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livery unit

검색결과 263건 처리시간 0.023초

소가구 증가에 대응한 공동주택지 지구단위계획 개선방안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District Unit Plan in Apartment Housing with the Increase of 1~2 person Households)

  • 윤정중;최상희
    • 지역연구
    • /
    • 제34권3호
    • /
    • pp.29-42
    • /
    • 2018
  • 우리 사회의 인구성장이 둔화되고 가구형태도 1~2인의 소가구가 53.3%로 과반을 넘고 있어 향후 이를 주거단지에서 어떻게 계획으로 수용하여 적절한 주거공간을 만들어갈지가 중요해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소가구화 증가 추이에 대해 기존의 지구단위계획이 적절히 대응하고 있는지를 고찰하고, 소가구화에 대응한 향후 지구단위계획의 요소별 개선방안과 적용성 제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6개 주거단지를 대상으로 소가구와 관련한 지구단위계획의 지침과 내용을 분석하고 문헌고찰 및 전문가 자문 등을 통해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1인 가구 증가에 대응하여 다양한 주거유형의 지구단위계획상 반영이 필요한 사항들을 제안하고, 소형공동주택, 쉐어하우스, 독신자전용주거 등 1인 가구 주택특성에 맞는 가구 획지, 건축물 배치, 건축물 형태 및 외관 등과 관련한 계획요소도 제시하였다. 또한 무인택배시설, 게스트하우스 등 부대복리시설의 도입, 유치원 등 수요가 낮은 부대복리시설의 재검토 등 1인 가구 거주특성을 고려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계획요소와 방안들은 향후 공동주택의 지구단위계획수립지침과 운영기준 등을 작성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수태중인 생쥐에 있어서 림프구아형 및 자연살해세포 활성도의 변화 (The Alterations of the Lymphocyte Subsets and the Natural Killer Cell Activity in the Pregnant Mouse)

  • 신주옥;고기석;최임순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211-222
    • /
    • 1996
  • 수태기간중 태아가 모체에 의해 면역학적으로 거부반응을 일으키지 않고 동종이식 상태로 유지되는 기작을 밝히는 연구의 일환으로 C3H/HeJ계의 암컷 생쥐와 DBA/2계의 수컷 생쥐를 교배하여 모체에서 발생되는 체계적인 면역기능 및 국소적 면역기능현상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수태기 간별로 비 장 및 자궁으로 들어가는 림프절에서 T세포 및 B세포의 아형을 측정하였고 자연살해 세포의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수태혈청 및 수태성 호르몬이 자연살해세포의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각 수태기간별로 비장세포에 있어서 T세포와 B세포의 아형을 관찰한 결과, Thy-1.2$^{+}$세포는 수태기간중 중기 이후에 감소하기 시작하여 수태 4기에는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수태말기에는 회복하였다. L3T4$^{+}$세포도 Thy-1.2$^{+}$ 세포와 비교하여 비슷한 경향으로 감소 또는 증가하였다. Ly2$^{+}$세포는 수태중기 이후부터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B세포는 수태중기 이후부터 수태말기까지 계속 증가하였다. 비장에 있어서 자연살해세포의 세포독성은 수태 5일에서 수태 8일 사이에 가장 증가하였으며 그 이후는 대조군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정상혈청 및 수태혈청의 자연살해세포의 세포독성에 대한 영향을 수태시기별로 조사한 결과, 정상혈청과 수태혈청 모두 자연살해세포의 세포독성을 유의하게 억제하였으며, Progesterone은 시험관내실험과 생체내 실험 모두 약리적인 농도이상에서 농도에 의존적으로 자연살해세포의 세포독성을 증가시켰으며, HCG는 5 unit/ml에서 5000 unit/ml까지 처리농도에 비례하여 자연살해세포의 세포독성을 억제하였다. 자궁으로 들어가는 림프절에서 T세포의 아형은 Thy-1.2$^{+}$세포는 수태 2기부터 증가하여 대조군에 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L3T4$^{+}$세포의 유의한 변화없이 Ly2$^{+}$세포가 수태 2기 이후부터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분만 직전에는 조금 감소하였다. 자궁으로 들어가는 림프절에서의 자연살해세포의 세포독성은 착상직후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수태중기와 수태후기에도 대조군에 비하여 세포독성이 증가하였으며, 같은 시기의 비장세포의 자연살해세포의 세포독성보다 높게 나타났다.

  • PDF

2015-17년 전국 20개 거점병원 응급해독제 비축 및 제공 결과 (Antidotes Stocking and Delivery for Acute Poisoning Patients at 20 Emergency Departments in Korea 2015-2017)

  • 이승민;윤한덕;장한석;원신애;김경환;오범진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31-140
    • /
    • 2018
  • Purpose: The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has been running a project for the storage and delivery of antidotes for acute poisoning patients of the Department of Health and Welfare, Korea. This study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project over the past two years. Methods: The requests received by the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and the data on the delivery process were analyzed. Results: This study analyzed a total of 121 patients with acute poisoning, who were requested to receive an antidote reserved at 20 key hospitals in 2015-2017, and whose age was $52.3{\pm}23.5\;years$; old; 54 were women. Intentional poisoning were 58.7%, and the home was the most common place of exposure (66.9%). The toxic substances were chemicals (32.2%), pesticides (27.3%), medicines (24.8%), and snake venom (4.1%). The patient's poison severity score was $2.4{\pm}0.7$ (median 3) indicating moderate-to-severe toxicity. Antidote administration was the cases treated in key hospitals 67.8% (82/121), in which transferred patients accounted for 57.3% (47/82). After receiving an antidote request from a hospital other than the key hospitals, the median was 75.5 minutes (range 10 to 242 minutes) until the antidote reached the patient, and an average of 81.5 minutes was required. The results of emergency care were intensive care unit (70.3%), general wards (13.2%), death (10.7%), and discharge from emergency department (5.0%).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acute poisoning patients treated with an antidote were different from previous reports of poisoned patients in the emergency department, and basic data on the time required for delivery from key hospitals was different.

실시간 교통 정보 제공을 위한 LBI 시스템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Location based Broadcast System Model for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 박현문;박우출;박수현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137-145
    • /
    • 2010
  • 본 연구는 LBS(Location Based Service) 기반에 5.8-5.9Ghz RSU를 이용한 실시간 교통 시스템(RTS)에 관한 연구이다. 제안된 LBI(Location based Broadcast system on ITS)는 방송국 T-DMB 시스템과 ITS 기반 실시간 교통 시스템을 융합하고, 노변기지국(RSU:Road Side Unit)을 중심으로 제공되는 운전자를 위한 지역정보 기반 서비스이다. 본 방송국과 ITS의 융합은 IP기반 양방향 통신은 IP 기반으로 이루어지며, RSU를 이용하여 차량 위치의 파악을 통한 LBS(Location Based Service)를 제공한다. 지역 매크로 관리자(LMM)과 지역 방송국과 상호 정보 교환으로 정보 전달의 실시간성과 서비스의 다양성을 제공할 수 있었다. 기존 실시간 교통시스템에서 전송 범위(transmission area)의 한계와 기존 T-DMB의 단방향 서비스 문제를 상호 보완하였다. 이를 통해 개별 운전자의 실시간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었다. 또한 운전자들에게 실시간 교통 및 지역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분산효과와 서비스 확대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소 주변에 테스트 베드 구축과 구현으로 검증하였다.

최소 단위 트랜스코더 집합만을 이용한 응용 독립적 멀티미디어 적응 프레임워크 (An Application-Independent Multimedia Adaptation Framework Using Only Minimum Unit Transcoder Set)

  • 전성미;류동엽;임영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227-235
    • /
    • 2006
  • MPEG-21의 디지털 아이템 적응 기술은 제한 없는 멀티미디어 접근을 위한 새로운 방안이 되고 있다. 이를 위해 전달 맥락에 따라 미디어 자원의 형식 등을 변경하기 위한 트랜스코더가 필요하다. 이때, 여러 트랜스코딩 기능을 하나의 트랜스코더에 포함시킨 중량 트랜스코더를 사용하는 것은 제한 없는 멀티미디어 접근을 지원하기에 너무 복잡하고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하나의 트랜스코더가 오직 하나의 트랜스코딩 기능만을 갖는 단위 트랜스코더를 사용한다. 이를 위해 단위 트랜스코더들의 집합을 어떻게 구성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가 정의한 응용의 성격에 따라 종단간 상이한 서비스 품질 쌍에 대한 집합이 주어졌을 때, 집합 내의 모든 각 쌍에 대하여 각각 트랜스코딩 경로를 반드시 하나 이상 생성할 수 있는 완전 단위 트랜스코더들의 구성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종단간 상이한 서비스 품질의 각 쌍에 대하여 각각 너무 많은 트랜스코딩 경로를 생성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적응을 최소의 단위 트랜스코더로 지원하도록 최소 단위 트랜스코더 집합을 생성하는 알고리즘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멀티미디어 스트림 엔진에 구현하였고, 이에 대한 실험 결과를 기술한다.

  • PDF

Sternal Retraction and Subclavian Vein Catheter Occlusion during Cardiac Surgery

  • Tarbiat, Masoud;Bakhshaei, Mohammad Hossein;Derakhshanfar, Amir;Rezaei, Mahmoud;Ghorbanpoor, Manoochehr;Zolhavarieh, Seyed Mohammad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4권5호
    • /
    • pp.377-382
    • /
    • 2021
  • Background: Subclavian vein (SV) catheterization is a method for the delivery of fluids, drugs, and blood products, venous blood sampling, and central vein pressure monitoring in cardiac surgery. Catheter occlusion is a serious complication of SV catheterization during cardiac surgery, especially after sternal retractor expansion. Methods: In this observational study, 303 patients who had successful right infraclavicular SV catheterization from September 2019 to April 2020 were enrolled to determine the incidence of catheter occlusion. After catheterization, the lumens of all catheters were checked for the ability to infuse and withdraw blood from the catheter before and after sternal retractor expansion. The patients' characteristics, cannulation approach, on-pump or off-pump technique, occlusion of the catheter and its lumens, and any associated complications were record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ver. 22.0 (IBM Corp., Armonk, NY, USA). Results: Of the 303 patients studied, 205 were male (67.7%) and 98 were female (32.3%). Catheter occlusion occurred in 11 patients with on-pump cardiopulmonary bypass (CPB) (227 patients) and 4 patients with off-pump CPB (76 patients) (p=0.863). The incidence of catheter occlusion was 4.95% (15 of 303 patients) with no cases of simultaneous 3-lumen occlusion in a catheter. The most commonly occluded lumen was the distal lumen (57.92%). Simultaneous 2-lumen occlusion occurred in 4 patients. Catheter occlusion was found in 3 of 13 malpositioned catheters (23.07%). Conclusion: The current study showed that malpositioning of the catheter tip was a risk factor for catheter occlusion and that the distal lumen of a triple-lumen catheter was the most commonly occluded lumen.

통원수술부에 관한 건축계획적 연구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Ambulatory Surgery Center in General Hospitals)

  • 한선호;김광문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1권2호
    • /
    • pp.7-16
    • /
    • 1996
  • As surgical technologies advanced, ambulatory surgery was proposed for reduction hospital stay and patient-oriented health care delivery system. And in recent years, ambulatory surgery is also introduced in this country as medical demands expands. This study aims to represent the standards for architectural planning of the ambulatory surgery center in a general hospital according to domestic situations. For this, the present conditions and space programs of 5 general hospitals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This study also aims to represent the unit area proposal of each departmental operation room and the methodology for deciding the number of the operation threatres in Ambulatory Surgery Center.

  • PDF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한 컨테이너 터미널의 효율성 평가 모형에 관한 연구 (A Model of Evaluating the Efficiency of Container Terminals for Improving Service Quality)

  • 임병학;한윤환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77-92
    • /
    • 2004
  • It is difficult but very necessary to measure the productivity of container terminals as logistics service provider. It is meaningful to find the appropriate inputs and outputs of the logistics service delivery systems and to measu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inputs and outputs. This study proposes a model of evaluating the efficiency of container terminals. The evaluation consists of three phases. First,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phase, determines the efficiency score and weights of DMUs(Decision Making Unit). This phase performs through four steps : selection of DMU, selection of DEA model, determination of input and output factors, calculation of efficiency score and weights for each DMU. Secondly, CEM (Cross Evaluation Model) phase, is to calculate the cross-efficiency scores of DMUs. This phase performs through three steps: selection of CEM, determination of cross-efficiency score for each DMU and development of cross-efficiency matrix. Finally, average cross-efficiency analysis phase is to compute the average cross-efficiency score. The proposed model discriminates among DMUs and ranks DMUs, whether they are efficient or inefficient.

건강보험 환산지수의 유형별 분류방안 (A Classification of Conversion Factors of Relative Values i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 김진현;최병호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47-158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empirical study results of conversion factors(unit prices) for relative values of health care services i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and establish optimal classification of health care institutions for feasible contract of conversion factors between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NHIC) and provider groups, based on legal backgrounds and types of health care service delivery system. some empirical research evidences shows the validity of applying multiple conversion factors to annual contract for reimbursement in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Policy recommendations suggest that clinic, hospital, general hospital, tertiary hospital, dental clinic, oriental medical clinic, pharmacy, and public health centers would be a basic category of provider groups for a meaningful price contract between the NHIC and providers.

  • PDF

모자동실 개념을 중심으로 한 산과 병동의 건축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a Maternity Ward Focused on Rooming-in System)

  • 김언화;유영민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25-33
    • /
    • 2002
  • The effects and necessity of the breast milk are well known, but the breast-feeding rate in our country is very low. One of the reason is due to the separation policy of mother and baby after delivery. The mother is in the inpatient-room and the baby is in the new-born baby room. This isolation operation of hospital get increased according to the decreasing ratio of breast feeding in Korea. Only a few hospital operates and provides the space for a new-born baby in the mother's room. The system of baby and mother in one room is adopted and operated due to the breast feeding campaign. It is very encouraging, but the space for the baby and the mother is not enough in multi-bed rooms. We should reconsid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w-born baby unit and the obstetric ward, and design the patient's room for the baby and the moth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