하였을 때 마늘의 휘발성 기능성분과 유리아미노산이 술로 침출되는 정도 및 형태에 관하여 조사하고자, 생마늘을 20% 주정에 5주간 침지하고 매주 휘발성 향기성분과 유리아미노산들이 침출되는 양적 및 형태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마늘의 주요 유리 아미노산은 L-aspartic acid, L-glutamic acid, L-arginine, L-alanine, L- proline, L-asparagine 및 L-serine이었으며, 유리 아미노산들 모두 침지 기간의경과에 따라 침출량이 증가하였다. 또한, L-threonine, L-proline, L-valine 및 L-leucine 등의 중성아미노산들과 방향족아미노산인 tyrosine과 phenylalanine은 3주 후부터 80% 이상 침출된 반면에, 산성, 염기성 및 함황아미노산들은 5주 후에도 80% 미만이었다. 생마늘의 휘발성 향기성분은 diallyl trisulfide, diallyl disulfide, methyl allyl disulfide, 2-vinyl-4H-1,3-dithiin, 3-vinyl-3,4-dihydro-1,2-dithiin, 3,5-diethyl-1,24-trithiolane, isobutyl isothiocyanate 및 diallyl sulfide 등의 황화합물들이 주요 성분들이었다. 생마늘로부터 주정으로 침출된 휘발성 향기성분은 allyl alcohol, diallyl disulfide, 3,5-diethyl-1,2,4-trithiolane, diallyl trisulfide, 3,4-dimethoxyfuran의 5종이었으며, 침지기간의 경과에 따라 3,5-diethyl-1,2,4-trithiolane는 계속 침출량이 증가하였지만 그 외 4종은 감소하였다. 침 지기간 중 furfural, 5-methylfurfural, 5-hydroxymethylfurfural, dimethyl pyrazine, furfuryl alcohol, 3-hydroxy-2-bytanone과 2,3-dihydro-3,5-dihydroxy-6-methyl-4H-pyran-4-one이 새로이 생성되었으며, 침지기간의 경과에 따라 침출주에 대부분 축적되는 양상을 보였다.

산화스트레스가 유도된 인체 간암세포 (HepG2)에서 Sulforaphane과 Diallyl Sulfide, Capsaicin, Gingerol의 항산화효과 비교연구 (Comparison of the Antioxidant Effects of Diallyl Sulfide, Capsaicin, Gingerol and Sulforaphane in $H_2O_2$-Stressed HepG2 Cells)

  • 이소연;위해리;이명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4권6호
    • /
    • pp.488-497
    • /
    • 2011
  • Oxygen is necessary to sustain life, yet cellular oxygen metabolism creates destructive elements called free radicals. Free radicals are chemically unbalanced and carrying free electrons that can damage molecules, potentially damaging the cell itself. For this reason, many antioxidant products, including supplements and functional foods, are being developed. In particular, natural products are rich sources of pharmacologically active compound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effects of target biomaterials in Korean traditional spices such as diallyl sulfide (DAS), capsaicin (CAP), and gingerol (GGR), and to investigate the response of the antioxidant defense system to oxidative stress by hydrogen peroxide ($H_2O_2$) compared to sulforaphane (SFN) in HepG2 cells. After the analysis of the cell viability using Cell Counting kit-8 (CCK-8) assay, we determined that the optimum levels were $200{\mu}M$ DAS, $25{\mu}M$ CAP, $50{\mu}M$ GGR, and $12.5{\mu}M$ SFN. Antioxidant enzymes were measured and protein expression was detected by Western blotting. All treatments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antioxidant enzyme activity such as superoxide dismutase, catalse, and glutathione peroxidase in HepG2 cells. Additionally, DAS, CAP, GGR and SFN increased the antioxidant system-related transcription factor Nrf2 which was found to be regulated by the activation of MAPK-JNK in this study. In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e protective effects of DAS CAP, GGR, and SFN against $H_2O_2$-induced oxidative stress.

생마늘과 동결건조마늘의 휘발성 유기성분 비교 (Comparison of Volatile Organic Components in Fresh and Freeze Dried Garlic)

  • 김연순;서혜영;노기미;심성례;양수형;박은령;김경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885-891
    • /
    • 2005
  • SDE추출방법 과 GC/MS로 분석에 의하여 생마늘과 동결 건조마늘의 휘발성 유기성분을 비교하였다. 생마늘과 동결 건조마늘에서 각각 42종, 32종의 화합물이 확인되었으며 , 대부분이 황화합물이었고 alcohol류, aldehyde류, ester류도 확인되었다. Diallyl disulfide, diallyl trisulfide, allyl methyl disulfide, allyl methyl trisulfide는 생마늘과 동결건조마늘 에서 확인된 주요 황화합물이었다. 3-Methyl pyridine, 2-methyl-4-pentenal, 2,3,3-trimethyl-1,4=pentadiene, methional등 생마늘에서 확인된 화합물은 동결건조마늘에서 소실되었고 propanethiol, 2-ethyl-3-butenal, acetic acid 등은 동결건조마늘에서 확인되었으며, 전체적인 휘발성 유기성분의 총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수준이었다. 동결건조에 의 하여 마늘의 주요 휘발성 유기성분 중 diallyl disulfide, diallyl trisulfide, allyl methyl disulfide, allyl methyl trisulfide, diallyl sulfide,3-vinyl-4H-1,2-dithiin 등 대부분의 황화합물 함량이 감소하였으며 methyl propyl trisulfide, 3- allylthiopropionic acid, cyclopentyl ethyl sulfide 등은 증가하였다. 그 외 ethyl acetate, ethanol,2-propenol, 2-propenal, hexanal 등의 휘발성 유기성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처리 조건을 달리한 마늘 장아찌의 향기 성분의 변화 (Change of Flavor Compounds of Pickled Garlic with Different Pickling Treatments)

  • 정현아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99-307
    • /
    • 2006
  • Raw whole garlic was pickled in two different ways, in soy sauce and in brine, to test the change of flavor compounds with aging period. The changes of pH, acidity, hardness and flavors were measured, accompanied with sensory evaluation. The pH of whole garlic in soy sauce and in brine was decreased as the aging period increased. The acidity was increased as pH decreased. Hardness tended to decrease as the aging time increased. For whole garlic in soy sauce and in brine, trans propenyl methyl disulfide, allyl methyl trisulfide, diallyl trisulfide, dimethyl trisulfide, allyl- 2,3-epoxypropyl sulfide, and 2-methyl-l,3-dithiane were increased as the aging proceeded but allyl methyl disulfide and diallyl disulfide tended to decrease. Hardness through the sensory evaluation decreased as the aging time increased. When the overall quality was compared between whole garlic in soy sauce and in brine after 60 days, the latter could be better estimated. Pickled garlic increased the flavor compounds such as trans propenyl methyl disulfide, allyl methyl trisulfide, diallyl trisulfide, dimethyl trisulfide, allyl-2,3-epoxypropyl sulfide, and 2-methyl-l,3-dithiane as the aging proceeded. Therefore, the above flavor compounds are considered as the major ingredients of the characterized flavor of pickled garlic.

  • PDF

Cytochrome P450 발현 및 기능 조절제의 탐색 및 응용에 관한 연구

  • Kim, Nam-Hee;Jeon, Tae-Won;Hyun, Sun-Hee;Kim, Chun-Hwa;Lee, Sang-Kyu;Lee, Dong-Wook;Jeong, Tae-Cheon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1
    • /
    • pp.188.2-189
    • /
    • 2003
  • To develop cytochrome P450 (P450) modulators with low toxicity from natural products, we have evaluated more than 20 compounds in mouse and rat models. Among those, the effects of 1,8-cineole and diallyl sulfide (DAS) were most profound in modulating P450 expression. In this presentation, the effects of 1,8-cineole and diallyl sulfide (DAS) on P450 expression were introduced. (omit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