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velopmental disabilities

검색결과 249건 처리시간 0.021초

대학 학과 간 장애인평생교육 융합전공 탐색 비교과프로그램이 지적 및 발달장애 고등학생의 식당취업기술에 미치는 효과 (A Case Study on the Effect of the Extracurricular Program of Convergence Major in Lifelong Educa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Universities on Restaurant Employment Skills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 김영준;권량희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136-144
    • /
    • 2021
  • 본 연구는 대학의 학과 간 장애인평생교육 융합전공 탐색에 대한 비교과프로그램이 지적 및 발달장애 고등학생들의 식당취업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어 실시되었다. 연구 방법은 세 명의 지적 및 발달장애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사례연구의 절차로 구성되었으며, 구체적으로 단일대상연구 기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참여자인 지적 및 발달장애 고등학생들은 대학에서 사회복지학과 및 식품영양학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된 장애인평생교육 융합전공 탐색 비교과프로그램을 통해 식당취업기술을 효과적으로 습득 및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대학의 장애인평생교육 융합전공 탐색을 위한 비교과프로그램은 지적 및 발달장애학생들의 식당취업기술을 비롯한 성인생활적응에 효과적인 콘텐츠라는 측면이 분석되었다.

취업한 발달장애인의 장애수용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도와 대인관계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Acceptance of Disability on Life Satisfaction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Employed: The Mediating Effects of Job 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 김영운;선우정옥
    • 산업융합연구
    • /
    • 제19권4호
    • /
    • pp.75-84
    • /
    • 2021
  • 본 연구는 취업한 발달장애인의 장애수용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만족도와 대인관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장애인고용패널 2차 웨이브 중 의사소통 가능 정도의 측정이 가장 높은 2019년도 4차 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취업한 발달장애인의 장애수용 정도는 생활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됐다. 둘째, 취업한 발달장애인의 장애수용 정도는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만족도는 매개한다. 셋째, 취업한 발달장애인의 장애수용 정도는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인관계는 매개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함의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부모의 양육효능감이 발달장애인 자녀의 자립에 미치는 영향 : 가족역량강화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Parental Efficiency on Self-reliance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Mediating effect of Capacity Enhancement)

  • 임희선;박종두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4호
    • /
    • pp.85-93
    • /
    • 2022
  •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효능감이 발달장애인 자녀의 자립생활에 미치는 영향으로 가족역량강화의 매개역할을 검증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발달장애인 부모 14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한 자료분석을 실시하였다. 매개효과는 바론과 케니의 위계적 회귀분석과 sobel-test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부모의 양육효능감이 발달장애인 자녀의 자립수준과 가족역량강화에 정(+)적인 영향을 검증하였다. 또한 부모의 양육효능감과 발달장애인 자녀의 자립수준 사이에서 가족역량강화의 정(+)적인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발달장애인 자녀의 자립지원을 위한 부모의 양육강화지원과 가족역량강화를 위한 제도와 실천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발달장애인을 위한 연극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메타분석연구 (A Meta- Analysis on the Effectiveness Research of Drama Program for th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Korea)

  • 신동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7호
    • /
    • pp.361-369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시행되고 있는 발달장애인을 위한 연극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통합적으로 검토하기 위하여, 발달장애인을 위해 시행된 연극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들을 메타 분석하였다. 2022년 1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발달장애인을 위한 연극프로그램들을 검색하였고, 최종 13편의 논문을 선정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메타분석을 위해서는 통계프로그램인 CMA(Comprehensive Meta-Analysis) software 2.0을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인을 위한 연극프로그램의 평균효과크기는 사회성의 평균효과크기가 0.8335로 큰 효과크기를 나타냈고, 자기표현은 0.6512로 중간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 둘째, 발달장애인의 사회성 향상을 위한 연극프로그램의 효과성이 조절변수에 따라 차이가 나는지 검토해 본 결과, '참여자의 연령(발달장애아동>발달장애청소년>발달장애성인)', '총회기수(20~29회>10회~19회>30회 이상)', '연극프로그램유형(연극놀이>교육연극>연극치료)', '진행자 전공(연극놀이>교육연극>연극치료)'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국내에서 발달장애인을 위한 연극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실행방안을 제안하였다.

발달장애인의 자기옹호에 관련 메타분석 2000년부터 2023년까지 - (Meta-Analysis of Self-Advocacy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Focusing on Research from 2000 to 2023)

  • 진수미;김화수;이지우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201-210
    • /
    • 2023
  • 본 연구는 국내 학술 등재지 및 학위논문에 게재된 발달장애인의 자기옹호 연구의 일반적 특성 및 효과 크기, 질적 지표를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00년부터 2023년까지 발표된 자기옹호 관련 논문 총 2153 편 중 발달장애인을 키워드로 한 연구 41편을 선정하여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발달장애인의 자기옹호 관련 언어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에는 청소년 및 성인, 또는 전환기 시기에 20-30명이 있는 학습상황에서 10-19회기수를 기준으로 중재프로그램이 개발되기를 권고하며, 특수교육, 통합교육 등 교육적 차원에서만 국한된 연구가 많은데 이를 적용하여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고 자기주장, 자기권리를 효과적이고 세련되게 주장할 수 있는 언어재활 차원에서의 자기옹호 언어 중재 프로그램이 개발되기를 기대한다.

Worldwide national intervention of developmental screening programs in infant and early childhood

  • Kim, Seunghyo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5권1호
    • /
    • pp.10-20
    • /
    • 2022
  • The prevalence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is increasing worldwide over time. Developmental issues in infancy or early childhood may cause learning difficulties or behavioral problem in school age, further adversely affecting adolescent quality of life, which finally lead to low socioeconomic status in family, increase in medical expenses, and other relevant issues in various ways. Early childhood has brain plasticity, which means there is a high chance of recovering from developmental issues by early detection and timely intervention. Pediatricians are placed an ideal position to meet with young children till 6 years of age, of which age range is the time applicable to early intervention. Determining child's developmental status can be made by 2 pathways such as developmental surveillance and developmental screening tests. For better results, pediatricians should update their knowledge about developmental issues, risk factors, and screening techniques through varying educational program or other relevant educating materials. This paper will update reports on the prevalence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review the recent results of the Korean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and discuss relevant issues. Finally, it will be addressed the pediatrician's role in early detecting developmental issues and timely intervention.

발달장애인 커뮤니티 케어 실현방안 연구: 일본의 지역사회 실천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alization of community care for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Focusing on Japanese community practice)

  • 신경안;이은아;김도훈
    • 산업융합연구
    • /
    • 제18권5호
    • /
    • pp.88-96
    • /
    • 2020
  • 우리나라 발달장애인의 시설입소율은 다른 장애유형에 매우 높은 편이다. 따라서 발달장애인의 지역사회 삶을 지원하는 '커뮤니티 케어'는 다른 장애유형에 비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장애가족이 돌봄의 주체가 되어 부양부담을 호소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일본의 발달장애인의 지역사회 자립지원에 대한 기관방문과 인터뷰를 통해 실천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일본 발달장애인의 지역사회로의 전환은 그룹홈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민간은 그룹홈에서 중증장애인까지도 지역사회 생활이 가능하도록 지원하고 있으며, 삿포르시청은 고령부모의 발달장애인 돌봄문제 해결을 위한 민간연계를 진행하고 있었다. 이에 우리나라의 정책적 제언으로 그룹홈 확대와 장애인 거주시설의 기능전환, 고령부모의 장애인 돌봄 문제 대처, 청장년 독거인의 실태조사로 예방적 서비스의 제공을 제언한다. 실천적 제언으로는 자립을 위한 일상생활 능력향상을 위한 그림 등의 교육교재 개발과 보급, 자립생활을 위한 직업훈련에서 충분한 인력과 시설 확충, 성인 발달장애인과 보호자를 위한 쉼터 운영이 필요할 것이다.

What Else Is Needed in the Korean Government's Master Plan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Lee, Jin Yong;Yun, Jieun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2권3호
    • /
    • pp.200-204
    • /
    • 2019
  • On September 12, 2018, President Jae-In Moon announced the Comprehensive Plan for Lifelong Care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ith representatives from the associated government branches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inistry of Education, and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in attendance. The goals of this plan are to provide health, medical, rehabilitative, special education, and social welfare services according to the life-stages of the affected individuals; to reduce parental pressure; to promote social interventions; and to enhance community-level participation in order to create a 'welfare society in harmony.' However, in order for the plan to succeed, additional efforts must be made in the following areas. First, an epidemiological survey is needed to understand the scale, prevalence, and incidence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o establish an evidence base to support policy development. Second, accurate definitions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must be established in order to avoid policy discrimination based on impairment type and age. Third, personal evaluations to assess disabled individuals' unmet needs and customized service designs to deliver those needs are required. Fourth, the plan must fulfill the goals of accessibility and fairness that the government intends to provide. Fifth, the government should consider an integrated financial support system and to propose a detailed plan for monetary distributions. Finally, an integrated system that links health, medical, employment, educational, and welfare services must be constructed.

EXPLORING THE STRUCTURALIZATION OF THE APPLICATION TYPE OF "LIFELONG EDUCATION : (VERSUS) HIGHER EDUCATION" CUSTOMIZED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CUSING ON HUB UNIVERSITY'S VISION OF INFRASTRUCTURE

  • Kim, Young-Jun;Han, Seung-A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0권2호
    • /
    • pp.135-139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pplication structure of customized "lifelong education: (versus) higher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wo types.As for the research method, expert consultation was composed secondary with literature analysis as the primary procedure.The contents of the study were presented by classifying the application structure of customized lifelong education versus higher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to two types. Accordingly, the first research content is a school type-centered structure, which can be understood as a type that focuses on higher education while linking aspects of lifelong education. And the second research content is a structure centered on the type of independent life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ich can be understood as a type that focuses on lifelong education while linking with the aspects of higher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aspect that the research contents considered above can be gradually realized through the currently established infrastructure at Daegu University in the current situation in Korea has been improved.

딥러닝 기반의 주의환기 보상전략 시스템이 발달장애인의 데이터 라벨링 작업 생산성에 미치는 효과분석 (Effect Analysis of a Deep Learning-Based Attention Redirection Compensation Strategy System on the Data Labeling Work Productivity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하용만;장종욱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175-180
    • /
    • 2024
  • 본 논문에서는 딥러닝 기반의 주의환기 보상전략 시스템이 발달장애인의 데이터 라벨링 작업 생산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중재가 적용된 후 연구대상자 모두 자율작업 대비 작업 생산성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관찰되었다. 특히 인공지능 기반의 중재가 적용되었을 때, 직무지도원 중재에 비해 상당한 향상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인공지능 기술이 발달장애인의 데이터 라벨링 작업 생산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데이터 라벨링 작업에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한 최초의 연구이며, 발달장애인의 직업훈련과 작업 생산성 증진을 위한 딥러닝 기술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리라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