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nsity expansion

검색결과 632건 처리시간 0.023초

ON ASYMPTOTIC OF EXTREMES FROM GENERALIZED MAXWELL DISTRIBUTION

  • Huang, Jianwen;Wang, Jianjun
    • 대한수학회보
    • /
    • 제55권3호
    • /
    • pp.679-698
    • /
    • 2018
  • In this paper, with optimal normalized constants, the asymptotic expansions of the distribution and density of the normalized maxima from generalized Maxwell distribution are derived. For the distributional expansion, it shows that the convergence rate of the normalized maxima to the Gumbel extreme value distribution is proportional to 1/ log n. For the density expansion, on the one hand, the main result is applied to establish the convergence rate of the density of extreme to its limit. On the other hand, the main result is applied to obtain the asymptotic expansion of the moment of maximum.

불포화 사질토의 도로함몰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Road-Subsidence Characteristics in Unsaturated Sandy Soils)

  • 권기철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19-25
    • /
    • 2018
  • PURPOS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oad-subsidence mechanism in unsaturated sandy soils. METHODS : A series of soil chamber tests were conducted under various conditions. RESULTS : The cavity-expansion characteristics in unsaturated sandy soils due to seepage were affected by the outlet size, seepage intensity, relative density, and fine content. CONCLUSIONS : In unsaturated sandy soils, the cavity-expansion speed was affected by the outlet size, relative density, seepage intensity, and clay content; however, the cavity-expansion shape was very similar. As the outlet size and seepage intensity increased, the cavity-expansion speed increased. As the relative density increased, the cavity-expansion speed increased because of a sudden decrease in shear strength, resulting from the increased saturation (reduction of matric suction). The cavity expanded faster with the increasing clay content, up to a certain threshold. It expanded at a slower rate once it passed the threshold. Finally, it reached a stable state where the cavity did not expand due to seepage.

MHD turbulence in expanding/collapsing media

  • Park, Jun-Seong;Ryu, Dong-Su;Cho, Jung-Yeon
    • 천문학회보
    • /
    • 제35권2호
    • /
    • pp.74.2-74.2
    • /
    • 2010
  • We investigate driven magnetohydrodynamic (MHD) turbulence by including the effects of expansion and collapse of background medium. The main goal is to quantify the evolution and saturation of strength and characteristic lengths of magnetic fields in expanding and collapsing media. Ou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ith expansion and collapse of background medium, the magnetic energy density per comoving volume does not saturate; either it keeps decreasing or increasing with time. The magnetic energy density relative to the kinetic energy density strongly depends on the expanding or collapsing rate. Second, at scales close to the energy injection (or driving) scale, the slope of magnetic field power spectrum shallows with expansion but steepens with collapse. Third, various characteristic lengths, relative to the energy injection scale, decrease with expansion but increase with collapse. We discuss the astrophysical implications of our findings.

  • PDF

부트스트랩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리기다소나무림의 줄기밀도와 바이오매스 확장계수 평가 (Bootstrap Evaluation of Stem Density and Biomass Expansion Factors in Pinus rigida Stands in Korea)

  • 서영옥;이영진;표정기;김래현;손영모;이경학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0권4호
    • /
    • pp.535-539
    • /
    • 2011
  • 본 연구는 리기다소나무림을 대상으로 임령을 20년생 이하와 21년생 이상으로 구분하여 줄기밀도와 바이오매스 확장계수의 안정성을 부트스트랩(Bootstrap) 기법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줄기밀도($g/cm^3$)는 20년생 이하에서 0.460, 21년생 이상에서 0.456으로 나타났으며, 바이오매스 확장계수는 20년생 이하에서 2.013, 21년생 이상에서 1.171로 나타났다. 부트스트랩 추정치를 100번, 500번 반복 시행한 결과, 줄기밀도($g/cm^3$)는 20년생 이하에서 0.462~0.465로 나타났고 21년생 이상에서 0.456~0.457로 나타났다. 바이오매스 확장계수의 추정치는 20년생 이하에서 1.990~2.039로 나타났고 21년생 이상에서는 1.170~1.173으로 나타났다. 실측치와 부트스트랩 추정치의 평균값 차이(Difference)는 5% 내에서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줄기밀도는 20년생 이하에서 평균의 차이가 0.441~1.049%의 범위로 나타났고 21년생 이상에서는 0.123~0.206%로 나타났다. 바이오매스 확장계수는 20년생 이하에서 평균의 차이가 -1.102~1.340% 사이에서 나타났으며 21년생 이상에서 -0.024~0.215%로 나타났다. 줄기밀도와 바이오매스 확장계수를 시뮬레이션 기법으로 평가한 결과, 줄기밀도는 1.1%, 바이오매스 확장계수는 1.4% 이내로 나타났으며 20년생 이하가 21년생 이상보다 오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옥수수가루, 탈지 콩가루 및 오징어를 이용한 스낵제품의 물리화학적 특성연구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Cornmeal Extrudates by Addition of Defatted Soy Flour and Squid)

  • 정복미;김은실;이기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92-298
    • /
    • 200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extrudates combining 4 levels of squid (0, 3, 5 and 7%) with 3 levels of defatted soy flour (0, 5, and 10%). Blends were adjusted to moisture content of 27% and then extruded in a single-screw laboratory extruder at 170rpm screw speed and 16$0^{\circ}C$ barrel temperature. The extruded materials were dried at 6$0^{\circ}C$ for 8hr to a moisture content of 3~4% and refrigerated at 4$^{\circ}C$ for 12 hour before examination for textural properties, expansion ratio, bulk density, shear force and Hunter color. Expansion ratio of extrudates decreased as squid content increased whereas bulk density and shear force increased. Expansion ratio of extrudate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defatted soyflour level. Bulk density of products decreased as defatted soyflour content increased but shear force of products increased as defatted soyflour content increased. In scores of sensory hedonic evaluation of snacks, appearance, flavor, texture and overall acceptability values had lowered as squid level increased. Therefore, according to materials contents on extrudates increased, nutritional contents of this products increased and also shear force and bulk density in physical properties increased whereas expansion ratio decreased.

  • PDF

편백 조림지에서 영급이 바이오매스 확장계수와 줄기밀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and Age Classes on Biomass Expansion Factors and Stem Densities in Chamaecyparis obtusa Plantations)

  • 이영진;이미향;이경학;손영모;서정호;박인협;손요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1호
    • /
    • pp.50-54
    • /
    • 2006
  • Biomass 확장계수와 줄기밀도의 값은 임목축적 자료를 이용하여 국가단위의 총 탄소 저정량으로 전환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남부지방에 식재된 편백 임분을 대상으로 임령이 Biomass 확장계수와 줄기밀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지는 동일한 임지에서 다양한 임령(8~54년생)이 분포하는 전라남도 장성군 편백 조림지를 기본 모델로 조사하였으며, 조사대상지 임분은 20년 단위를 1 영급단위로 분류하여 총 3개의 영급단위로 구분하였다. 각 영급단위별로 최소 5주 이상의 표준목을 선발하여 총 25주의 표준목을 벌채하였고 줄기, 잎, 가지, 뿌리의 생중량과 건중량, 줄기밀도, Biomass 확장계수, 줄기의 Biomass에 의한 부위별 Biomass 전환계수 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전체 Biomass 확장계수는 임령이 증가함에 따라 3.64에서 1.44로 급격히 감소하는 반면에, 줄기밀도는 $0.35(g/cm^3)$에서 $0.44(g/cm^3)$로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나티내었다. Biomass 확장계수와 줄기밀도의 경우 영급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나 영급단위2와 영급단위3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평균적으로 임령이 30년 이상인 경우에는 전체 Biomass 확장계수와 줄기밀도가 약 1.44와 $0.44(g/cm^3)$라는 일정한 값들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로 얻어진 Biomass 확장계수와 줄기밀도를 편백 임분의 영급별 축적에 적용함으로써 정확도 높은 총 Biomass 및 탄소 고정량을 추정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발코니 확장 합법화 이후 건축 밀도의 변화 - 송도경제자유구역 내 아파트를 중심으로 (Changes on Building Density after Legalization of Balcony Expansion - Focused on Apartment in Songdo Economic Free Zone)

  • 이범훈;장동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298-303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발코니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발코니 활용에 따라 기본형 평면과 확장형 평면의 출현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실제 사례를 대상지로 선정하여 건축 밀도의 변화를 실질적으로 분석하고 향후 인천광역시 현 도시 관리측면의 정책과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기초 자료로 제공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첫째, 건축법 시행령 내 발코니의 다양한 정의와 특성을 분석하고 이후 2005년 합법화에 따른 발코니 확장을 기준으로 하여 기본형 평면과 확장형 평면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둘째, 발코니 확장에 따른 밀도에 관한 문제를 다양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제기하였고 대상지의 밀도 관리 측면의 계획적 시도를 살펴보았다. 셋째, 인천광역시 송도경제자유구역 사례를 대상으로 실질적인 건축면적과 연면적 그리고 용적률 등을 살펴보았으며, 이러한 논의를 통하여 일부 구역에서 실제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지구단위계획의 밀도 관리를 준수하지 못하고 있음을 증명하였다.

Estimation of the Lubricating Oil Rheology at High Pressure Based on Phase Diagram

  • Rahman, Md.Z.;Ohno, N.
    • 한국윤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윤활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the second asia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ribology
    • /
    • pp.85-86
    • /
    • 2002
  • For rheology investigation of lubricating oils, first phase diagrams were made from determined free volume based on density measurements and the temperature-pressure relation was estimated using the expansion coefficient of free volume and the temperature-pressure relation of the viscoelastic transition point. Next, the authors proposed the density-pressure-temperature relation and the viscosity-pressure-temperature relation of the tested oils based on the free volume and the phase diagrams. Moreover, it was shown that the Ehrenfest equation or the gradient of the phase diagram is closely related to the expansion coefficient of free volume.

  • PDF

리기다소나무림의 줄기밀도와 바이오매스 확장계수에 대한 불확실성 평가 (Uncertainty Analysis of Stem Density and Biomass Expansion Factor for Pinus rigida in Korea)

  • 서연옥;이영진;표정기;김래현;손영모;이경학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0권2호
    • /
    • pp.149-153
    • /
    • 2011
  • 본 연구는 리기다소나무림의 줄기밀도와 바이오매스 확장계수에 대한 불확실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총 57본의 표본목을 벌채하였으며, 리기다소나무 20년생 이하의 유령임분과 21년생 이상의 성숙임분을 구분하여 t-검정을 실시한 결과, 줄기밀도는 영급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 반면(p=0.8070), 바이오매스 확장계수는 영급별 차이가 나타났다(p=0.0001).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에서 제시한 불확실성 평가 방법을 이용하여 줄기밀도에 대한 불확실성을 평가한 결과, 20년생 이하에서 30.92%, 21년생 이상에서 25.12%으로 나타났으며, 바이오매스 확장계수에 대한 불확실성은 20년생 이하에서 60.32%, 21년생 이상에서 22.42%으로 나타났다. 줄기밀도의 불확실성은 영급별로 약 5.8%의 차이를 나타낸 반면, 바이오매스 확장계수의 불확실성은 20년생 이하가 21년생 이상 보다 약 37.9%로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성숙임분은 불확실성이 상대적으로 작게 나타났으며, 반면에 유령임분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줄기밀도와 바이오매스 확장계수를 사용할 경우, 20년생 이하의 영급과 21년생 이상의 영급을 구분하여 줄기밀도와 바이오매스 확장계수를 적용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opper/Silicon Nitride composites

  • Ahmed, Mahmoud A.;Daoush, Walid M.;El-Nikhaily, Ahmed E.
    • Advances in materials Research
    • /
    • 제5권3호
    • /
    • pp.131-140
    • /
    • 2016
  • Copper/silicon nitride ($Cu/Si_3N_4$) composites are fabricated by powder technology process. Copper is used as metal matrix and very fine $Si_3N_4$ particles (less than 1 micron) as reinforcement material. The investigated powder were used to prepare homogenous ($Cu/Si_3N_4$) composite mixtures with different $Si_3N_4$ weight percentage (2, 4, 6, 8 and10). The produced mixtures were cold pressed and sintered at different temperatures (850, 950, 1000, $1050^{\circ}C$). The microstructure and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produced $Cu/Si_3N_4$ composites were investigated by (SEM) and XRD. It was observed that the $Si_3N_4$ particles were homogeneously distributed in the Cu matrix. The density, electrical conductivity and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of the produced $Cu/Si_3N_4$ composites were measured. The relative green density, sintered density, electrical conductivity as well as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were decreased by increasing the reinforcement phase ($Si_3N_4$) content in the copper matrix. It is also founded that the sintered density and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Cu/Si_3N_4$ composites were increased by increase the sintering temp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