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omparative Study of the Flood Discharge Formulas in Korean Rivers

우리나라 홍수량(洪水量) 공식(公式)들의 비교연구(比較硏究)

  • 고재웅 (건국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Received : 1988.01.12
  • Published : 1988.03.31

Abstract

The design flood formulas in Korean river are reviewed from the early historical stage of the river improvement projects to the present situation. The 11 different formulas are selected for the comparative purpose of the each results at the same rainfall and basin characteristics under the same size of the basin. The max. and min. values of the design flood discharge for the same basin deviated almost as large as 400% according to the formula used without respect to the basin size. The remains have big scattering within those deviations. The steps to derive the design flood are very complicated and tedious time consuming process at present applications. However the reaults computed through the steps are quationable in accordance with the lengths of the hydrological historic records and the accuracy of the data observation technique in view of the engineering judgement. The purpose of this review will give the one of the simplest and the reasonable approach to eliminate misleading the determination of the design flood peak.

우리 나라의 하천종합개발계획(河川綜合開發計劃) 수립의 기준이 되는 계획홍수량(計劃洪水量) 결정수단으로 활용되어 왔던 홍수량공식(洪水量公式) 들을 조사하였다. 이들 가운데 11종(種)의 홍수량(洪水量) 공식(公式)을 선정하여 유역규모(流域規模)에 따른 계획비홍수량(計劃比洪水量)을 계산 비교하였다. 강우조건과 유역조건이 가능한 범위까지 같은 경우가 될 수 있게 하여 검토한 바 같은 유역에서 극치들의 변동폭이 400%나 되는 편차를 가지며 이런 범위안에서 각공식 별로 서로 많은 차이를 보여 주게 됨을 알 수 있었다. 지금 쓰이고 있는 홍수량(洪水量) 산정의 절차는 무척 복잡하고 많은 노력(努力)을 거쳐서 어렵게 결정하고 있으나 성과(成果)는 사용된 수문자료(水文資料)의 기간(期間)이나 정도(精度)에 좌우되어 공학적(工學的)인 판단(判斷)의 타당성이 결여된 경우가 많았음을 경험하였다. 따라서 보다 단순하면서 합리적(合理的)인 수단의 개발을 기왕의 홍수량(洪水量) 공식(公式) 비교에서 얻을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