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parture time

검색결과 304건 처리시간 0.035초

DGPS를 이용한 GIS기반의 차선 이탈 검지 연구 (Detecting Lane Departure Based on GIS Using DGPS)

  • 문상찬;이순걸;김재준;김병수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16-24
    • /
    • 2012
  •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utilizing Differential Global Position System (DGPS) with Real-Time Kinematic (RTK) and pre-built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to detect lane departure of a vehicle. The position of a vehicle measured by DGPS with RTK has 18 cm-level accuracy. The preconditioned GIS data giving accurat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raffic lanes is used to set up coordinate system and to enable fast calculation of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vehicle within the traffic lanes. This relative position can be used for safe driving by preventing the vehicle from departing lane carelessly. The proposed system can be a key component in functions such as vehicle guidance, driver alert and assistance, and the smart highway that eventually enables autonomous driving supporting system. Experimental results show the ability of the system to meet the accuracy and robustness to detect lane departure of a vehicle at high speed.

차량 종류 및 운전자 인지반응 시간을 이용한 LDWS 경고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arning Characteristics of LDWS using Driver's Reaction Time and Vehicle Type)

  • 박환서;장경진;유송민
    • 자동차안전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3-18
    • /
    • 2016
  • More than 80 percent of traffic accidents related with lane departure believed to be the result of crossing the lane due to either negligence or drowsiness of the driver. Lane-departure related accident in the highway usually involve high fatality. Even though LDWS is believed to prevent accident 25% and reduce fatalities by 15% respectively, its effectiveness in performance is yet to be confirmed in many aspects. In this study, the vehicle lateral locations relative to warning zone envelop (earliest and latest warning zone) defined in ISO standard, ECE and NHTSA regulations are compared with respect to various factors including delays, vehicle speed and vehicle heading angle with respect to the lane. Since LDWS is designed to be activated at the speed over 60 km/h, vehicle speed range for the study is set to be from 60 to 100 km/h. The vehicle heading angle (yaw angle) is set to be up to 5 degree away from the lane (abrupt lane change) considering standard for lane change test using double lane-change test specification. The TLC is calculated using factors like vehicle speed, yaw angle and reaction time. In addition, the effect of vehicle type and reaction time have been considered to assess LDWS safety.

IoT 시스템을 위한 시간 동기화 방식 기반 SEED 알고리즘 (One Time Password-Based SEED Algorithm for IoT Systems)

  • 이성원;박승민;심귀보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2권9호
    • /
    • pp.766-772
    • /
    • 2016
  • Recent advances in networking and computers, especially internet of things (IoT) technologies, have improved the quality of home life and industrial sites. However, the security vulnerability of IoT technologies causes life-threatening issues and information leakage concerns. Studies regarding security algorithms are being conducted. In this paper, we proposed SEED algorithms based on one time passwords (OTPs). The specified server sent time data to the client every 10 seconds. The client changed the security key using time data and generated a ciphertext by combining the changed security key and the matrix. We applied the SEED algorithms with enhanced security to Linux-based embedded boards and android smart phones, then conducted a door lock control experiment (door lock & unlock). In this process, the power consumed for decryption was measured.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OTP-based algorithm was measured as 0.405-0.465W. The OTP-based algorithm didn't show any difference from the existing SEED algorithms, but showed a better performance than the existing algorithms.

가중선형회귀를 통한 순항항공기의 궤적예측 (En-route Trajectory Prediction via Weighted Linear Regression)

  • 김소윤;이금진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4-52
    • /
    • 2016
  • The departure flow management is the planning tool to optimize the schedule of the departure aircraft and allows them to join smoothly into the overhead traffic flow. To that end, the arrival time prediction to the merge point for the cruising aircraft is necessary to determined. This paper proposes a trajectory prediction model for the cruising aircraft based on the machine learning approach. The proposed method includes the trajectory vectored from the procedural route and is applied to the historical data to evaluate the prediction performances.

상관적인 Batch 입력을 갖는 2-노드 Tandem 구조의 이산시간 대기 네트워크의 근사적 분석 (Approximate Analysis of the Discrete-time 2-Node Tandem Queueing Network with a Correlated Batch Input Traffic)

  • 박두영
    • 공학논문집
    • /
    • 제1권1호
    • /
    • pp.31-40
    • /
    • 1997
  • ATM망의 모델링에서 발생되어지는 D-BMAP/Geo/1/K queue의 departure 프로세스를 k-state MMBP로 특성화하는 근사화방법을 제시하고, 그 근사화방법과 decomposition algorithm을 이용하여 셀손실을 갖는 tandem 구조의 한정용량 대기 네트워크를 분석하였다.

  • PDF

도착시간 기준 기종점표를 이용한 동적통행배정 (Dynamic traffic assignment based on arrival time-based OD flows)

  • 김현명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43-155
    • /
    • 2009
  • 현재 이용되는 모든 동적 통행배정모형들은 출발시간을 기준으로 기종점간의 통행량을 정의하고 있다. 하지만, 동적 OD가 출발시간을 통행수요의 동적 기준점으로 이용하는 것은 동적 통행배정 모형의 계산상 편의를 위한 것이다. 즉, 통행이 활동참여를 위해 발생하고 종료된다는 것을 고려하면 이러한 출발시간 기준 기종점표는 모든 종류의 통행들에 적용될 수는 없다. 예를 들어, 오전의 출근통행은 업무개시시간을 고려한 희망도착시간이 기준시간이 되고, 통근자들이 가정을 떠나는 출발시간은 희망도착시간과 예상 기종점 통행시간을 고려해 결정되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 개발되어 있는 모든 통행배정기법들은 출발시간으로부터 시간의 흐름에 따라 기점에서 종점으로 통행을 이동시키기 때문에 통행수요를 종점 희망도착시간을 기준으로 역방향계산을 할 수 없다. 따라서 현실과 동일한 결정과정을 통해 동적 통행배정을 할 수 있는 모형은 아직 개발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인식 아래 희망도착시간을 기준으로 정의된 동적 기종점표를 교통망에 부하할 수 있는 동적 통행배정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형은 희망도착시간분포와 예상 경로 통행시간을 이용하여 출발시간분포를 갱신하는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GLS함수를 통해 수학식을 구성하였다. 개발된 모형은 두 가지의 소규모 교통망들에 적용되어 그 성능을 확인하였다.

항공기의 고도, 속도 및 깊은 실속의 회복을 위한 자동회복장치 설계 및 검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and Validation of Automatic Pitch Rocker System for Altitude, Speed and Deep Stall Recovery)

  • 김종섭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240-248
    • /
    • 2009
  • Modem version of supersonic jet fighter aircraft must have been guaranteed appropriate controllability and stability in HAoA(High Angle of Attack). The HAoA flight control law have two parts, one is control law of departure prevention and the other is control law of departure recovery support. The control laws of departure prevention for advanced jet trainer consist of HAoA limiter, roll command limiter and rudder fader. The control laws of departure recovery support are consist of yaw-rate limiter and MPO(Manual Pitch Override) mode. The guideline of pitch rocking using MPO mode is simple, but operating skill of pitch rocking is very difficult by the pilot with inexperience of departure situation. Therefore, automatic deep stall recovery system is necessary. The system called the "Automatic Pitch Rocker System" or APRS, provided a pilot initiated automatic maneuver capable of an aircraft recoveries in situations of deep stall, speed and altitude. This paper addresses the design and validation for APRS to recovery of an deep stall without manual pitch rocking by the pilot. Also, this system is designed to recovery of speed, attitude and altitude after deep stall recovery using ATCS (Automatic Thrust Control System) and autopilot. Finally, this system is verified by real-time pilot evaluation using HQS (Handling Quality Simulator).

정밀도로지도를 활용한 차로 이탈 경고장치 평가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Method of Lane Departure Warning System Using High-precision Maps)

  • 이정욱;김덕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81-199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정밀도로지도를 활용하여 자동차의 거동 정보와 정밀도로지도의 위치 관계를 계산하여 차로 이탈 경고장치의 성능을 평가하는 방법론을 도출하였다. 한국의 노면 표시 설치에 대한 기준과 차로 이탈 경고장치의 평가 기준에 대한 분석을 하고, 평가 기준에 맞는 정밀도로지도의 구축하고 평가 장치 을 구성하여 제안한 방법론에 대한 시험을 통해 제안한 방법론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정밀도로지도를 활용한 차로 이탈 경고장치의 평가는 정밀도로지도와 정밀차량위치를 이용한 데이터취득, 실시간 데이터 처리 및 이탈 판단 확인 절차 수행만으로 평가가 가능하고 다양한 도로 환경에 적용 가능하다.

해제시간에 따른 열차예매시간의 영향 분석: 경부선 KTX를 중심으로 (Analyzing Effects of the Ticket Release Time on Train Reservation Time: Focusing on KTX Gyeongbu-line)

  • 김수재;추상호;손병희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38-49
    • /
    • 2017
  • 일반적으로 철도운영기관에서는 수익성 극대화를 위해 티켓팅 해제시간을 적용하여 티켓을 판매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같은 해제시간이 KTX 예매행태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예매행태는 예매시간을 의미하며 예매시각과 출발시각의 차이로 계산하였다. 분석자료는 KTX 경부선 매표자료이며, 요일별 차이를 보기위해 평일(목요일)과 토요일, 일요일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예매시간에 미치는 요인으로 해제시각이외에 요일, 운행거리, 운행방향 등을 고려하였다. 분석결과, 대부분 출발 3시간 전에 티켓을 예매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말 상행노선 이용객의 경우 대부분이 출발 하루 전에 예매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해제시간 전에는 상행노선, 장거리 구간, 일요일인 경우에 예매시간이 길게 나타났으며, 반면에 해제시간 이후에는 일요일인 경우와 장거리 구간인 경우에 예매시간이 짧게 나타났다.

구간통행속도 추정을 위한 고속도로 검지기자료 처리기법 개발 (Quality of Departure Time Based On-line Link Travel Time Estimates)

  • 박동주;김재진;노정현;김상범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145-154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출발시각기준 실시간 링크통행시간 추정정보의 질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통행시간 정보의 질을 정확성(추정오차)과 신속성(시간처짐) 측면에서 평가하였다. 그리고 통행시간 정보의 질과 링크길이 및 혼잡수준과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분석결과, 출발시각기준 실시간 링크통행시간 추정정보의 정확성과 신속성은 서로 상충관계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정확성을 나타내는 '추정오차' 는 계통오차(systematic error)와 혼잡수준을 반영하는 평균자승오차(MSEE)로 구성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시간처짐은 '최소시간처짐', '혼잡에 의한 시간처짐', '갱신간격에 의한 시간처짐'으로 구분하여 평가하였다. 이를 실제 AVI자료에 적용한 결과, 링크길이와 혼잡수준에 관계없이 추정오차가 5%일 때, 시간처짐은 약 10분 정도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