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dermal function

Search Result 50,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자외선-B에의한 Hairless mouse의 보호기능과 표면구조의 변화 영향 (UVB-INDUCED CHANGES OF BARRIERFUNCTION AND MORPHOLOGY OF THE HAIRLESS MOUSE SKIN)

  • 김진준;박문억;강세훈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81-98
    • /
    • 1992
  • Hairless mouse에 자외선-B를 일회 조사한 후 시간에 따른 피부보호기능과 표면구조변화의 정도를 TEWL과 주름살밀도로 측정하였다. 자외선-B의 조사 량은 0.5, 1과 3 MED 였으며, 측정 및 관찰은 조사전과 조사 후 1, 3, 5, 7 및 14일에 수행하였다. TEWL은 Evaporimiter로, 주름살밀도는 silicone replica와 image-analyz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조사전과 0.5MED 그룹들의 TEWL값은 변화가 없었으나, 1과 3MED그룹들의 TEWL값은 현저한 변화를 보여 3일째에 극대 값을 보였고, 이후 감소하기 시작하여 14일째에는 거의 정상 값에 도달하였다. 반면 주름살밀도는 자외선-B의 조사량에 비례하는 경향을 보여 모든 조사 그룹에서 3-5일째까지 감소한 후 서서히 증가하였다. 결과로부터, 1) 자외선 조사 후 시간에 따른 TEWL과 주름살밀도의 최대, 소 값은 3일째에 나타났으며, 2) 주름살밀도의 회복정도가 조사량에 상관없이 시간에 따라 일정한 기울기를 보였으며, 3) 주름살밀도측정만이 Sub-erythemal 손상의 정도차를 유의하게 보여주었다.

  • PDF

호염 미생물(Haloarcula vallismortis) 용해물의 자외선유발 피부변화에 대한 효과 (Effect of Halophilic Bacterium, Haloarcula vallismortis, Extract on UV-induced Skin Change)

  • 김지형;신재영;황승진;김윤선;김유미;길소연;진무현;이상화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41-350
    • /
    • 2015
  • 피부는 외부 유해물질로부터 내부기관을 보호하는 장벽기능을 하는 대표적인 기관으로 자외선(ultraviolet radiation, UV), 중금속, 각종 산화 물질들과 같은 외부의 위협에 항상 노출되어 있어 손상을 받기 쉽다. 특히 자외선 B (UVB)는 진피의 상부까지 도달하여 화상이나 홍반과 같은 염증반응을 일으키며 멜라닌 생성을 촉진시켜 색소 침착을 유발한다. 지나친 자외선 B의 피부세포로의 유입은 각질세포 및 진피 섬유아세포의 DNA손상을 야기하고, 세포외기질의 합성을 방해하여 피부탄력감소, 주름생성, 진피 결합조직의 손상과 함께 피부장벽을 붕괴시켜 노화를 일으키며, 장기간 노출 시 심각한 피부 병변으로 이어져 피부세포 사멸 및 종양의 발생으로까지 이어진다. Haloarcula vallismortis는 사해로부터 분리 동정한 미생물로 호염성 고생물의 생장적 특징은 아직 자세히 연구된 바는 없다. 대게 10% 이상의 염도에서 자라는데 실제 생장염도는 평균 20 ~ 25% 염도에서 자란다. 염도가 높은 호수나 염전에서 주로 발견되기 때문에 강한 햇빛에 대한 방어기작이 존재한다. 그중 하나로 다른 ATP를 생성하기 위한 bacteriorhodopsin외에 halorhodopsin이라는 색소를 이용, 광자(photon)를 흡수하고 염화이온 채널을 개방시켜 생기는 전위차를 이용해 추가로 에너지를 생산한다. 또 carotenoid 색소로 인해 농도가 높을시 분홍색 또는 빨간색을 띄는 특징이 있는데 이것이 강한 자외선에 대한 방어기작을 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본 연구는 호염성 고세균이 자외선을 에너지 소스로 이용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방어하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이들의 피부각질세포에서 자외선에 의한 항염 효과 및 DNA 손상 방어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들을 천연 자외선 차단제의 소재로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치마버섯을 이용한 진피 발효 배양물의 항산화 및 항염 효과 (Anti-Oxidant Effect and Anti-Inflammatory of Fermented Citrus unshiu Peel Extract by using Schizophyllum commune)

  • 송민현;배준태;고현주;장용만;이종대;이근수;표형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51-356
    • /
    • 2011
  • 감귤은 국내 및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많이 즐기는 식품 중 하나이며, 이러한 감귤류의 껍질을 건조시킨 것을 진피라고 한다. 이러한 진피는 한방에서는 이뇨작용, 비장기능을 강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천연 플라보노이드를 다량 함유하고 있어 학계에서 여러 분야로 연구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플라보노이드 배당체를 함유한 진피 추출물을 ${\beta}$-glucosidase 효소를 이용하여 아글리콘(aglycone)으로 변환 할 수 있도록 치마버섯 배양을 실시하였다. 진피 발효 배양액을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UVA에 의한 광손상 보호능을 섬유아세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진피 발효 배양액은 COX-2, LOX-5와 같은 항염증 관련 대사에도 관여하여 염증완화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질 형성세포를 이용한 interleukin-$1{\alpha}$를 측정한 결과 진피발효배양액 처리군의 저해활성이 더 높았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진피발효 배양액은 피부에 대한 항염 및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사료된다.

파라벤류의 독성과 내분비계장애 효과 (Toxicity and Endocrine Disrupting Effect of Parabens)

  • 안혜선;나원흠;이재은;오영석;계명찬
    • 환경생물
    • /
    • 제27권4호
    • /
    • pp.323-333
    • /
    • 2009
  • 파라벤은 p-하이드록시 벤조산(p-hydroxybenzoic acid)의 알킬에스테르로, 비교적 빠르게 흡수, 대사 및 배설되는 살균성 보존제로 식품, 화장품, 약품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실제 인체는 파라벤 복합물에 노출된다. 파라벤의 안전성에 관한 연구결과들에 대한 고찰 결과 파라벤 종류에 따라 다양한 독성종말점을 대상으로 파라벤의 급성, 아급성 및 만성독성 영향은 비교적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파라벤은 에스트로젠 유사활성을 가지며 화장품을 통한 경피흡수를 통해 유방암과의 상관성이 보고되었으나, 이와 상반된 견해도 있다. 파라벤의 항안드로젠성은 남성생식기계의 장애를 유발할 수 있으나 이와 상반된 견해도 있다. 파라벤은 정자의 미토콘드리아 기능 및 남성호르몬 생성을 저해할 수 있으나 이와 상반된 견해도 있다. 배아발달에는 독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포독성으로는 세포용혈, 미토콘드리아 막투과성 변화, 세포사멸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수환경에서 파라벤은 환경에스트로젠으로 작동하여 어류에서 내분비장애 효과를 발휘한다. 결론적으로 파라벤은 저독성물질로 분류할 수 있으나, 인체 및 수생동물들에서 파라벤의 노출경로 및 농도, 사용기간 등에 따른 독성과 내분비계장애 효과에 대하여는 다양한 종말점을 대상으로 좀 더 구체적인 독성자료들이 요구된다.

노인 두경부 종양환자에서 노쪽아래팔유리피판술의 유용성 및 공여부 결과의 비교 (Versatility of Radial Forearm Free Flap on Head and Neck Cancer in Old-Aged Patient and its Donor Site Morbidity)

  • 이기응;고성훈;어수락
    •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 /
    • 제15권2호
    • /
    • pp.92-100
    • /
    • 2006
  • Radial forearm free flap (RFFF) has been established itself as a versatile and widely used method for reconstruction of the head and neck, although it is still criticized for high mortality of donor site. Delayed wound healing, cosmetic deformity, vascular compromise and potentially reduced wrist function have many plastic surgeons hesitate to adapt it as a first choice in micro-reconstruction. To overcome these drawbacks, some techniques for donor-site repair such as V-Y advancement with full thickness skin graft (FTSG), application of artificial dermis ($Terudermis^{(R)}$) or acellular dermal matrix ($AlloDerm^{(R)}$), and double-opposing rhomboid transposition flap have been reported. Authors performed 4 cases of RFFF in old-aged patients of the head and neck cancer from April 2005 to February 2006. We compared the outcomes of donor site of RFFF which were resurfaced with split thickness skin graft (STSG) only and STSG overlying an $AlloDerm^{(R)}$. Patients were all males ranging from 59 to 74 years old (mean, 67.5). Three of them had tongue cancers, and the other showed hypopharyngeal cancer. All cases were pathologically confirmed as squamous cell carcinomas. We included the deep fascia into the flap, so called subfascially elevated RFFF in three cases, and in the other one, we dissected the RFFF suprafascially leaving the fascia intact. The donor site of the suprafascially elevated RFFF was resurfaced with STSG only. Among three of subfascially elevated RFFFs, donor-sites were covered with thin STSG only in one case, and STSG overlying $AlloDerm^{(R)}$ in two cases. All RFFFs were survived completely without any complication. The donor site of the suprafascially elevated RFFF was taken well with STSG only. But, the partial graft loss exposing brachioradialis and flexor carpi radialis muscle was unavoidable in all the subfascially elevated RFFFs irregardless of $AlloDerm^{(R)}$ application. Considering that many patients of the head and neck cancer are in old ages, we believe the RFFF is still a useful and versatile choice for resurfacing the head and neck region after cancer ablation. Its reliability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could override its criticism for donor site in old-aged cancer patients.

  • PDF

육미지황탕 효능의 동의보감과 실험연구결과의 비교고찰 -한의학과 중의학을 중심으로- (The Comparative Effects of Yugmijihwangtang in Donguibogam and Experiment Research Results -Focusing on the Korean Medicine and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 한유창;김명동;이선동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23-251
    • /
    • 2017
  • Objectives : A lot of experiment results of Yugmijihwangtang(YM) are reported in various kinds of journals. Many of them report on the new effects that are not recorded in the traditional medical texts. So it is necessary to take it into consideration that newly reported effects could be of help to clinical practice, because this process of comparison of Donguibogam and scientific experiment results will have basis to lead into the evidence based medicine. Methods : We compared the effects of in Donguibogam and the experiment results of YM. Results : The effects of YM in Donguibogam are to replenish essence and marrow, and to treat red wen, fatigue, treat hypouresis, urinary sediment, urinary urgency, hematuria, hydrocephalus, speech and movement retardation, yin-deficiency, diabetes mellitus, nonalcoholic fatty liver, melanoma, disability to see near and far sight, tinnitus, hearing loss, alopecia, angiogenesis, cough, cough at night, trachyphonia, and, infantile convulsion. The experiment results of YM since 2000 in both Korea and China are to inhibit atopic dermatitis, renal interstitial fibrosis, anti-oxidant, emphysema, stress, glomerulosclerosis, diabetic nephropathy, chronic glomerulonephritis, hemorrhage, plantar sweating, dermal aging, kidney aging, bone loss, breast cancer, pathological myocardial cell, primary liver cancer, thrombosis, osteoporosis, intrauterine growth retardation, chronic renal failure, IgA nepropathy, slow cerebral development, and hippocampal tissue lesions on the one hand, and to help bone formation, renin-angiotensin- aldosterone system, cerebral recovery, cognitive function and expression, osteoblast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learning and memory, cold-tolerance and oxygen deficit-tolerance and anti-fatigue, endometrial formation, humoral and cell-mediated immunity, immune regulation effect, Hypothalamus-Pituitary-Ovary Axis, and spermatogenesis, on the other hand. Conclusion : When we compared the effects of YM with the experiment results of YM, there existed a considerable gap between them. So, from now on, it is expected that a great effort and consideration are needed to solve these gaps from an academic and clinical point of view.

토양선충 Caenorhabditis elegans를 이용한 나노독성 연구동향 (Research Trends for Nanotoxicity Using Soil Nematode Caenorhabditis elegans)

  • 김신웅;이우미;안윤주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4권12호
    • /
    • pp.855-862
    • /
    • 2012
  • Free-living 선충으로 알려진 Caenorhabditis elegans는 주로 토양 공극수에서 서식하며, 토양 영양단계, 에너지 흐름, 그리고 분해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들어, C. elegans는 나노독성연구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C. elegans를 이용한 나노독성과 그에 대한 기작에 관련된 선행연구를 조사하였으며, 총 20건의 연구를 확인하였다. 대부분의 연구는 K-medium, S-medium, 그리고 NGM (Nematode Growth Medium) plate를 노출매체로 이용하고 있으며, 나노물질에 노출된 C. elegans로부터 관찰된 영향으로는 노화억제, 광독성영향, 유전독성, 그리고 표피자극 등이 포함되었다. C. elegans를 이용한 독성기작 연구는 개체 생활사 영향 평가, 산화스트레스 영향 평가, 유전독성영향 평가, 나노물질의 생체 내 분포, 그리고 나노물질 특성에 의한 독성영향 평가로 분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세포활성, 잘 알려진 유전정보, 그리고 투명한 구조로 인한 나노물질 관찰의 용이성을 바탕으로, C. elegans를 이용한 나노독성연구의 장점을 확인하였다. C. elegans는 나노독성을 평가하기에 적합한 시험종으로 고려되고 있다.

케라틴 펩타이드에 의한 모발 및 두피 특성 변화 연구 (Study on Changes of Hair and Scalp Characteristics by Keratin Peptides)

  • 남개원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53-361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Fervidobacterium islandicum AW-1를 이용하여 케라틴 펩타이드를 생산하고, 두피 및 모발에 관련된 인자를 확인하여, 화장품 원료로서 케라틴 펩타이드의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모유두 세포주에 케라틴 펩타이드를 농도에 따라 세포 독성 및 증식을 살펴본 결과, 세포 독성은 나타나지 않았고, 세포증식에도 효과가 없었다. 케라틴 펩타이드를 함유한 헤어 샴푸, 헤어 에센스를 제조하여 인체 첩포 시험을 거쳐 무자극을 확인하였다. 30 명의 건강한 성인 피험자를 대상으로 4 주 동안 샴푸 및 에센스를 2 그룹으로 나누어 사용한 결과, 육안평가에서 윤기, 탈모, 두피 트러블, 푸석거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긍정적 결과를 나타내었다. 두피 수분량은 샴푸와 에센스 사용 전 대비 2, 4 주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두피에 대한 경피수분손실양은 에센스를 사용한 그룹에서 사용 전 대비 4주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두피 피지량 역시, 에센스를 사용한 그룹에서 사용 전 대비 4 주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정상 모발, 손상 모발을 이용한 헤어 샴푸와 에센스의 사용 전후의 빗질에 의한 마찰력을 측정한 결과, 사용 전 대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었다. 정상 모발의 경우, 사용 전보다 빗질의 마찰력이 증가하였고, 손상 모발의 경우 사용 전보다 빗질의 마찰력이 감소하였다. 이를 통해 케라틴 펩타이드는 모발 및 두피 관련한 제품에 사용할 수 있는 원료로 확인하였다.

불안정한 생체징후 하의 두피 결출상 환자의 치험례 (Treatment of Complete Scalp Avulsion with the Conditions of Unstable Vital Signs: A Case Report)

  • 이강우;강상윤;양원용;범진식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16-120
    • /
    • 2011
  • Purpose: Scalp avulsion is a life-threatening injury that may cause trauma to the forehead, eyebrows, and periauricular tissue. It is difficult to treat scalp avulsion as it may lead to severe bleeding. Therefore, emergency scalp replantation surgery is necessary, and we must consider the function, aesthetics, and psychology of the patients. A case of scalp avulsion leading to massive bleeding was encountered by these authors, which led to a failure to achieve the proper operation conditions in an adequate time period. Methods: A 49-year-old female was hospitalized due to having had her head caught in a rotatory machine, causing complete scalp avulsion which included the dorsum of the nose, both eyebrows, and ears. Emergent microsurgical replantation was performed, where a superficial temporal artery and a vein were anastomosed, but the patient's vital signs were too unstable for further operation due to excessive blood loss. Three days after the microanastomosis, venous congestion developed at the replanted scalp, and a medicinal leech was used. Leech therapy resolved the venous congestion. A demarcation then developed between the vitalized scalp tissue and the necrotized area. Debridement was performed 2 times on the necrotized scalp area. Finally, split-thickness skin graft with a dermal acellular matrix ($Matriderm^{(R)}$) was performed on the defective areas, which included the left temporal area, the occipital area, and both eyebrows. Results: The forehead, vertex, right temporal area, and half of the occipital area were successfully replanted, and the hair at the replanted scalp was preserved. As stated above, two-thirds of the scalp survived; the patient could cover the skin graft area with her hair, and could wear a wig. Conclusion: Complete scalp avulsion needs emergent replantation with microsurgical revascularization, but it often leads to serious vital conditions. We report a case with acceptable results, although the microanastomosed vessel was minimal due to the patient's unstable vital signs.

피부투과 기능성 펩타이드를 이용한 경피투과성 상피세포성장인자의 개발 (Development of Dermal Transduction Epidermal Growth Factor (EGF) Using A Skin Penetrating Functional Peptide)

  • 강진선;나하나;박선욱;엄효정;이병규;신희제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75-184
    • /
    • 2019
  • 상피세포성장인자(epidermal growth factor, EGF)는 인간의 표피 및 진피에서 세포막 수용체와 상호작용을 통하여 세포의 생장 및 증식을 유도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 같은 EGF의 기능은 의료 및 화장품 분야에서 상처치유 의약품 및 노화방지 화장품의 주요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화장품 원료로서 EGF는 피부장벽으로 알려져 있는 피부 각질층의 투과가 잘 안되기 때문에 가지고 있는 본연의 효능을 구현하는 데 문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EGF의 경피투과 효율을 개선하기 위하여 피부 투과능이 확인된 거대분자 전송 도메인(macromolecule transduction domain, MTD) 151이 융합된 형태로 재조합 인간 상피세포성장인자 ($MTD_{151}-EGF$)를 개발하였다. $MTD_{151}-EGF$의 유전자가 coding된 vector로 형질전환된 대장균에서 $MTD_{151}-EGF$ 발현시킨 후 정제를 진행하였다. 정제된 MTD-EGF를 대상으로 세포증식시험, 세포독성시험, 생체외 피부흡수시험 그리고 인공피부를 이용한 경피투과능을 평가하였다. 99% 이상 고순도로 정제된 $MTD_{151}-EGF$의 세포증식 활성은 EGF 대비 동등 이상의 수준이었으며, 세포독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인공피부 투과모델에서 FITC로 표지된 EGF와 $MTD_{151}-EGF$의 진피층까지의 투과를 공초점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MTD_{151}-EGF$는 EGF 대비 우수한 투과능을 보였으며, 경피흡수 시스템을 이용한 투과물질의 정량분석 결과, EGF 대비 약 16 배 이상 투과량이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다양한 활성물질들의 화장품용 원료로서의 경피투과에 MTD가 기존의 물리적인 경피투과 방법을 효율적으로 개선한 대안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