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ntinal surface

검색결과 133건 처리시간 0.027초

미백 처리된 치아의 표면처리법이 레진과의 결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OOTH-WHITENING AGENT ON ENAMEL AND DENTIN - A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Y STUDY)

  • 최낙준;방몽숙;박하옥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451-469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effect of a bleaching agent on tooth surfaces and to evaluate the resin bond strength according to different surface treatments on bleached teeth. To prepare for the experimental samples, first, extracted human third molars were used and the body portions of the crowns were cut into four equal-sized specimens. Next, each specimen was mounted in an plastic bottle with self-cured resin and highly polished to have them reveal the enamel or dentin surfaces. Then, the enamel(E) and dentin(D) specimens were divided into four ; 1) non-bleached, laser-treated(NBLA) group 2) bleached, laser-treated(BLLA) group 3) non-bleached, acid-treated(NBAC) group and 4) bleached, acid-treated(BLAC) group. Here, $opalescence^{(R)}$ (10% carbamide peroxide) was used for bleaching agent. The treated specimens were observed by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y and bonded with composite resin for shear bond test.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rom this experiment : 1. Compared with the ENB group, the EBL group was shown be dyed about $20{\mu}m$ deeper with rhodamine B. The DBL group appeared to be caved in at the entry part of the dentinal tubules, was dyed about $20{\mu}m$ deeper and $5{\mu}m$ wider in diameter, compared with the DNB group. 2. In comparison with the EBLAC group, the ENBAC group looked evenly bonded with the resin, while the DNBAC group, compared to DBLAC group, was observed to have its resin tags penetrated about $50{\mu}m$ deeper. Other than those, however, no observable differences between ENBLA and EBLLA group or between DNBLA and DBLLA group were found. 3, At the shear bond test, the ENBAC group was shown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shear bond strength than the EBLAC group(p<0.05).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NBLA and the EBLLA groups were observed(p>0.05). 4. At the shear bond test, the DNBAC group was shown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shear bond strength than the DBLAC group(p<0.05).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DNBLA and the DBLLA groups were observed(p>0.05). The in vitro observations above suggest that tooth-bleaching procedure brings a certain change on enamel and dentin surfaces and it weakens the shear bond strength with composite resin when the bleached tooth was acid-treated.

Hidden caries의 치험례 (HIDDEN CARIES: CASE REPORT)

  • 윤혜정;김성오;손흥규;최병재;이제호;송제선;최형준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532-536
    • /
    • 2010
  • Hidden caries는 임상 검사상 교합면이 매우 건전하거나 소량의 탈회만이 관찰되지만 방사선 사진 상에서 상당 수준 진행된 상아질 우식이 발견되는 경우를 일컬으며 Covert caries, Occult caries, Fluoride syndrome 등이 동의어로 사용되고 있다. 발생 원인으로는 불소의 영향, 세균의 종류 및 세균 영양분 공급 경로의 차이, 열구 기저면으로부터 시작된 우식증, 맹출 전우식증 등의 주장들이 제기되고 있지만 현재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고 있지 않다. 본 증례는 임상 및 방사선 사진 검사에서 Hidden caries를 발견한 두 환아들의 치험례로 두 증례 모두에서 깊은 상아질 우식을 보여 각각 치근단 형성술과 간접치수복조술을 시행하였다. 교합면이 비교적 건전해 보이는 특징 뿐만 아니라 Hidden caries의 우식 상아질은 임상적으로 관찰 가능한 우식에서 채취한 우식 상아질에 비해 밝은 색을 띄는 특징이 있어 시진으로 관찰하기 더욱 어려운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증례와 같이 진행된 우식병소로 인해 임상증상이 발현된 후에야 이를 발견하게 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정기적인 방사선 검사와 함께 Diagnodent.. 등과 같은 최신의 우식 진단도구들의 사용으로 우식병소의 조기진단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무수치 표백시술시 치경부를 통한 표백제 누출량의 정량적 측정 (IN VITRO DETERMINATION & QUANTIFICATION OF HYDROGEN PEROXIDE PENETRATION DURING NONVITLAL BLEACHING)

  • 박수경;이정식;최한석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1권1호
    • /
    • pp.19-34
    • /
    • 1996
  •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intracoronal bleaching of pulpless teeth may result in cervical root resorption. Several authors postulated that bleaching agents such as hydrogen peroxide penetrated through the dentinal tubules to damage the surrounding tissues that cause cervical root resorp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on in vitro model for direct determination of hydrogen peroxide penetration through CEJ during nonvital bleaching. In addition, this model permit the quantification of the amount of hydrogen peroxide penetrated during the procedure. Freshly extracted intact premolars, removed for orthodontic reasons were used. Root canal treatment was performed in each tooth. And then the outer surface and crown portion of the teeth was sealed with wax leaving the CEJ. The prepared teeth mounted on the wax laminates were placed in plastic assay tubes containing 1.5ml bidistilled water with their entire root, including the CEJ, submerged in the solution. The teeth were dividied into four groups. Thermo group : thermocatalytic bleaching with superoxol Walk group: walking bleaching with sodium perborate & superoxol Combi group : combination of thermocatalytic & walking bleaching Dw group : walking bleaching with sodium perborate & water The bleaching procedure was performed three times. The bleaching intervals were at 3 days. The hydrogen peroxide present in the assay system was added to ferrous ammonium sulfate resulting in ferric ion release. Upon the addition of potassium thiocyanate a ferrithiocyanate complex results, which absorbs light at the wavelength of 467nm. The radicular penetration of hydrogen peroxide in the four groups was assessed directly using spectrophotometer. The amount of hydrogen peroxide in the samples tested is determined by comparing them with a standard curve generated by known amounts of hydrogen peroxide.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 1. In all experimental groups except the Dw group showed lower penetration amount in day 4 than day 1, there was statistical importance in the difference (P<0.05). 2. After 3rd treatment, Thermo group showed slightly increased value and narrow distribution. Walk group showed much more penetration amount and widely dispersed value. Value of Combi group showed wide distribution without regard to treatment time, but value of Dw group evenly distributed. 3. Thermo group, Walk group and Dw group showed a tendency of increasing penetration amount with increasing treatment times(P<0.01), but Combi group revealed no statistically important differences. 4. Combi group showed the highest degree of penetration. Walk group showed lower penetration than Combi group. Thermo group & Dw group showed lower than Walk group. 5. Cervical root permeability to hydrogen peroxide varied from 0 to 35 %.

  • PDF

수종 Automixing 레진시멘트의 물성과 상아질에 대한 전단결합강도 (Physical Properties of Different Automixing Resin Cements and the Shear Bond Strength on Dentin)

  • 송창규;박세희;김진우;조경모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5권4호
    • /
    • pp.437-44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여러 automixing 레진시멘트의 물성과 상아질에 대한 전단결합강도를 평가, 비교하고자 하였다. Self-adhesive automixing 레진시멘트인 Rely-X Unicem(3M ESPE, St. Paul, USA), Embrace resin cement(Pulpdent, Oakland, USA)와 chemical polymerizing automixing 레진시멘트인 Resiment Ready-Mix(J.L.Blosser Inc., Liberty Missouri, USA)를 사용하였다. 물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레진시멘트를 테프론 주형에 주입한 후 자가중합을 시키고 24시간 동안 빛이 차단된 상태로 100% 상대습도에 보관 후 만능 시험기를 이용하여 압축강도, 간접인장강도, 굴곡강도를 측정하였다. 상아질에 대한 전단결합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발거한 하악 제3대구치의 협측 상아질을 노출 시킨 후 일정한 크기로 레진시멘트를 부착시킨 뒤 만능 시험기를 이용하여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SPSS Ver 12.0(SPSS Inc., Chicago, IL, USA)을 사용하여 95% 유의수준에서 One way ANOVA test로 분석하였으며 Scheffe test로 사후검정 하였다. 연구결과, chemical polymerizing automixing 레진시멘트가 self-adhesive automixing 레진시멘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물리적 성질과 상아질에 대한 전단결합강도를 보였다.

오염된 유치 상아질에 대한 자가 부식 프라이머의 결합강도에 관한 연구 (SHEAR BOND STRENGTH OF SELF-ETCHING PRIMER SYSTEMS TO CONTAMINATED DENTIN IN PRIMARY TEETH)

  • 서주희;이광희;김대업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07-114
    • /
    • 2002
  • 연구목적은 자가부식 프라이머의 적용 시기에 따른 타액과 혈액 오염에 대한 결합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유치 시편을 각각 10개씩 제작하여 대조군, 접착전 타액 오염, 접착제 중합후 타액 오염, 접착전 혈액 오염, 접착제 중합후 혈액 오염된 상황으로 2가지 종류의 자가부식 접착제와 복합레진을 적용하여 만능 물성 시험기로 전단결합강도를 측정, 분석하였다. 접착제 적용전 타액 오염(I군)시에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결합력이 유사하거나 약간 감소되었으나, 통계학적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접착후 타액 오염(II군)이나 접착 전후의 혈액 오염(III, IV군)시 유의하게 결합력이 감소하였다. (P<0.01). Clearfil SE Bond가 AQ Bond보다 유의하게 높은 결합강도를 보였다(P<0.05).

  • PDF

진동이 상아질 결합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F ADDITIONAL VIBRATION EFFECT ON DENTIN BOND STRENGTH)

  • 이진;김정욱;이상훈;김종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632-640
    • /
    • 2002
  • 초음파 진동을 치의학에 처음 이용한 것은 치석 제거기였으나, 최근에는 주조금속과 레진 인레이를 접착할 때, 인산아연시멘트나 레진시멘트의 점도를 낮추는데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초음파 진동은 재료의 흐름성을 증가시킴으로써 피막도를 낮추고, 따라서 수복물 주위의 미제누출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복합레진의 수복에 있어서 이러한 초음파 진동의 임상적 효과에 관한 연구가 아직까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저자는 초음파 진동을 상아질 결합제에 적용하여 점도를 감소시킴으로써 상아세관으로의 레진 침투 정도의 변화와 결합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발거 후 실온의 0.1% thymol 용액에 보관된 88개의 건전한 사람의 대구치를 치관부 법랑질을 제거하고 아크릴 레진을 이용하여 직경 1-inch의 PVC 관에 매몰하였다. 각 시편의 교합면이 아크릴봉과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220-, 500-grit의 연마지로 순차적으로 연마하였고, 무작위로 추출하여 각 군당 22개씩 네 군으로 분류하였다. 1군과 2군은 Single Bond(3M-ESPE, St. Paul, USA)를 3군과 4군은 One-Step(Bisco Inc., Schaumburg, USA)을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치면을 산부식, 수세, 건조한 후 연속하여 2번을 도포하였다. 2군과 4군은 초음파 치석제거기를 이용하여 치면에 대고 10 초간 진동을 가한 후 광중합하였다. 이후 직경 2.3mm, 높이 3.5mm의 Teflon mold(Ultradent Products Inc., South Jordan, USA)를 이용하여 복합레진을 충전한 후 40초씩 두 번에 나누어 광중합하였다. 모든 시편은 24시간 동안 실온의 수도물에 보관한 후 열순환을 시행하고, 만능측정기(Instron 4465, Canton, USA)로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였으며 resin tag의 양상을 비교하기 위해 각 군의 시편의 치질을 탈회시킨 후에 표면을 주사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초음파 진동을 가하지 않은 1군, 3군에 비해 초음파 진동을 가한 2군과 4군에서 전단결합강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2. Single Bond와 One-Step의 전단결합강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3. 전자현미경 관찰에서 초음파 진동을 가한 군에서 resin tag의 길이가 길었고, lateral branch의 수도 많이 관찰되었다.

  • PDF

온도자극이 충전된 치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RMAL STIMULI TO THE FILLED TOOTH STRUCTURE)

  • 백병주;노용관;이영수;양정숙;김재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339-349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수복에 따른 치질 내부 구조물의 열적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와동이 형성된 인공 치아모형에 아말감충전, 아말감과 스테인레스 스틸관 수복, 금인레이와 금관수복, ZOE 이장 및 아말감충전 등으로 수복한 후 온도변화를 관찰하였다. 각 실험군에 $4^{\circ}C$$60^{\circ}C$로 2초와 4초 동안 자극을 가한 후 치아내부의 온도분포를 2차원적으로 분석하였고, 치수 중앙부에서 외측으로 층을 형성하여 3차원적인 해석을 시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4^{\circ}C$의 자극이 2초간 가해진 아말감 충전 경우, 아말감 충전과 스테인레스 스틸관을 장착한 경우에서는 $1^{\circ}C$ 내외의 차이를 보였으며, 치수와 상아질 경계면에서 3초 경과시에 $29^{\circ}C$까지 급격한 온도 하강을 보였으며 9초 후에 $25^{\circ}C$에 도달하였다. 또한 금으로 수복한 경우에서는 3초 후 $25^{\circ}C$까지 하강하여 그 온도를 유지하였으며, ZOE 이장 경우에서는 최저온도가 $4^{\circ}C$ 이상 높게 나타났다. 2. $4^{\circ}C$ 자극을 4초간 가한 경우에서는 9초 후에서 2초 자극시보다 $2-3^{\circ}C$ 낮았으며, 금 수복 경우에는 5초 후에 $21^{\circ}C$의 최저온도를 보인 후 점차 회복되었다. 3. 아말감 충전 및 스테인레스 스틸관을 같이 장착한 경우에 $60^{\circ}C$, 2초간 자극에는 3초 후 $40^{\circ}C$의 온도로서 상승하였으나 9초 후에 $30^{\circ}C$로 하강 하였으며, 금 수복에서는 2초 후 $41^{\circ}C$까지 온도가 상승하였고, 9초 후 $28^{\circ}C$를 보여 $13^{\circ}C$의 차이가 있었다. ZOE 이장 경우에는 온도차이가 $5^{\circ}C$로서 안정된 양상을 보였다. 4. $60^{\circ}C$, 4초 자극에 대한 아말감 충전 및 스테인레스 스틸관을 같이 장착한 경우에서 5초 후 $42^{\circ}C$, 9초 후 $35^{\circ}C$를 보였으나 금 수복 경우에서는 3초 후 $49^{\circ}C$, 9초 후 $31^{\circ}C$의 온도변화를 나타내었다. 5. 3차원 분석에서 치수 중앙부에서 멀어질수록 온도변화가 심하였다.

  • PDF

다양한 농도의 테트라사이클린로 처리된 치근면이 치주인대세포의 증식과 전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VARIOUS TETRACYCLINE HCL CONCENTRATION TREATED ROOW SURFACES ON PROLIFERATION AND SPREADING OF PERIODONTAL LIGAMENT CELLS)

  • 정오철;서조영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4권3호
    • /
    • pp.581-596
    • /
    • 1994
  • 치근활택술만 시행한 군과 치근활택술후 테트라사이클린 25, 50, 75, 100, 150mg/ml 농도로 5분간 처리한 군 사이에 치근면에서의 치주인대세포에 대한 증식 및 전개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심한 치주질환으로 이환된 치아를 발치하여 철저한 치근활택술을 시행한 후 치주질환에 이환된 치근면만을 이용하여 치근절편을 제작하였다. 5분간 절편을 각 농도별로 침수시킨 후 세포증식률을 알아보기 위해 각 절편을 24 well 조직배양기에 넣고 $1{\times}10^5$개의 치주인대세포를 가진 배양액 1ml씩을 넣어 6시간동안 배양 후, 새로운 배양기에 옮기고 24, 48, 72시간동안 배양하여 0.05% trypsin/0.02% EDTA로 처리하고 세포를 분리하여 광학위상차현미경을 이용하여 세포수를 측정하고 단위치근면적당 세포수를 계산하였다, 세포증식률의 실험에서는 24, 48, 72시간 모두에서 치근활택술군, 테트라사이클린 25, 150, 50, 75, 100mg/ml 처리군 순으로 세포 수가 증가함을 보였으며 각 군 모두에서도 시간경과에 따라 부착세포수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24시간에서는 치근활택술군과 테트라사이클린 75mg/ml, 100mg/ml 처리군 사이, 48시간에서는 치근활택술군과 테트라사이클린 100mg/ml 처리군 사이, 72시간에서는 치근활택술군과 테트라사이클린 50, 75, 100mg/ml와 테트라사이클린 25mg/ml와 100mg/ml 사이에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을 보였다(p<0.05). 전반적으로 치근활택술군보다 테트라사이클린으로 처리한 치근면 특히 농도 100mg/ml 처리군에서 좋은 세포증식률을 보였으며 150mg/ml에서는 100mg/ml 처리군에 비해 세포 증식률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주사전자현미경 관찰에서는 세포배양 30분 후에는 치근활택술군에서는 세포외형이 전반적으로 구형을 보이면서 부착된 양상을 보였고 테트라사이클린 처리군에서는 세포질이 방사형으로 약간 확장되고 중간부는 소기포로 덮히고 둥글게 보였다. 세포수에 있어서도 테트라사이클린 처리군이 더 많이 부착되어 있는 양상을 나타내었고 상아세관의 노출도 관찰할 수 있었다. 세포배양 6시간이 경과한 후 세포는 치근활택술군에서는 세포질이 방사형으로 확장되어 보이고, 테트라사이클린 처리군에서는 세포의 변연일부가 함몰되어 극성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세포배양 24시간이 경과한 후 치근활택술군에서는 세포가 뚜렷한 극성을 보이고 테트라사이클린 처리군에서는 조금 더 신장된 방추형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 치주인대세포의 전개는 치근면을 테트라사이클린으로 처리시 테트라사이클린 l00mg/ml 처리군이 50mg/ml 처리군보다 초기에는 약간 더 진전된 양상을 보였으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거의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치근활택술군보다는 우수하게 진행되었고, 세포증식률에서는 테트라사이클린 100mg/ml 처리군이 가장 많은 세포수를 보였으므로 임상적용시에는 테트라사이클린 100mg/ml가 적절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컴포머와 유치 상아질의 결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ONDING OF COMPOMER TO DECIDUOUS DENTIN)

  • 김지태;김용기;김종수;권순원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09-518
    • /
    • 2002
  • 치과 임상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심미성 접착 수복재료인 복합 레진과 글라스 아이어노머 시멘트의 단점을 보완하여 개발된 것으로 알려진 컴포머의 유치 상아질에 대한 결합력을 평가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치아 교환을 이유로 최근에 발거된 유구치 144개를 실험대상 치아로 선정하였으며, 이 중 120개의 치아는 전단강도 측정실험을 위하여 나머지 24개는 결합계면의 주사전자 현미경 관찰을 위해 무작위로 배분하였다. 각 치아마다 $3{\times}4mm$의 상아질을 노출시킨 후 내경 2.6mm, 높이 2.0mm의 크기로 제작된 폴리에틸렌 주형을 상아질 표면에 고정시킨 다음 각각의 재료를 설정 조건에 따라 충전하였다. 전단강도 실험표본은 만능 시험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주사 전자현미경 관찰 표본 중 1/2은 다시 근원심으로 절단하여 그 결합계면을 관찰하였으며 나머지 1/2은 치아를 완전 탈회시킨 후 상아질 내에 침투된 접착제의 형태를 관찰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 모든 컴포머 군($II{\sim}V$)의 전단강도가 글라스 아이어노머 군(I)보다 높게 나타났고, 산 부식을 시행한 컴포머 군(III, V)이 산 부식을 시행하지 않고 충전한 컴포머 군(II, IV)에 비해 높은 전단강도를 보였으며(p<.05) 복합 레진 군(VI)과의 비교에서도 통계학적인 유의차가 없었다(p>.05). 서로 다른 접착제를 사용한 컴포머군 간의 비교에서는 모두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상아질-수복재 계면의 관찰 결과, 산 부식 처리된 상아질과 결합된 컴포머 군이 처리하지 않은 군에 비해 다소 두꺼운 혼화층이 균일하게 형성되어 있었고 레진 돌기도 더욱 치밀하게 침투한 양상을 보였다. 주사 현미경 관찰에서는 산부식 하지 않은 컴포머 군이 전반적으로 짧고 얇은 레진 태그가 불규칙하게 분포되어 있는 양상을 보인 반면, 산부식을 시행한 군과 복합 레진 군에서는 굵고 긴 레진 태그들이 규칙적이며 치밀한 분포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상아질의 산 부식 과정이 컴포머의 결합력 증진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한 반면 상아질 접착제의 종류는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합강도의 비교에서 컴포머가 글라스 아이어노머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어 소아 환자의 유구치 심미 수복재료로서의 가능성이 입증되었다.

  • PDF

Flowable 및 microfill 복합레진으로 충전된 제 5급와동에서 load cycling 전,후의 미세변연누출 비교 (MICROLEAKAGE OF MICROFILL AND FLOWABLE COMPOSITE RESINS IN CLASS V CAVITY AFTER LOAD CYCLING)

  • 강석호;김오영;오명환;조병훈;엄정문;권혁춘;손호현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7권2호
    • /
    • pp.142-149
    • /
    • 2002
  • Low-viscosity composite resins may produce better sealed margins than stiffer compositions (KempScholte and Davidson, 1988: Crim, 1989). Plowable composites have been recommended for use in Class V cavities but it is also controversial because of its high rates of shrinkage. On the other hand, in the study comparing elastic moduli and leakage, the microfill had the least leakage (Rundle et at. 1997) Furthermore, in the 1996 survey of the Reality Editorial Team, microfills were the clear choice for abfraction les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microleakage of 6 compostite resins (2 hybrids, 2 microfills, and 2 flowable composites) with and without load cycling. Notch-shaped Class V cavities were prepared on buccal surface of 180 extracted human upper premolars on cementum margin. The teeth were randomly divided into non-load cycling group (group 1) and load cycling group (group 2) of 90 teeth each. The experimental teeth of each group were randomly divided into 6 subgroups of 15 samples. All preparations were etched, and Single bond was applied. Preparations were restored with the following materials (n=15) : hybrid composite resin [Z250(3M Dental Products Inc. St. Paul, USA), Denfil(Vericom, Ahnyang, Korea)], microfill [Heliomolar RO(Vivadent, Schaan, Liechtenstein), Micronew(Bisco Inc. Schaumburg, IL, USA)], and flowable composite[AeliteFlo(Bisco Inc. Schaumburg, IL, USA), Revolution(Kerr Corp. Orange, CA, USA)]. Teeth of group 2 were subjected to occlusal load (100N for 50,000 cycles) using chewing simulator(MTS 858 Mini Bionix II system, MTS Systems Corp. Minn. USA). All samples were coated with nail polish 1mm short of the restoration, placed in 2% methylene blue for 24 hours, and sectioned with a diamond wheel. Enamel and dentin/cementum margins were analyzed for microleakage on a sclale of 0 (no leakage) to 3 (3/3 of wall). Result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Kruscal-Wallis One way analysis, Mann-Whitney U-test, and Student-Newmann-Keuls method. (p = 0.05) Results : 1. There was significantly less microleage in enamel margins than dentinal margins of all groups (p<0.05) 2. There was no significant between six composite resin in enamel margin of group 1. 3. In dentin margin of group 1, flowable composite had more microleakage than others but not of significant differences. 4.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ix composite resin in enamel margin of group 2. 5. In dentin margin of group 2, the microleakage were R>A =H=M>D>Z.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6. In enamel margins, load cycling did not affect the marginal microleakage in significant degree. 7. In enamel margins, load cycling did affect the marginal microleakage only in Revolution. (p<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