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polarization ratio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8초

선포토미터 데이터를 이용한 편광소멸도 산출과 라이다 편광소멸도와의 비교 (Retrieval of Depolarization ratio using Sunphotometer data and Comparison with LIDAR Depolarization ratio)

  • 김관철;최성철;노영민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97-10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일본 오사카에서 AERONET 선포토미터로 관측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440, 675, 870, 1020 nm 파장에서의 입자 편광소멸도를 산출하였다. 산출된 결과는 같은 지역에서 측정된 라이다 자료로부터 얻어진 532 nm에서의 입자 편광소멸도와 비교하였다. 두 값은 440 nm를 제외하고는 잘 일치되는 결과를 보였고, 상관계수($R^2$)는 440, 675, 870, 1020 nm에서 각각 0.28, 0.81, 0.88 0.89의 값을 보였다. 가장 높은 상관계수를 보인 1020 nm에서의 입자 편광소멸도를 기준으로 값의 변화에 따른 입자의 혼합정도를 확인하였을 때, 순수 황사의 경우 높은 편광소멸도를 보이고 오염입자가 혼합될수록 값이 낮아짐을 보였다. 이는 단산란 알베도와 입자 크기 분포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황사 발원지에서 선포토미터를 활용한 에어로졸의 광학적 특성 산출과 미세먼지속 황사구분 (Aerosol Optical Properties Retrieval and Separation of Asian Dust using AERONET Sun/Sky Radiometer Measurement at the Asian Dust Source Region)

  • 신동호;노영민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45-251
    • /
    • 2016
  • 황사의 주요 발원지인 중국 북부 둔황지역에 선포토미터를 설치하여 440, 675, 870 그리고 1020 nm 채널에서 황사의 파장별 입자편광소멸도를 산출하였다. 이와 함께 발원한 황사가 장거리 수송과정에 위치한 제주 고산과 일본 오사카에 설치된 선포토미터를 함께 분석하였다. 황사 발원지에서 1020 nm 파장에서 입자편광소멸도가 0.34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또한, 초미세먼지농도가 증가하는 경우 입자편광소멸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우리는 본 연구에서 선포토미터의 입자편광소멸도 산출을 통해 에어로졸에서 황사의 구성 비율이 변화함을 확인하였다.

Assessment of the Intermolecular π-π Configurations of Poly(3-Hexylthiophene) using Polarized Raman Spectroscopy

  • Juwon Kim;Myeongkee Park
    • 대한화학회지
    • /
    • 제68권3호
    • /
    • pp.146-150
    • /
    • 2024
  • Precise molecular configuration elucidation of poly(3-hexylthiophene) (P3HT) through advanced spectroscopic techniques is pivotal for enhancing P3HT-based photovoltaic device efficiencies since its high charge-carrier mobility is directly correlated to its well-ordered structure. In this study, we examine Raman depolarization ratios of annealed and non-annealed P3HT films to elucidate their intermolecular π-π configurations.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backbone of the annealed film possesses stronger π-π conjugation overlaps than that of the non-annealed film owing to the greater depolarization ratio of the annealed film. In addition, the depolarization ratios are also supported by theoretical calculations, where parallel-stacked thiophene structures display a higher depolarization ratio compared with that of twisted-stacked structures, as calculated by the Møller-Plesset perturbation theory. This study highlights the utility of polarized Raman spectroscopy as a versatile tool for assessing the degree of molecular order in highly conjugated polymer films.

1994년 봄철의 LIDAR관측을 통한 황사특성 (Properties of Yellow Sand with a Lidar Measurement in Spring 1994)

  • 權成顔;岩坂泰信;紫田降;金潤信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15-321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report is to describe the lidar measurement of depolarization ratios of particulate matter (Depolarization Ratio of Yellow Sand) and to discuss the transformation of aerosols due to Yellow Sand event. The scattering profile shows high level during Yellow Sand event and scattering layers are thicker as compared to other seasons in about 3 .sim. 8km, and the values and mode height of scattering ratio corresponed with depolarization ratio. A distribution of total depolarization ratio during the observation period was 44.7 percent among total cases of 0.03 < Dt < 0.5 with scattering ratio > 30 and relative humidity < 30 was satisfied (popular Yellow Sand type).

  • PDF

Size Effect of Light Scattering on the Nano-Sized Color Filter Pigment in Liquid Crystal Display

  • Jhun, Chul Gyu;Gwag, Jin Seog
    •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 /
    • 제18권2호
    • /
    • pp.184-187
    • /
    • 2014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article size on the light scattering of a nano-sized color filter pigment used to obtain a range of colors in liquid crystal displays. The contrast ratio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liquid crystal displays. When a color filter is located between two crossed polarizers, the size of the pigment can give rise to a decrease in the contrast ratio due to Rayleigh scattering by the nanoparticles in the filter. The size effect of the color filter pigment on the contrast ratio was investigated in terms of the depolarization parameter. As an experimental result, the depolarization parameter increased with decreasing pigment size. Therefore, a smaller pigment size can reduce light leakage caused by light scattering in the color filter between two crossed polarizers. The depolarization function was also proposed as a useful function for predicting the decrease in the contrast ratio of the color filter.

대기 에어로졸 고도 분포와 선포토미터 편광소멸도와의 연관성 연구 (Retrieval of Depolarization ratio using Sunphotometer data and Comparison with LIDAR Depolarization ratio)

  • 이경화;김관철;노영민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33-139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제주 고산과 공주에서 AERONET 선포토미터로 관측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440, 675, 870, 1020 nm에서의 입자 편광소멸도를 산출하였다. 산출된 결과는 같은 지역에서 측정된 라이다 자료로부터 얻어진 532 nm에서의 입자 편광소멸도와 비교하여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선포토미터와 동 시간대에 라이다로 측정된 고도별 편광소멸도의 분석을 통하여 2 km 이상 상층으로 많은 양의 황사가 이동할 때 높은 편광소멸도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대적으로 낮은 편광소멸도가 측정된 경우에도 대기 상층에서 황사가 많이 이동하는 경우를 확인하였다. 2 km 이하 하층의 경우에는 유입되는 황사가 적거나 오염 입자와의 혼합으로 상층에 비하여 낮은 편광소멸도를 보였다.

구름, 에어로솔의 라이다 계측 편광 소멸도 분석 (Analysis of aerosol and cloud depolarization ratios measured by lidar)

  • 박찬봉;이영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42-444
    • /
    • 2012
  • 이중 편광 라이다로 계측된 에어로솔과 구름의 편광소멸도를 분석하였다. 구름과 먼지, 그리고 구형 에어로솔에 대한 1064 nm와 532 nm의 파장별 후방산란비의 비(RDR)를 각각 비교하였다. 구형 에어로솔의 경우 RDR 값은 1.5~6, 먼지는 0.98~4, 그리고 구름의 경우에는 0.7~1.77의 값을 나타내었다. 먼지의 수직분포와 상대습도를 비교하였다. 평균적으로 30~60%의 상대습도가 먼지층에 분포하였다. 하지만 70%이상의 값도 빈번히 계측되었으고, 이의 경우 먼지에 대한 RDR 값은 2~4 정도로 증가하였다.

  • PDF

라만-탄성 라이다를 이용한 황사 및 오염 에어러솔의 라이다 비 측정 연구 (Measurements of the Lidar Ratio for Asian Dust and Pollution Aerosols with a Combined Raman and Back-scatter Lidar)

  • 윤순창;이영지;김상우;김만해
    • 대기
    • /
    • 제20권4호
    • /
    • pp.483-494
    • /
    • 2010
  • The vertical profiles of the extinction coefficient, the backscatter coefficient, and the lidar ratio (i.e., extinction-to-backscattering ratio) for Asian dust and pollution aerosols are determined from Raman (inelastic) and elastic backscatter signals. The values of lidar ratios during two polluted days is found between 52 and 82 sr (July 22, 2009) and 40~60 sr (July 31, 2009) at 52 nm, with relatively low value of particle depolarization ratio (<5%) and high value of sun photometer-derived Angstrom exponent (> 1.2). However, lidar ratios between 25 and 40 sr are found during two Asian dust periods (October 20, 2009 and March 15, 2010), with 10~20% of particle depolarization ratio and the relatively low value of sun photometer-derived Angstrom exponent (< 0.39). The lidar ratio, particle depolarization ratio and color ratio are useful optical parameter to distinguish non-spherical coarse dust and spherical fine pollution aerosols. The comparison of aerosol extinction profiles determined from inelastic-backscatter signals by the Raman method and from elastic-backscatter signals by using the Fernald method with constant value of lidar ratio (50 sr) have shown that reliable aerosol extinction coefficients cannot be determined from elastic-backscatter signals alone, because the lidar ratio varies with aerosol types. A combined Raman and elastic backscatter lidar system can provide reliable information about the aerosol extinction profile and the aerosol lidar ratio.

지상 라이다를 이용한 대기중 꽃가루 분포 실시간 모니터링 (Instantaneous Monitoring of Pollen Distribution in the Atmosphere by Surface-based Lidar)

  • 노영민;;이권호;최영진;김규랑;이한림;최태진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9
    • /
    • 2012
  • 대기중의 꽃가루를 원격 탐사 기술을 이용하여 실시간 연속적으로 수행한 연구는 현재까지 전무하다. 본 연구는 지상 라이다 원격 탐사 기술을 이용하여 꽃가루 대기 분포의 일변화를 실시간 연속적으로 모니터링 하였다. 지상 라이다를 이용한 관측은 5월 4일부터 6월 2일까지 광주과학기술원에서 지속적으로 수행되었다. 라이다 데이터의 소산계수 분석을 통하여 대기 에어러솔의 분포를 확인하고 편광소멸도를 이용하여 입자의 비구형성을 확인하였다. 관측 기간 중 5월 4일부터 9일까지 일출 이후 09시경부터 편광소멸도 값이 0.08에서 0.14로 높은 값이 지표면 가까이부터 관측되기 시작하여 정오경에 1.5 - 2.0 km까지 고도가 증가하다 이후 감소하기 시작하여 일출시간(18시 이후)에 사라지는 현상이 관측되었다. 이 때 일별 꽃가루 농도는 $1,000m^{-3}$ 이상의 높은 농도를 보여 편광소멸도의 증가가 꽃가루로부터 유발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라이다 편광소멸도 관측과 기상 자료와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수목류가 방출한 꽃가루는 지표면 기온이 상승하고 대기 중 상대습도가 낮아지는 낮 시간 동안 대기경계층 고도까지 상승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기온의 하강과 상대습도의 증가, 그리고 풍속이 감소하면서 꽃가루의 관측 고도는 낮아져 늦은 오후 시간대부터는 꽃가루가 대기 중에서 사라지는 일정한 일변화 형태를 보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영동지역 겨울철 스캔라이다로 관측된 강수 이전 운저 인근 수상체의 광학 특성 분석 (Analysis of Optical Characteristic Near the Cloud Base of Before Precipitation Over the Yeongdong Region in Winter)

  • 남형구;김유준;김선정;이진화;김건태;안보영;심재관;전계학;최병철;김병곤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4권2_1호
    • /
    • pp.237-248
    • /
    • 2018
  • 본 연구에서 영동지역 강수 전(2016년 12월 13일) 운저 고도인근 수상체 분포를 스캐닝 라이다와 레윈존데 자료 및 구름분해모델(Cloud Resolving Storm Simulator; CReSS)의 모의 결과를 통해 분석하였다. 강수 전운저 인근에서 관측된 라이다의 연직 후방산란 신호와 평광비 프로파일은 유사한 특징을 보였다. 이를 모델의 재현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찬 구름 내부(< $0^{\circ}C$)에 존재하는 운빙(ice), 눈(snow)과 운저 인근에 형성된 과냉각 수 적층, 운저 아래에서 낙하하는 부착(rimed)형 눈의 존재를 관측한 결과라 판단된다. 또한, 고도에 따른 광학속성 프로파일의 변화 형태에 따라 연직으로 구간을 세분화하여 연직 수상체의 형상과 밀도에 대해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