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sign-build project

검색결과 221건 처리시간 0.034초

광로형 광장 설계의 특징과 의의 - 안산 광덕로 테마광장 설계를 중심으로 - (Characteristics of Boulevard-type Plaza Design - Focusing on Ansan Gwangduk Theme Plaza Design, Ansan City, Korea -)

  • 정욱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185-198
    • /
    • 2013
  • 2002년 월드컵 응원의 배경이 되었던 서울시청 앞 교통광장이 설계경기를 거쳐 서울광장으로 조성되면서 광장에 대한 다양한 담론이 논의되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이어서 2009년 조성된 광화문광장 역시 우리 광장문화에 대한 도시 상징적 기능, 인문적 고찰, 도시민들에 의한 활용방식 등 다방면의 논의를 이끌어내면서 학문적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우리에게 광장 문화가 있느냐, 우리 광장의 모습은 어떠해야 하는가 라는 질문의 대답은 여전히 탐색 중인 것으로 판단된다. 왜냐하면 역사적 흐름에서 광장문화의 발현과 이어져오는 광장 공간 양식이 뚜렷하게 공감되지 않은 상태에서 서구적 공간 양식 등이 참조되고, 광장의 정체성과 관련된 사회적 합의를 도출하지 못한 상태에서 광장이 조성되었다는 의견이 통용되기 때문이다. 우리 광장의 모습이 이러해야 한다는 원칙은 정해진 바 없다. 서울광장과 광화문광장의 출현이 이러한 논의를 촉발하고 있는 현상은 긍정적이라고 볼 수 있다. 다양한 층위에서 논의를 통해 광장 공간과 문화에 대한 공감을 지속적으로 구축할 수 있다면 우리는 머지않아 독창적인 공간문화를 정립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안산 광덕로 광장 설계의 의의를 찾고자 한다. 2009년 현상을 통해서 당선된 본안은 2010년 말에 준공되었다. 우리 광장의 문화와 공간구성에 대한 담론 발생을 염두에 두면서 광덕로 테마광장의 설계내용을 중심으로 동시대 광장의 역할과 설계 쟁점을 펼치면서 아직 진행 중이라고 판단되는 우리 광장 구성의 방향성에 대해서 논하고자 한다.

주택성능등급 표시제도에 대응한 설계 가이드라인 (Design Guideline Corresponding to Housing Performance Grade Indication System)

  • 박현수;고광일;이찬식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6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396-401
    • /
    • 2006
  • 지속가능한 주택을 건설하고 품질이 양호한 주택재고를 위해 2006년 1월부터 주택의 설계에 관한 성능등급을 의무적으로 표시하도록 하는 "주택성능등급 표시제도"가 시행되었다. 이에 따라 수요자들은 주택성능을 용이하게 상호 비교하여 공동주택을 선택할 수 있고, 공급자 입장에서는 명확한 기준에 따라 정확한 평가를 받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주택성능등급 표시제도"의 시행에 대응하여 우수한 주택성능 등급을 획득하기 위해 합리적인 의사결정 지원도구로서 주택성능 등급별 설계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주택성능등급 표시제도"의 성능평가항목 및 평가기준을 고찰하고 현재 적용되고 있는 국내${\cdot}$외 주택성능 관련 제도 및 기준을 분석하여 "주택성능 등급 표시제도"와의 관련성을 검토하였다. 주택성능 평가항목을 평가기준의 특징에 따라 4가지 범주로 분류한 후, 설계 가이드라인의 구성 체계를 정립하여 주택성능 등급별 설계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설계 가이드라인은 주택건설사업의 추진 과정에서 계획, 설계 및 시공 담당자의 주택성능 등급 획득을 위한 합리적인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지자체 부서 간 업무연계성 진단 -부산광역시 정보화사업을 중심으로 - (The Diagnosis of Work Connectivity between Local Government Departments -Focused on Busan Metropolitan City IT Project -)

  • 지상태;남광우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76-188
    • /
    • 2018
  • 현대의 도시문제들은 점차 한 부서의 힘만으로 해결이 불가능한 시장혼재(market mix) 상태가 확대되어 부서 간의 데이터 소통을 기반으로 하는 협력체계 구축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부서 간의 협력은 공동 활용도가 높은 데이터의 공유에서 시작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부서별 데이터의 활용 및 공유 현황을 파악하고자 2014년부터 2018년까지의 부산광역시 정보화 사업을 분석하였다. 또한, 정보화사업 주관부서 공무원을 대상으로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진행한 결과를 바탕으로 데이터 현황 분석결과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동시에 사회연결망분석(SNA)을 통해 부서 간 데이터 연계 필요성을 파악하고 향후 우선적으로 공유되어야 할 데이터를 제시하였다. 분석한 바, 현재 정보시스템은 데이터 생산부서 내에서만 제한적으로 데이터를 활용하고 있는 경우가 대다수였다. 연계되고 있는 데이터의 대부분은 정보화부서에 집중되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해결책을 제시하였다. 첫째 개별부서단위의 운영으로 발생하는 중복투자 방지와 정보공유를 위해 정보 간 연계성이 높은 부서들부터 단계적으로 소규모 블록단위로 묶어가는 스몰 플랫폼 구축이 필요하다. 둘째, 다분야에 활용될 정보의 공유 확대를 위해 국가표준의 확대형태로 데이터 표준을 마련하는 지자체 수준의 프로세스가 필요하다. 셋째, 또 하나의 해결책으로는 클라우드 기반의 GIS 플랫폼 적용을 통해 주소 및 위치정보 기반으로 다양한 유형의 정보를 통합하여 활용할 수 있는 체계 구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비용절감과 함께 정보공유 확대를 통한 부서 간 협력체계를 제공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스케치업을 활용한 3D 건축모델링 및 물량산출 (3D Architecture Modeling and Quantity Estimation using SketchUp)

  • 김민규;엄대용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701-708
    • /
    • 2017
  • 건축공사는 설계단계에서 도면을 바탕으로 예상되는 비용이 산정되며, 소요예산의 책정과 예산에 합당한 효율적 공사 방안을 찾게 된다. 정확한 물량산출과 예산책정은 공사의 수익성 여부를 판단하는 척도 중 하나로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이러한 과정이 대부분 인력이나 2D 도면에 의존하여 수행되기 때문에 오차가 발생하기 쉬웠고, 자동화가 가능한 BIM(Build Information Modeling) 프로그램은 매우 고가이기 때문에 현장에서 적용하기 어려운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3차원 모델링 소프트웨어인 스케치업을 이용하여 3D 건축모델링을 수행하고, 물량산출을 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건축물의 2D 도면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3D 모델링을 수행하였으며, 모델링 결과를 기반으로 2D 도면과 3D 모델링을 통한 물량산출의 차이를 산출할 수 있었다. 연구를 통해 스케치업을 활용한 3D 모델링과 물량산출이 기존의 2D 산출식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연구방법의 활용성이 검증된다면 건축 모델링과 물량산출 업무 효율성 증가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에른스트 마이의 노동자 계층 인식과 신 프랑크푸르트 운동 주거단지에서 나타나는 합리성 구현 방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rnst May's Cognition of the Working Class and the Rationalization in the Housing of the New Frankfurt Initiative)

  • 김훈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6권4호
    • /
    • pp.83-94
    • /
    • 2015
  • Ernst May and the New Frankfurt Initiative are well known for the urban planning and the Housings in Frankfurt a. M. Their works tend to be underestimated because of some factors such as modest attitude toward modernism design vocabulary, short period that their programs lasts, and modification/recession of project in actual construction. So, This study aims to build up the relations related to Housing, such as situation of post World War I in German Society and Frankfurt, May's cognition on the working class, and realization of rationalization as a major tools of the modernity. Ernst May considered the working class with bipolar standpoint. Ernst May and His team considered working class and those families not only as object of relief but also as potential 'modern citizens' to be disciplined; he sympathize poor conditions of working class while discriminating them by their labor charge. Acceptance of Socially Disadvantaged group in construction were also proceeded in means of recession of cost. Even Ernst May and his team did not achieved the goals that they thought they could, their Siedlung and house designs articulated the sense of modernity, which presented in rationalization with highly practical manner. Those are realized in 3 directions; respectful considerations for existing traditional factors, application of extendable logics of physical/social hygiene, and reflection of issues with standardization and mass production.

선진국 항만재개발과 도시재생사업의 경험과 정책적 시사점 (The Policy Implications of Port Redevelopment and Urban Regeneration Experiences of Advanced Countries)

  • 진영환
    • 지역연구
    • /
    • 제31권1호
    • /
    • pp.83-101
    • /
    • 2015
  • 유럽과 미국 등 선진국에서는 산업화시대에 조성되었던 항만들이 노후화되면서 1970년대 부터 항만재개발과 도시재생사업이 활발하게 추진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2000년대 들어서서 부산북항 재개발사업을 시작으로 인천내항의 시민개방과 함께 재개발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사업은 항만과 도시의 재개발이 통합적으로 추진되고 있지 못할 뿐 아니라, 역사성과 장소성의 훼손, 부동산시장 의존형 사업구조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유럽, 미국 등의 성공적인 항만도시 재생사업을 살펴본 결과, 지자체가 중심이 되어 항만과 배후도시를 하나의 패캐지로 한 통합적인 접근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항만도시 특유의 역사적 지역자산을 최대한 보전, 활용하고 정교한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해서 수준 높은 수변도시를 만들어 나가고 있다. 안정적인 사업의 추진을 위해서 앵커시설의 유치, 장소 판촉, 재원조달을 위한 새로운 아이디어 도입 등이 정책적 시사점으로 도출되었다.

사물인터넷을 위한 농장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griculture system for Internet Of Things)

  • 임순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8896-8900
    • /
    • 2015
  • 최근 한국에서는 다양한 분야의 직업군을 가지게 되면서 우리나라의 20대부터 40대 젊은 인력들이 대거 도시로 몰리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우리 국내 농업분야의 생산인구가 감소되고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또한 WTO, FTA와 같은 세계적인 농업시장의 개방화를 통하여 전 세계의 농작물과의 경쟁을 해야 하는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오픈소스 하드웨어인 라즈베리파이와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활용하여 누구나 쉽게 환경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여 제안하는 기술을 농업 산업에 빠르게 적용시킬 수 있는 기술을 소개한다. 즉, 생산지의 환경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구성하게 함으로써 누구나 쉽게 사물인터넷 기술을 이용하여 농업분야에 활용하고 직접 적용시켜 생산과정의 자동화를 통해 농촌의 일손 부족상황을 대치하면서 실시간으로 농작물의 상태를 체크하고, 여러 상황에 맞게 대응을 하면서 농작물의 품질을 향상 시키고, 가격경쟁력을 확보하여 전 세계 농작물과의 비교에서도 경쟁력을 갖게 될 것이다. 또한 사물인터넷을 활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을 통하여 다른 여타 비즈니스에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원분류기법을 이용한 소규모 교량 상부형식선정 모형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Model for Selecting Superstructure Type of Small Size Bridge Using Dual Classification Method)

  • 윤수영;김창학;강인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5권6호
    • /
    • pp.1413-1420
    • /
    • 2015
  • 중 소규모의 교량 설계단계에서는 교량 상부형식을 결정할 수 있는 관련 기준이 미흡한 관계로 설계자들은 일부 전문 기술자의 경험과 지식에 의존하여 교량상부형식을 선정하는 경향이 많다. 또한, 최근에는 교량상부형식이 매우 다양해지고 있으며, 고려해야할 조건들이 많아짐에 따라 의사결정과정도 더욱 복잡화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도공사 등에 빈번히 시공되는 경간장 50m 내외의 중 소교량의 상부형식 선정을 위해 기존의 통상적인 현장에 적용가능한 공법의 비교방식 및 경험과 직관에 의존한 방법이 아닌 보다 체계적인 방법으로 교량상부형식을 선정하고자 한다. 이에 인공지능 기법중 하나인 SVM기법을 이용한 교량상부형식 선정 모형을 구축하여 제안하고, 실제사례의 검증을 통해 모형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게임 소프트웨어 산출물 통합관리시스템 설계 (Design of an Integrated Product Management System for Game Software Development)

  • 김병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2호
    • /
    • pp.319-324
    • /
    • 2015
  • 게임과 같은 엔터테인먼트 분야의 소프트웨어 품질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보장하면서 개발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소프트웨어의 생애주기 상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종류의 개발 산출물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게임 소프트웨어 개발 산출물들은 문서, 소스코드, 모델, 도면, 그래픽 리소스 등과 같이 다양한 형식과 종류를 갖게 되며 그 양이 매우 방대한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소프트웨어 개발 산출물들을 통합 관리하는 것이 품질보증을 위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종류의 산출물을 통합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에 초점을 맞춘 소프트웨어 산출물 통합관리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이 시스템은 프로젝트관리, 요건관리, 형상관리, 추적성관리, 소프트웨어공학도구 표준 인터페이스 기능 등을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특히 이 통합관리시스템은 데이터웨어하우스 기술을 기반으로 함으로써 이종의 데이터를 통합 저장할 수 있는 중앙 저장소를 제공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다측면 보고 및 분석, 추적, 검증 등의 개발 프로세스들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도로포장 성능보증계약제도 도입을 위한 국내외 적용환경 분석 (Analysis of Domestic and Overseas Environment to Introduce Performance Warranty Contracting for Pavements into Korea)

  • 김태송;서용칠;이상범;구재동;김경주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8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16-221
    • /
    • 2008
  • 본 연구는 유럽, 미국, 일본 등 선진외국에서 시행하고 있는 성능보증계약제도 현황을 살펴보고 이 제도의 국내 도입을 위한 타당성 및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성능보증계약제도의 개념 및 필요성, 국내외 성능보증계약제도 현황을 조사, 분석하였다. 특히 이들 나라들의 하자담보책임제도의 보증업무, 설계시공일괄입찰 계약제도의 운영현황, 낙찰자 결정방식, 성능보증수단, 공사계약의 유지관리 업무, 성능보증시방서 및 계약조건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성능보증계약제도를 도입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하자담보책임제도 외에 성능보증계약제도 별도 운영, 설계시공일괄입찰계약제도의 수정 활용, 공사낙찰제도의 보완, 성능보증수단 확보, 유지관리업무를 포함하는 공사계약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