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ntal practitioners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27초

Gow-Gates 하악신경 전달마취 - 잊혀진 옛날 기법인가? (Gow-Gates Mandibular Nerve Block Anesthesia - Is It an Old Forgotten Technique?)

  • 한지영;김광수;서민석;황경균;박창주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6-21
    • /
    • 2011
  • Background: Since introduced by Gow-Gates GA in 1973, Gow-Gates mandibular nerve block (GMNB)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area of dental local anesthesia. However,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inferior alveolar nerve block (IANB), this technique seems to fail to attract the attentions of general practitioners in South Korea.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ve the clinical real value, mainly the anesthetic efficacy, of GMNB in minor oral surgery. Methods: The study group comprised 40 patients (15 males and 25 females) who were randomly allocated to receive GMNB or IANB for extraction of third molars. Both techniques utilized two 1.8 ml dental cartridges of 2% lidocaine including 1:100,000 epinephrine for each patient. Pulpal and gingival tissue anesthesia of mandibular premolars and molars were recorded at 0, 15 and 40 minutes after administration of local anesthetics using both an electric pulp tester and a sharp dental explorer. Results: The success rates of pulpal and gingival tissue anesthesia in the IANB group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GMNB group in overall efficacy. Patient's and operator's satisfaction ratings were also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Interestingly, the injection pain of GMNB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IANB group.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anesthetic efficacy of pulpal and gingival tissue of GMNB was not inferior to that of IANB. The GMNB could be a good alternative of the IANB in most of minor oral surgical procedures.

Comparison of accuracy between free-hand and surgical guide implant placement among experienced and non-experienced dental implant practitioners: an in vitro study

  • Dler Raouf Hama;Bayad Jaza Mahmood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53권5호
    • /
    • pp.388-401
    • /
    • 2023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ccuracy of free-hand implant surgery performed by an experienced operator compared to static guided implant surgery performed by an inexperienced operator on an anterior maxillary dental model arch. Methods: A maxillary dental model with missing teeth (No. 11, 22, and 23) was used for this in vitro study. An intraoral scan was performed on the model, with the resulting digital impression exported as a stereolithography file. Next, a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scan was performed, with the resulting image exported as a 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s in Medicine file. Both files were imported into the RealGUIDE 5.0 dental implant planning software. Active Bio implants were selected to place into the model. A single stereolithographic 3-dimensional surgical guide was printed for all cases. Ten clinicians, divided into 2 groups, placed a total of 60 implants in 20 acrylic resin maxillary models. Due to the small sample size, the Mann-Whitney test was used to analyze mean values in the 2 groups.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SAS version 9.4. Results: The accuracy of implant placement using a surgical guid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free-hand implantation. The mean difference between the planned and actual implant positions at the apex was 0.68 mm for the experienced group using the free-hand technique and 0.14 mm for the non-experienced group using the surgical guide technique (P=0.019). At the top of the implant, the mean difference was 1.04 mm for the experienced group using the free-hand technique and 0.52 mm for the non-experienced group using the surgical guide technique (P=0.044). Conclusions: The data from this study will provide valuable insights for future studies, since in vitro studies should be conducted extensively in advance of retrospective or prospective studies to avoid burdening patients unnecessarily.

치과 치료를 위한 외래 정주진정 법에 대한 다기관 후향적 임상연구 (A MULTICENTER RETROSPECTIVE STUDY OF OUTPATIENT INTRAVENOUS SEDATION FOR DENTAL TREATMENTS)

  • 정세화;백상현;노현기;강나라;임재중;이병하;전재윤;황경균;심광섭;박창주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1권5호
    • /
    • pp.394-400
    • /
    • 2009
  • Purpose : On outpatient facilities, our sedation protocol focuses on the intermittent bolus injections of midazolam intravenously, according to patient's and operator's needs during the dental treatment. This multicenter retrospective study was aimed to prove the efficiency and safety of our sedation protocol. Patients and Methods : In three centers using the same outpatient sedation protocol for dental treatment (Divis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Department of Dentistry in Hanyang University Medical Center, S-plant Dental Hospital. and Grand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total 937 patients had various dental treatments under intravenous conscious sedations with independent patient monitoring from March 2006 to March 2009. By reviewing charts, we analyzed the results of sedation and dental treatment, retrospectively. Results : Our sedation protocol had no sever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requiring admission. while showing good compatibility with almost all dental treatments, with acceptable satisfaction of both patients and operators. Conclusion : We assure that our sedation protocol can be used efficiently and safely on routine outpatient basis. We also hope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the concrete concepts to common dental practitioners, who desire to perform sedation for dental treatment.

한국에서 소아전문 치과의원의 지역분포 및 진료패턴 (Regional Distribution and Practice Pattern of Pediatric Dental Clinics in Korea)

  • 채종균;송지수;신터전;현홍근;김정욱;장기택;이상훈;김영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44-52
    • /
    • 2020
  • 1956년 한국에 처음 소아치과학교실이 창설되었고, 1992년 한국 최초의 소아전문 치과의원이 등장하였다. 치의학의 발전과 소아치과에 대한 대중의 인식 변화로 인해 소아전문 치과의원은 점점 더 증가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 분포를 포함한 여러 측면에서 한국의 소아전문 치과의원의 현황을 조사하는 것이다. 한국에 17,917개의 치과의원 중 소아전문 치과의원은 343개이고, 1.91%를 차지하였다. 343명의 소아전문 치과의원 개원의 중 248명이 소아치과 전문의였다. 소아치과 전문의 248명 중 25명이 전문의를 표방하여 개원하고 있었다. 16개의 시도 중 경기도에 소아전문 치과의원이 가장 많았고, 33.5%를 차지하였다. 서울과 부산이 그 뒤를 이었다. 서울의 25개 구 중에서는 강남구에 소아전문 치과의원이 가장 많았고, 유소년 10만명당 소아전문 치과의원 수도 강남구에서 제일 높았다. 소아전문 치과의원의 90.9%는 평일 야간진료를 하지 않았고, 26.5%는 토요일에 15시 이후에 문을 닫았다.

CDC 치과감염관리 표준예방지침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f Awareness of CDC Dental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 오혜영
    • 대한치위생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7-36
    • /
    • 2023
  • 연구배경 및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질병관리센터(CDC) 치과감염관리 표준예방지침에 기준하여 감염관리 인식과 예방에 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CDC 치과감염관리 목록을 기준으로 'CDC 감염관리기준에 관한 표준 및 교육', 'CDC 감염관리 예방에 관한 사항', '연구대상자의 특성 및 감염관리 특성'에 관한 설문을 구성하였다. 총 222개의 설문을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결과: 연구대상자의 특성은 대부분 대학병원이나 종합병원에 근무하고 있었으며 최근 1년이내 감염 예방 교육을 93.7%가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CDC 치과 감염관리 표준 및 교육 인식은 평균 77.2%로 이전 연구 결과와 비교해 더 높았다. 예방에 관한 인식은 평균 71.5%로 나타났으며 인증평가를 받은 그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로 예방에 관한 인식이 높았다(p<0.001). 결론: 본 연구 대상자는 감염관리 표준 및 교육 인식과 예방에 관한 인식이 이전연구 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CDC 치과감염관리 표준예방지침에 비교하여 미흡한 수준이었다. 따라서 정부 부처와 관련 기관은 체계적인 감염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한양대학교 치과 진정요법클리닉에서의 진정요법(II) (Sedation at Sedation Clinic of Department of Dentistry in Hanyang University Medical Center (II))

  • 전재윤;빙정호;박창주;황경균;심광섭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3-17
    • /
    • 2007
  • 2006년 3월부터 2007년 2월까지 한양대의료원 치과 진정요법클리닉은 모두 8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총 92건의 치과치료를 위하여 미다졸람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정주의식진정요법을 시행하였다. 이전 논문에서 이미 본원의 진정요법 프로토콜을 자세히 설명하였고 이번 논문에서는 지금까지의 진정요법 결과들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근거에 기반한 접근법으로, 이번 연구는 일반 치과의사들도 미다졸람을 이용한 정주의식진정요법을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시행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접착형 아말감의 2년 후 임상적 평가 (CLINICAL EVALUATION OF AMALGAM BONDING : TWO YEARS FOLLOW-UP)

  • 유필준;한세현;김종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530-534
    • /
    • 2001
  • 많은 치과 임상가들은 아말감을 치질에 접착시키기 위해서 여러 접착재료를 이용해왔다. 이 런 술식의 장점으로는 미세누출의 감소로 인한 술후과민증의 감소, 변연파절의 감소, 삭제 후 치질의 강화, 적은 유지형태에서의 수복물의 유지등이 제시되어 왔다. 실제로 임상적 상황에서 이러한 술식의 장점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런 접착제가 임상적 환경에서 어떠한 잇점을 보이지 않는다면 시간과 비용을 낭비하는 이런 술식을 정당화하지 못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73개의 치아를 대상으로 하여 I급 와동과 II급 와동에 접착형과 비접착형 아말감으로 수복하였다. 접착제로는 Fuji I Glass Ionomer luting cement를 이용하였다. 평균 2년 후에 변연적합성을 평가하였으나 접착형 아말감과 비접착형 아말감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 PDF

Oral Cancer: Knowledge, Practices and Opinions of Dentists in Yemen

  • Alaizari, Nader Ahmed;Al-Maweri, Sadeq Al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4호
    • /
    • pp.5627-5631
    • /
    • 2014
  • Background: Oral cancer presents with high mortality rates, and the likelihood of survival is remarkably superior when detected early. Dental professionals have an important role and responsibility in prevention and early detection of oral canc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knowledge, practices and opinions regarding oral cancer among dentists in Yemen. Materials and Methods: A cross-sectional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involving private and public dental practitioners, working in different governorates in Yemen. Results: Of the 800 dentists surveyed, a total of 221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and returned (response rate 27.6%). A vast majority of dentists (96.38%) identified tobacco as the major risk factor for oral cancer, and 82.8% knew that squamous cell carcinoma is the most common form. While 47.1% of the dentists agreed that they were adequately trained in oral cancer screening, the majority (86%) believed that they need further training in oral cancer screening.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dditional training and continuing educational programs on prevention and early detection of oral cancer for dentists are to be highly recommended.

환자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치과종사자의 인식 및 실천 (Knowledge and Practice of Dental Practitioners Regarding Patient's Personal Information)

  • 이수영;소지현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99-107
    • /
    • 2017
  •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현재, 치과종사자의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지식, 실천 인식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치과 종사자 550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그 중 총 506부(92.0%)가 자료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개인정보보호법에 관한 치과종사자의 정답률은 전체 평균 64.2%로 나타났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개인정보보호법에 관한 지식의 차이는 연령, 근무경력 문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 개인정보보호행위에 관한 인식도에서는 성별, 학력, 근무경력, 근무기관에서 차이가 있었고, 실천도에서는 연령, 성별, 학력, 근무경력, 근무기관, 직종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직종에 따른 개인정보보호법에 관한 인식의 차이에서는 개인정보처리자 인식, 개인정보보호 책임감 문항에서 직종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개인정보보호 교육 관련요인은 교육 참여 횟수, 교육방법에서 직종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개인정보보호법 인식에서 치과의사는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치과위생사는 가장 낮은 인식도를 나타냈고, 개인정보보호 교육경험이 1번 있는 치과의사는 54.5%로 다른 직종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반면에 치과위생사의 50.2%는 교육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지식, 인식과 실천과의 상관관계는 인식이 높을수록 실천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치과종사자들은 다른 종사자들에 비해 지식, 교육경험, 인식에 비해 실천도가 낮았으며 그 중 치과위생사는 전반적 부분에서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몇 년간 지속되어온 개인정보 유출의 심각성에 대해서 인식은 하고 있으나 진료실에서 체감하는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고 대부분 병원 내에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명확히 규정되어 있지 않으며 원내교육이나 보수교육 등 교육기회와 교육경험의 부족으로 생각된다. 이에 치과종사자들은 접수를 포함한 모든 진료 과정에서의 개인정보보호 필요성을 인식해야 하며 개인정보보호 실천을 위한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반복교육과 그에 따른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치과 보철물 제작 과정에서 감염 관리에 관한 치과 종사자의 인지도 및 실천도에 대한 연구 (The study of awareness and practice of infection control on dental practitioners during the prosthodontic treatment)

  • 전한솔;이진한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189-197
    • /
    • 2015
  • 목적:이 연구의 목적은 보철물 제작 과정에서 감염 관리에 관한 치과 종사자의 인지도 및 실천도를 평가하기 위함이다. 대상 및 방법: 연구 대상은 대전 지역에 종사하는 치과의사, 치과위생사, 치과기공사로 구성되었다(n=126). 설문지는 연구 대상의 일반적 특성, 교육 관련 문항, 치과 보철 치료 과정에서 감염 관리에 관한 인지도와 실천도에 대한 문항으로 이루어졌으며 연구의 취지에 대한 설명 후 직접 기입하게 하였다. 인지도와 실천도는 1에서 5 사이 값을 갖는 Likert 척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인지도 및 실천도에 대한 평균을 계산하였고, 직종간 차이를 검정하기 위해 분산분석 시행하였으며, 인지도가 실천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전체 응답자의 27.7%는 치과 보철 치료와 관련된 감염 관리 교육이 부족하다고 응답하였다. 치과 보철치료와 관련된 감염관리 인지도와 실천도의 평균값은 각각 $2.72{\pm}0.80$, $1.58{\pm}0.88$으로 나타났다. 감염 관리 교육을 받았다고 답한 응답자의 실천도는 $1.62{\pm}0.9$, 받지 못했다고 답한 응답자의 실천도는 $1.31{\pm}0.49$로 나타났다. 현재 근무하는 곳에 감염 관리 지침서가 있는 응답자의 인지도는 $3.01{\pm}0.91$, 없는 응답자의 경우 $2.56{\pm}0.70$로 나타났다. 결론: 1. 대학 교육과정 중 감염 관리 교육을 받은 응답자는 그렇지 않은 응답자에 비해 실천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근무지에 감염 관리 지침서를 갖고 있는 응답자는 그렇지 않은 응답자에 비해 인지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치과 보철물 제작과정에서의 감염 관리에 대한 인지도와 실천도 사이에 상관관계가 존재했으며, 인지도가 높을수록 실천도가 높게 나타났다. 4. 치과 보철물 제작과정에서의 감염 관리에 대한 실천도는 인지도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