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sign flood

검색결과 649건 처리시간 0.033초

Weibull-3및 GEV 분포모형의 L-모멘트법에 의한 홍수빈도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Flood Frequency by L-moment in Weibull-3 and GEV Distributions)

  • 이순혁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5-29
    • /
    • 199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rive optimal design floods by Gerneralized Extreme Value(GEV) and Weibull-3 distributions for the annual maximum series at ten watersheds along Han,Nagdong, Geum, Yeongsan and Seomjin reiver systems. Adequency for the analysis of flood data used in this study was established by the tests of Independence. Homogeneity , detection of Outlines, L-moments. Design flood sobtaine dby /methods of Moments and L-Moments using different methods for plotting positions in BEV and Weibull-3 distributions were compared by the Relative Mean Errors(RME) and Root MEan Square Errors(RMSE). The result wa found that design floods derived by the L-moments using the other formulas for plotting positions from the viewpoint of Relative Mean Errors and Root Mean Square Errors.

  • PDF

설계홍수량 산정을 위한 합성단위유량도의 개발 (Development of Syntheic Unit Hydrograph for Estimation of Design Flood)

  • 이홍래;이종국;서병하
    • 물과 미래
    • /
    • 제22권4호
    • /
    • pp.423-433
    • /
    • 1989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어느 정도 축적된 단시간 수문자료를 사용하여, 정확한 유역의 유출현상을 파악하고 그 대상유역의 지형인자와 유출특성을 대표하는 단위 유량도 특성변수와의 관계를 규명하여, 유출수문자료가 없는 대상유역, 즉 미 계측유역에서 수공구조물의 설계시에 적절한 설계홍수량 산정방법을 제시하여 하천의 효과적인 치수사업을 수행하여 효율적인 수자원관리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우리나라 홍수량(洪水量) 공식(公式)들의 비교연구(比較硏究)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Flood Discharge Formulas in Korean Rivers)

  • 고재웅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113-125
    • /
    • 1988
  • 우리 나라의 하천종합개발계획(河川綜合開發計劃) 수립의 기준이 되는 계획홍수량(計劃洪水量) 결정수단으로 활용되어 왔던 홍수량공식(洪水量公式) 들을 조사하였다. 이들 가운데 11종(種)의 홍수량(洪水量) 공식(公式)을 선정하여 유역규모(流域規模)에 따른 계획비홍수량(計劃比洪水量)을 계산 비교하였다. 강우조건과 유역조건이 가능한 범위까지 같은 경우가 될 수 있게 하여 검토한 바 같은 유역에서 극치들의 변동폭이 400%나 되는 편차를 가지며 이런 범위안에서 각공식 별로 서로 많은 차이를 보여 주게 됨을 알 수 있었다. 지금 쓰이고 있는 홍수량(洪水量) 산정의 절차는 무척 복잡하고 많은 노력(努力)을 거쳐서 어렵게 결정하고 있으나 성과(成果)는 사용된 수문자료(水文資料)의 기간(期間)이나 정도(精度)에 좌우되어 공학적(工學的)인 판단(判斷)의 타당성이 결여된 경우가 많았음을 경험하였다. 따라서 보다 단순하면서 합리적(合理的)인 수단의 개발을 기왕의 홍수량(洪水量) 공식(公式) 비교에서 얻을 수 있었다.

  • PDF

미계측 중소하천의 계획홍수량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for the Design Flood of Ungauged Small River Basins)

  • 침순보;안보훈
    • 물과 미래
    • /
    • 제9권2호
    • /
    • pp.101-114
    • /
    • 1976
  • 본 논문은 미 계측 중심하천의 재현기간별 계획홍수량을 산정 하는 수 문학적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수위유량자료가 전무한 중소하천 유역의 지상학적 특성분석을 시행하여 제상관관계로부터 하천의 유출율을 결정하고 사용 가능한 인근 항우관측소로부터 빈도처리된 량량자료를 사용하므로서 합리식의 안전한 사용을 시도하였으며 유역특성이 비슷한 인근유역의 기 유도된 단위도의 관계식을 활용하므로서 첨두유량을 산정 상호비교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금강의 제2지유이며 유역면적 $192.2\textrm{km}^2$로써 유역의 종합개발을 위한 기초수문자료가 시급한 무심천을 선정하여 하천 소구간별로 재현기간별 계획홍수량과 첨두홍수량을 산정하여 인근유역인 미호천유역의 실측자료로 구한 첨두유출량과의 상관분석을 통하여 검정해 본 결과 상관계수 r=0.93을 나타내므로 계산한 계획홍수량의 실용가능성을 입증하였다.

  • PDF

SSP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농업용 저수지 홍수조절능력 분석 (Analysis of Flood Control Capacity of Agricultural Reservoir Based on SSP Climate Change Scenario)

  • 김지혜;곽지혜;황순호;전상민;이성학;이재남;강문성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3권5호
    • /
    • pp.49-62
    • /
    • 202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flood control capacity of the agricultural reservoir based on state-of-the-art climate change scenario - SSP (Shared Socioeconomic Pathways). 18 agricultural reservoirs were selected as the study sites, and future rainfall data based on SSP scenario provided by CMIP6 (Coupled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 6) was applied to analyze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The frequency analysis module, the rainfall-runoff module, the reservoir operation module, and their linkage system were built and applied to simulate probable rainfall, maximum inflow, maximum outflow, and maximum water level of the reservoirs. And the maximum values were compared with the design values, such as design flood of reservoirs, design flood of direct downstream, and top of dam elevation, respectively.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maximum values exceed each design value, cases were divided into eight categories; I-O-H, I-O, I-H, I, O-H, O, H, X. Probable rainfall (200-yr frequency, 12-h duration) for observed data (1973~2020) was a maximum of 445.2 mm and increased to 619.1~1,359.7 mm in the future (2011~2100). For the present, 61.1% of the reservoirs corresponded to I-O, which means the reservoirs have sufficient capacity to discharge large inflow; however, there is a risk of overflowing downstream due to excessive outflow. For the future, six reservoirs (Idong, Baekgok, Yedang, Tapjung, Naju, Jangsung) were changed from I-O to I-O-H, which means inflow increases beyond the discharge capacity due to climate change, and there is a risk of collapse due to dam overflow.

한천유역의 수문학적 특성을 고려한 관측자료 기반 홍수량 산정 (Estimation of Flood Discharge Based on Observation Data Considering the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Han Stream Basin in Jeju Island)

  • 양성기;김민철;강보성;김용석;강명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6권12호
    • /
    • pp.1321-1331
    • /
    • 2017
  • This study reviewed the applicability of the existing flood discharge calculation method on Jeju Island Han Stream and compared this method with observation results by improving the mediating variables for the Han Stre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when the rain-discharge status of the Han Stream was analyzed using the flood discharge calculation method of the existing design (2012), the result was smaller than the observed flood discharge and the flood hydrograph differed. The result of the flood discharge calculation corrected for the curve number based on the terrain gradient showed an improvement of 1.47 - 6.47% from the existing flood discharge, and flood discharge was improved by 4.39 - 16.67% after applying the new reached time. In addition, the sub-basin was set separately to calculate the flood discharge, which yielded an improvement of 9.92 - 32.96% from the existing method. In particular, the steepness and rainfall-discharge characteristics of Han Stream were considered in the reaching time, and the sub-basin was separated to calculate the flood discharge, which resulted in an error rate of -8.77 to 8.71%, showing a large improvement of 7.31 - 28.79% from the existing method. The flood hydrograph also showed a similar tendency.

도시 주거지역 내 소하천의 홍수 안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lood Risk Analysis for A Small Stream in Urban Residential Area)

  • 곽재원;안경수;경민수;김형수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8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195-198
    • /
    • 2008
  • 본 연구는 도심지 유역인 경기도 부천 여월동 단지 내의 도시하천에 대해서 유출 및 홍수 특성을 분석하였다. 해당 유역의 하천은 평상시에는 매우 적은 유량만이 흐르고 있으나, 홍수 시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홍수위 및 유속으로 인해 홍수 피해의 위험성을 안고 있다. 홍수에 대한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유출 해석 모형을 적용하고, 또한 해당 유역에 대해 구축된 GIS 자료 및 하천 단면과 HEC-RAS를 이용, 홍수위를 예측하여 치수 안정성을 검증하고, 홍수시의 유속을 산정하여 하천 시설물과 자연형 호안 공법에 대한 홍수 방어 능력을 검토 하였다. 검토 결과 다목적 소하천을 목적으로 설치된 하천 구조물로 인하여 홍수 피해 발생위험이 있었으며, 홍수시에도 높은 유속으로 인한 불안요소를 포함하고 있었다. 이러한 주거지역내 소규모의 도시 하천에 대한 홍수 유출 해석에서는 홍수 유출 외에도 구조물에 의한 배수위 변동과 홍수시 유속으로 인한 영향과 같은 여러 위험 요인에 대하여 함께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산악에서 돌발홍수예측을 위한 지리정보시스템의 적용 (Real-Time Flash Flood Evaluation by GIS Module at Mountainous Area)

  • 남광우;최현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17-327
    • /
    • 2005
  • 홍수는 자연재해 중 가장 일반적이며 빈번하게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홍수는 수일간에 걸친 강우에 의하여 발생하지만 집중호우에 의한 돌발홍수는 단 시간에 발생하는 특징이 있다. 본 논문은 지리정보시스템으로 지형자료를 취득한 후 지형기후학적 순간단위유량도로 산악에서 돌발홍수예측을 위한 지리정보시스템의 적용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의 돌발홍수 발생 범위는 수심이 0.5m, 0.7m, 1.0m 로 설정하였다. 또한, 지속시간별-강우량별 홍수량 조견표를 작성하여 홍수대피 기준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획일된 경보 발령시스템에 비하여 유역에 적합한 기준을 제시하여 지형정보를 고려한 경보발령시스템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홍수지표의 인과관계를 이용한 홍수위험지수 개발 (Development of Flood Risk Index using causal relationships of Flood Indicators)

  • 임광섭;최시중;이동률;문장원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1B호
    • /
    • pp.61-7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치수특성을 평가할 수 있는 세부지표를 선정하여 유역별 치수 관련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세부지표를 P-S-R(Pressure-State-Response) 구성 체계로 구성하여 각 치수특성평가 지수인 압력, 현상, 및 대책 지수를 개발하였다. 또한 이들 지수를 통합하여 유역의 치수 현황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홍수위험지수를 개발하였다. 1980년대 이후 2000년대까지 117개 중권역에서 산정된 홍수의 발생에 대한 압력지수와 피해의 현황지수는 비례관계로 나타났으나 대책지수의 증가에도 현황지수는 감소하고 있지 않았다. 이는 상대적으로 피해의 압력요인들이 홍수대응력을 초과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향후 홍수대책에서는 설계기준을 더욱 강화시킬 필요가 있음을 보여 준다. 홍수위험지수는 지속적인 치수사업의 성과에 의해 점진적으로 낮아지고 있고 한강과 낙동강 권역이 금강, 섬진강 및 영산강 권역보다 상대적으로 홍수위험도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치수사업의 성과의 평가와 함께 유역 간 홍수의 상대적인 위험도를 시 공간적으로 분석하여 치수 관련 정책 및 대책 수립에서 보다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홍수저류지 설계를 위한 강우강도-지속시간-홍수량(IDQ) 곡선 해석 (Analysis of Intensity-Duration-Quantity (IDQ) Curve for Designing Flood Retention Basin)

  • 김진겸;강부식;윤병만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7권1호
    • /
    • pp.83-93
    • /
    • 2014
  • 기후변화 및 도시화 등의 요인으로 인하여 증가하는 불확실성에 대처하기 위하여 건설되는 홍수저류지 형태의 치수시설물이 기존의 치수시설물과 연계되어 치수능력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설계기준과 절차의 제시를 위하여 본 연구가 수행되었다. 본류의 홍수위 증가량에 대비할 수 있는 저류지용량결정, 저류지용량이 주어져 있을 경우의 본류의 홍수위 저감효과산정 등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시나리오 하에서의 분석을 위한 절차를 제시하였다. 기존 설계홍수량 산정절차에 근거한 IDQ (Intensity-Duration-Quantity) 분석을 이용하여 임의지속시간에서의 설계홍수수문곡선 산정기법을 제시하였고 그 활용사례를 제시하였다. IDQ 분석을 통해 산정한 강우량을 기반으로 등가첨두 수문곡선을 산정할 수 있으며, 기존 수문곡선과 동일한 지속시간 하에서 하천의 수위가 높아질 수 있는 저빈도 수문곡선과, 기존 수문곡선과 동일한 첨두홍수량을 지니지만 강우지속기간의 증가로 인해 유출체적이 증가하는 수문곡선, 기존 수문곡선에 비해 하천의 수위 및 수문곡선의 부피 모두 증가하는 수문곡선 등 다양한 형태의 수문곡선에 대한 시나리오해석을 가능하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