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sign parameters

검색결과 11,845건 처리시간 0.048초

강봉 및 강관을 이용한 프리스트레싱 유닛의 긴장 응력 손실 평가 (Evaluation of Prestress Loss in Prestressing Reinforcing Units using Steel Bar and Pipe)

  • 심재일;문주현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5권4호
    • /
    • pp.75-82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강관과 강봉을 이용하여 프리스트레스력의 도입이 가능하도록 개발된 프리스트레싱(prestressing reinforcing units using steel bar and pipe, 이하 SP) 보강재의 응력손실을 확인하는데에 있다. 주요변수는 SP 보강재의 종류, 프리스트레스력의 크기 및 도입방법이다. 실험결과 SP 보강재의 응력손실은 프리스트레스력이 직접 도입하는 초기단계에서 가장 크게 있었는데, 그 크기는 압축도입형 보다 인장도입형에서 더 크게 있었다. SP 보강재의 응력손실은 프리스트레스력이 항복강도의 80%로 도입된 P800 강종인 압축도입형 실험체에서 1.6%로 가장 낮았다. 한편 시간경과에 따른 SP 보강재의 릴랙세이션은 압축도입형의 경우 SP 보강재의 종류, 프리스트레스력의 크기에 관계없이 0.4~1.9%로 평가되었는데, 이는 설계기준들에서 제시하고 있는 릴랙세이션 2.5% 이하를 만족하는 수준이었다. 결과적으로 프리스트레스력 도입 즉시 발생하는 응력손실을 감안할 때에 개발된 SP 보강재의 재질과 프리스트레스력 도입방식 및 크기는 각각 P800, 압축도입형 및 항복강도의 80%로 추천된다.

디젤전기기관차의 공압제동 영향인자 및 특성 분석 (Analysis of pneumatic braking component effects and characteristics of a diesel electric locomotive)

  • 최돈범;김민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541-549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국내 화물 및 여객차량들을 견인하는 디젤전기 기관차의 제동에 따른 동적 거동을 분석하기 위하여 제동장치에 영향을 미치는 마찰계수, 제동압력, 주행저항 등을 시험하였다. 마찰계수는 UIC 541-4를 참고로 Dynamo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시험결과는 다변량 회귀분석을 통해 제동하중, 제동초기 속도와의 관계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제동압력은 상용제동과 비상제동으로 구분하였으며, 제동밸브와 배관의 특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시간에 따른 제동압력 변화를 대상 차량에서 측정하였다. 차량에 작용하는 외력을 반영하기 위하여 EN 14067-4의 타행시험을 수행하고 2차 다항식 형태의 주행저항을 제시하였다. 도출한 주행저항을 동일 차종에 대하여 각 국가별로 사용하고 있는 주행저항들과 비교하였다. 차량의 재원, 마찰계수, 제동압력, 주행저항을 바탕으로 직선 평탄 선로를 주행하는 디젤전기기관차의 동적 거동을 EN 14531-1에서 제시된 시간적분을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해석 결과는 상용제동과 비상제동에 대하여 각각 차량의 속도이력 시험결과와 비교 검증하였으며 상당히 합리적인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철도차량들을 연결하여 운행하는 열차의 동적 거동해석에 활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차량 설계에서 제동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파라미터들을 분석하고 성능향상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Metabolizable energy requirement for maintenance estimated by regression analysis of body weight gain or metabolizable energy intake in growing pigs

  • Liu, Hu;Chen, Yifan;Li, Zhongchao;Li, Yakui;Lai, Changhua;Piao, Xiangshu;van Milgen, Jaap;Wang, Fengla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9호
    • /
    • pp.1397-1406
    • /
    • 2019
  • Objective: Feed energy required for pigs is first prioritized to meet maintenance costs. Additional energy intake in excess of the energy requirement for maintenance is retained as protein and fat in the body, leading to weight gai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metabolizable energy requirements for maintenance ($ME_m$) by regressing body weight (BW) gain against metabolizable energy intake (MEI) in growing pigs. Methods: Thirty-six growing pigs ($26.3{\pm}1.7kg$) were allotted to 1 of 6 treatments with 6 replicates per treatment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Treatments were 6 feeding levels which were calculated as 50%, 60%, 70%, 80%, 90%, or 100% of the estimated ad libitum MEI ($2,400kJ/kg\;BW^{0.60}\;d$). All pigs were individually housed in metabolism crates for 30 d and weighed every 5 d. Moreover, each pig from each treatment was placed in the open-circuit respiration chambers to measure heat production (HP) and energy retained as protein ($RE_p$) and fat ($RE_f$) every 5 d. Serum biochemical parameters of pigs were analyzed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Results: The average daily gain (ADG) and HP as well as the $RE_p$ and $RE_f$ linearly increased with increasing feed intake (p<0.010). ${\beta}$-hydroxybutyrate concentration of serum tended to increase with increasing feed intake (p = 0.080). The regression equations of MEI on ADG were MEI, $kJ/kg\;BW^{0.60}\;d=1.88{\times}ADG$, g/d+782 ($R^2=0.86$) and $ME_m$ was estimated at $782kJ/kg\;BW^{0.60}\;d$. Protein retention of growing pigs would be positive while REf would be negative at this feeding level via regression equations of $RE_p$ and $RE_f$ on MEI. Conclusion: The $ME_m$ was estimated at $782kJ/kg\;BW^{0.60}\;d$ in current experiment. Furthermore, growing pigs will deposit protein and oxidize fat if provided feed at the estimated maintenance level.

TPH와 6가 크롬으로 오염된 지하수 처리를 위한 실내 실험 (Treatability Study on the Remediation Groundwater Contaminated by TPH Cr6+ : Lab-Scale Experiment)

  • 이규범;장윤영
    • 환경영향평가
    • /
    • 제28권3호
    • /
    • pp.332-345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TPH 또는 $Cr^{6+}$이 함유된 오염 지하수의 처리 가능성을 평가하는 데 있다. 오일과 물의 분리, 용존 공기 부유 (DAF), 응고 및 침전, 모래와 활성탄으로 각각 여과를 위한 실험실 규모 테스트가 수행되었다. 총 40 분간의 분리 시간 동안 오일과 물의 분리 시험을 2 회 실시한 결과 TPH 제거율은 90.2 %였다. 높은 농도의 TPH 샘플에 대한 DAF 테스트의 경우, TPH 제거율은 미세 기포 크기의 변화에 따라 크게 변하지 않았다. 그러나 낮은 TPH 샘플에 대한 테스트는 미세 기포가 작을수록 TPH 제거율이 증가함을 보여준다. DAF 테스트를 위해 응집제를 샘플에 첨가했을 때 TPH 제거율은 12.3 % 증가했다. DAF에 의한 SS 제거율은 $16{\sim}40{\mu}m$에서 97.9 %였으며 미세 기포의 크기가 감소함에 따라 증가했다. 지하수에서 $Cr^{6+}$의 제거를 평가하기 위해 응집 및 침전 시험을 수행했다. $FeSO_4$ 투여량을 증가하였을때 응집 및 침전 공정에서 $Cr^{6+}$ 제거율이 증가하였다. 필터 매체에서 활성탄의 비율이 높을수록 여과공정에서 TPH 제거율이 증가한다. 여과에 의한 SS 제거율은 DAF 공정 시험 결과와 비슷한 96.7 %였다. 여과 과정은 TPH와 SS 농도가 감소하였다. 모래의 크기가 $425{\sim}850{\mu}m$이고 활성탄과 모래의 비율이 50:50일때 최적의 처리효율을 나타냈다.

Water+DIPA, DIPA+MDEA, Water+DIPA+MDEA 계의 밀도와 과잉부피 측정 및 상관 (Measurement and Correlation of density and excess volume for Water+DIPA, DIPA+MDEA and Water+DIPA+MDEA systems)

  • 김진호;나재석;신헌용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7권2호
    • /
    • pp.198-204
    • /
    • 2019
  • 화학공정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의 제거를 위하여 대표적으로 화학적흡수법이 산업적으로 사용된다. 화학적흡수법에 의한 이산화탄소의 제거를 위한 신공정의 개발을 위하여 다양한 흡수제를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신흡수제가 개발되고 있다. 하이브리드 형태의 신흡수제를 이용한 신공정설계에 흡수제 혼합물의 열역학적 데이터는 공정의 설비비용과 운전비용 절감에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Diisopropanolamine (DIPA)와 N-Methyldiethanolamine (MDEA)을 혼합한 Water+DIPA, DIPA+MDEA 이성분계와 Water+DIPA+MDEA 삼성분계 혼합물의 밀도를 측정하였다. Anton Paar DMA 4500 M를 이용하여 303.15 K~333.15 K의 온도에서 혼합물의 전체 조성범위에 대한 밀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혼합물의 밀도를 이용하여 과잉부피를 계산하였다. 측정된 과잉부피는 Redich-Kister-Muggianu식으로 상관하여 이성분계에 대한 Redlich-Kister-Muggianu 매개변수를 얻었으며, 삼성분계에서는 한 개의 추가적인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삼성분계의 과잉부피를 상관하였다. 측정된 모든 계의 전체 조성에서 과잉부피는 음의 값을 가졌으며 이는 모든 계에서 잘 혼합됨을 의미한다.

Effects of method and duration of restraint on stress hormones and meat quality in broiler chickens with different body weights

  • Ismail, Siti Nadirah;Awad, Elmutaz Atta;Zulkifli, Idrus;Goh, Yong Meng;Sazili, Awis Qurn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6호
    • /
    • pp.865-873
    • /
    • 2019
  • Objective: The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straint method, restraint duration, and body weight on stress-linked hormones (corticosterone, adrenaline, and noradrenaline), blood biochemical (namely glucose and lactate), and the meat quality in broiler chickens. Methods: A total of 120 male broiler chickens (Cobb 500) were assigned to a $2{\times}3{\times}2$ factorial arrangement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using two restraint methods (shackle and cone), three durations of restraint (10, 30, and 60 s), and two categories of live body weight ($1.8{\pm}0.1kg$ as lightweight and $2.8{\pm}0.1kg$ as heavyweight). Results: Irrespective of the duration of restraint and body weight, the coned chickens were found to have lower plasma corticosterone (p<0.01), lactate (p<0.001), lower meat drip loss (p<0.01), cooking loss (p<0.05), and higher blood loss (p<0.05) compared with their shackled counterparts. The duration of restraint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meat initial pH (p<0.05), ultimate pH (p<0.05), and yellowness (p<0.01). The lightweight broilers exhibited higher (p<0.001) blood loss and lower (p<0.05) cooking loss compared to the heavyweight broilers, regardless of the restraint method used and the duration of restraint. However, the interaction between the restraint method, duration of restraint, and body weight contributed to differences in pre-slaughter stress and meat quality. Therefor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restraint method and the duration of restraint affected the meat shear force, lightness ($L^*$) and redness ($a^*$). Conclusion: The duration of restraint and body weight undoubtedly affect stress responses and meat quality of broiler chickens. Regardless of the duration of restraint and body weight, the cone restraint resulted in notably lower stress, lower meat water loss, and higher blood loss compared to shackling. Overall,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restraint method, duration of restraint, and body weight may affect the stress response and meat quality parameters in broilers and should be considered independently or interactively in future studies.

유압 브레이커의 충격량 예측을 위한 모델링과 해석 (Modeling and Simulation for Predicting the Impact of Hydraulic Breaker)

  • 김성현;정재호;백동천;박종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741-749
    • /
    • 2019
  • 굴삭기에 부착되는 유압 브레이커는 건물의 파괴 및 분해, 도로 포장재의 파손, 채석장에서의 암석 파단 등에 사용되고 있는 부착작업기의 일종의 건설 장비이다. 따라서 유압브레이커의 성능은 주로 충격량 및 충격 효율에 의해 평가되며, 이는 제조사 및 사용자 모두에게 중요한 요소이다. 본 논문에서는 건설 현장에서 주로 사용되는 20톤급 유압브레이커를 대상으로 상용 프로그램인 SimulationX를 사용하여 유압밸브 및 피스톤의 수압 면적 또는 작동 조건에 따라 유압 브레이커의 충격량 예측을 위한 모델링 및 해석을 진행하였다. 또한, 모델링 및 해석의 신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기존 실험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비교 및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제작 이전의 설계 단계에서 유압 브레이커의 충격량을 예측하고 충격량 향상을 위한 파라미터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또한 제조사 측에서는 본 논문의 결과를 통하여 유압 브레이커의 충격량을 미리 예측함으로서, 시행 착오 방지를 통하여 개발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한다.

Nutritional and productive parameters of Holstein/Zebu cows fed diets containing cactus pear

  • Borges, Lucas Daniel Alcantara;Rocha, Vicente Ribeiro Junior;Moncao, Flavio Pinto;Soares, Camila;Ruas, Jose Reinaldo Mendes;Silva, Fredson Vieira e;Rigueira, Joao Paulo Sampaio;Costa, Natanael Mendes;Oliveira, Laura Lucia Santos;Rabelo, Walber de Oliveir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9호
    • /
    • pp.1373-1380
    • /
    • 2019
  • Objective: This study ascertained effects of cactus pear in association with different roughage in the diet of F1 Holstein/Zebu cows on intake, nutrient digestibility, nitrogen balance, ingestive behavior and performance. Methods: Eight cows with $72{\pm}11$ days of lactation were used. The experimental design was simultaneous in two $4{\times}4$ Latin squares. Four experimental diets were used: Diet 1, sorghum silage as exclusive roughage; Diet 2, sorghum silage associated with cactus pear in a proportion of 50% of the roughage (dry matter basis); Diet 3, elephant grass (Pennisetum purpureum cv. Roxo) as exclusive roughage; Diet 4, elephant grass associated with cactus pear in a proportion of 50% of the roughage. The roughage:concentrate ratio was 75:25. Results: Dry matter intake (p = 0.01) was higher with sorghum silage. There were differences in dry matter intake (p = 0.01), crude protein (p<0.01), ether extract (p = 0.01), non-fibrous carbohydrates (p<0.01)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s (p = 0.01) among the diets. Cactus pear in the diet reduced water intake by 44.52% (p<0.01). The nitrogen balance was 59.71% and 27.49% lower in animals treated with exclusive sorghum silage and sorghum silage associated with cactus pear in relation to diets with elephant grass and elephant grass associated with cactus pear, respectively (p<0.01). The diets did not influence the milk production (p = 0.70), 3.5% fat corrected milk production (p = 0.72) or feed efficiency (p = 0.61). Conclusion: The association of cactus pear with sorghum or elephant grass silage does not alter milk production, reduces the intake of dry matter and water and improves the digestibility of nutrients.

불포화 벤토나이트 완충재의 수분흡입력 측정기술 및 구성모델 고찰 (A Review on Measurement Techniques and Constitutive Models of Suction in Unsaturated Bentonite Buffer)

  • 이재완;윤석;김건영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29-338
    • /
    • 2019
  • 불포화 벤토나이트 완충재의 수분흡입력은 공학적방벽의 수리-역학적 성능평가 및 설계에 있어 매우 중요한 입력인자이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에 보고된 불포화 다공성매질의 수분흡입력 측정기술과 구성모델을 분석하고, 고준위폐기물처분장의 벤토나이트 완충재에 적합한 수분흡입력 측정기술과 구성모델을 제안하였다. 문헌 분석결과, 벤토나이트 완충재의 수분흡입력은 일반토질보다 훨씬 높은 값을 가지며, 매트릭수분흡입력과 삼투흡입력을 포함하는 총수분흡입력을 측정하여 사용하였다. 벤토나이트 완충재의 수분흡입력 측정에는 상대습도센서를 이용한 측정방법(RH-Cell, RH-Cell/Sensor)이 적합하였으며, 핵종 붕괴열에 의한 온도변화와 측정 소요시간을 고려했을 때에는 RH-Cell/Sensor 방법이 더 선호되었다. 벤토나이트 완충재의 수분보유모델은 실험을 통해 여러 가지 모델이 제안되었지만, 불포화 완충재의 수리-역학적 성능평가 구성모델로는 대부분 van Genuchten모델이 사용되었다. 벤토나이트 완충재의 수분특성곡선은 벤토나이트의 종류, 건조밀도, 온도, 염도, 측정 시 시료상태와 이력과정에 따라 서로 다른 경향을 보였다. 수분보유모델의 선정 및 모델인자 결정에는 신뢰도 향상을 위해 이러한 인자들의 영향이 고려되어야 한다.

Evaluating fermentation quality, in vitro digestibility and aerobic stability of a total mixed ration ensiled with different additives on Tibet plateau

  • Dong, Zhihao;Wang, Siran;Zhao, Jie;Li, Junfeng;Liu, Qinhua;Bao, Yuhong;Shao, Tao
    • Animal Bioscience
    • /
    • 제34권2호
    • /
    • pp.223-232
    • /
    • 2021
  •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improvement in utilization efficiency of total mixed ration (TMR) on Tibetan plateau, TMR were ensiled with different additives. Methods: A total of 150 experimental silos were prepared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to evaluate the six treatments: i) control (without additive), ii) Lactobacillus buchneri (L. buchneri), iii) acetic acid, iv) propionic acid, v) 1,2-propanediol; and vi) 1-propanol. After 90 days of ensiling, silos were opened for fermentation quality and in vitro analysis, and then subjected to an aerobic stability test for 14 days. Results: Treating with L. buchneri, acetic acid, 1,2-propanediol and 1-propanol decreased propionic acid contents and yeast number, whereas increased (p<0.05) pH, acetic acid and ethanol contents in the fermented TMR. Despite increased dry matter (DM) loss in the TMRs treated with 1,2-propanediol and 1-pronanol, additives did not affect (p>0.05) all in vitro parameters including gas production at 24 h (GP24), GP rate constant, potential GP, in vitro DM digestibility and in vitro neutral detergent fibre digestibility. All additives improved the aerobic stability of ensiled TMR to different extents. Specially, aerobic stability of the ensiled TMR were substantially improved by L. buchneri, acetic acid, 1,2-propanediol, and 1-propanol, indicated by stable pH and lactic acid content during the aerobic stability test. Conclusion: L. buchneri, acetic acid, 1,2-propanediol, and 1-propanol had no adverse effect on in vitro digestibility, while ensiling TMR with the additives produced more acetic acid and ethanol, subsequently resulting in improvement of aerobic stability. There is a potential for some fermentation boosting additives to enhance aerobic stability of fermented TMR on Tibetan platea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