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layed planting

검색결과 134건 처리시간 0.028초

파종기와 Polyethylene 필름 피복방법이 단옥수수 생산에 미치는 영향 (Temperature and Sweet Corn Production at Different Planting Dates under Polyethylene Tunnel and Mulch)

  • 이석순;김태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84-90
    • /
    • 1986
  • 단옥수수 품종 Great Bell을 3월 5일, 15일, 25일과 4월 4일에 파종하고, 파종기마다 투명 P.E. 필름의 Tunnel, Tunnel slit 및 Mulch가 기온, 지온 및 단옥수수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1. 최고최저기온과 최고최저지온 모두 Tunnel>Tunnel slit> Mulch의 순으로 높았으며 P.E. 필름 처리간 온도차이는 최고기온 및 지온은 컸으나 최저기온 및 지온은 적었다. 2. 4월 하경에 Tunnel내 기온이 4$0^{\circ}C$가 넘어 필름을 열면 Tunnel구의 기온은 Mulch에서와 같으나 지온은 낮았다. Tunnel slit는 필름을 열지 않고 slit수를 증가시켜 고온장해를 피할 수 있었다. 3. 옥수수 유묘기의 저온피해는 Mulch에서는 지상부가 고사하였으나 재생되었고, Tunnel slit에서는 잎의 일부가 피해를 입었으나 Tunnel에서는 피해가없었다. 4. 3월 5일 및 15일 파종에서 Tunnel은 Tunnel slit나 Mulch보다 초기생육과 출사를 촉진시켰으나 고온으로 낮에 필름을 열었던 3월 25일 및 4월 4일 파종에서는 오히 려 지연시켰다. 5. 파종이 늦을수록 파종에서 출사까지 일수가 단축되어 3월 25일 파종에 비하여 3월 5일 및 15일 파종은 출사가 2~3일 빨랐으며 4월 4일 파종은 6~9일 늦었다. 6. 적조위축병은 한기파종에서 이병율이 높았으며, 3월 25 일 및 4월 4 일 파종의 Tunnel slit에서는 생육초기에 필름을 열지 않아 적조위축병 이병율이 Tunnel 이나 Mulch보다 낮았다. 7. 상품성 있는 웅수수는 적조위축병이 심했던 3월 5일 파종의 Mulch를 제외하면 모든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조수입은 상품가치가 큰 웅수가 많았던 3월 25일 파종의 Tunnel 및 Tunnel slit와 가격이 높고 웅수가 많았던 3월 5 일 파종의 Tunnel과 Tunnel slit에서 높았다.

  • PDF

정식시기와 시비량이 눈개승마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lanting Date and Fertilization Amounts on Growth and Yield of Aruncus dioicus var.kamtsccus HARA)

  • 김상국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42-145
    • /
    • 1998
  •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lucidate the optimum planting data and fertilization level of Aruncus dioicus var. kamtscacus HARA. Plant height was increased as the seeding date was delayed. There was no transparent difference on plant height indifferent fertilization level. Nuber of stems was remarkably increased in the fertilization 14-14-12kg. Fresh leaf yield in the fertilization of 24-18-15kg was incresed about 31% comparing in the fertilization of 14-14-12kg. As a result, the optimum planing date and fertilization level was Jan. 15 and 24-18-15kg per 10a, respectively.

  • PDF

Determination of Marginal Sowing Date for Soybean in Paddy Field Cultivation in the Southern Region of Korea

  • Park, Hyeon Jin;Han, Won-Young;Oh, Ki-Won;Shin, Sang-Ouk;Lee, Byong Won;Ko, Jong-Min;Baek, In Youl;Kang, Hang Wo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1권2호
    • /
    • pp.104-112
    • /
    • 2016
  • A double-cropping system with soybean (Glycine max) following the cultivation of potato, garlic, and onion is widely adopted in the southern region of Korea. For this system, marginal dates for planting must be determined for profitable soybean yields, because the decision to plant soybean as a second crop is occasionally delayed by harvest of the first crop and weather condition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lanting date on soybean yield, three cultivars (early and late maturity) were planted on seven different dates from May 1 to July 30 in both paddy and upland fields across 2012 and 2013. Soybean yield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planting dates and the cultivars; however, the interaction between cultivar and planting date was not significant. Based on linear regression, the maximum yield of soybean was reached with a June 10 planting date, with a sharp decline in yield for crops planted after this dat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consistent with those of a previous one that recommends early and mid-June as the optimum planting period. Regardless of soybean ecotype, a reduction in yield of greater than 20% occurred when soybean was planted after mid-July. Frost during soybean growth can reduce yields, and the late maturity cultivars planted on July 30 were damaged by frost before completing maturation and harvest; however, early maturity cultivars were safely harvested. For sufficient time to develop and reach profitable yields, the planting of soybean before mid-July is recommended.

해바라기에 있어서 파종기 이동이 초장, 엽수, 개화기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fferent Planting on Plant Height, Number of Leaves, Flowering and Yield on Sunflower (Helianthus annuus. L.))

  • 강광희;이은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98-103
    • /
    • 1977
  • 두 품종 군포재래 및 페레도빅에 대하여 파종기에 따른 생태적 차이를 구명함으로서 우리나라 작부방식 및 간ㆍ혼작에 알맞는 해바라기 재배와 품종선택의 기초자료를 얻고져 1974년 수원에서 4월15일부터 7월25일까지 20일 간격으로 6회에 걸쳐 파종하였다. 1) 페레도빅은 파종기가 빨라지면 발뢰기도 빨라졌으나 군포재래는 파종기를 달리 하여도 일정시기(8월8일) 이후에 발뢰기에 도달하였다. 2) 군포재래는 페레도빅에 비하여 감광성정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페레도빅은 감온성 정도가 군포재래 보다 높은 경향이다. 3) 발뢰이후 개화기까지 일수는 파종기에 따라 차이가 인정되지 않고 페레도빅은 25일, 군포재래는 28일이 소요되었다. 4) 페레도빅은 발뢰이후생장이 이전의 생장보다 크며 군포재래는 반대로 나타났다. 5) 두 품종 모두 5월25일 파종에서 초장 및 경의 굵기가 모두 컸으며 품종간의 차리도 현저하게 나타났고 파종기가 지연됨에 따라 품종간 차이가 적어졌다. 6) 페레도빅은 군포재래보다 엽수가 적으며 파종기에 따른 차이가 없고, 군포재래는 엽수가 많으며 5월25일 파종까지는 파종기별 차이가 없어도 6월15일 이후는 파종기 지연에 따라 엽수가 현저하게 줄었다. 7) 5월5일 파종기에서 페레도빅을 종실수량 158kg/10a로 가장 높았으며 7월5일 이후의 파종에서는 현저하게 감수되었다. 군포재래는 파종기 지연에 따라 수량감수정도는 페레도빅보다 적었다.

  • PDF

Root Yields and Saikosaponin Contents Depending on Planting Time and Cultivated Regions of Bupleurum falcatum L.

  • Kim, Choon-Shik;Seong, Jae-Duck;Park, Chung-Heon;Park, Chun-Gun;Cho, Yang-Hee;Kwak, Jun-Soo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298-302
    • /
    • 2005
  • In order to decide the optimum planting time for Bupleurum falcatum L. which is grown widely in Korea, som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different regions such as mid-north area (Gangwon-do, Gyeonggi-do and Chungcheongnamdo), mid-south area (Jeollanam-do, Jeollabuk-do, Gyeongsangnam-do and Gyeongsangbuk-do). The mid-south area had the highest total saikosaponin contents of 1.001, which is the medicinal ingredients of Bupleurum falcatum L., in accordance with the different Bupleurum falcatum L. regions. Also this area has the highest extract contents of 24.3%. Average dry root yields in mid-north area (Gangwon-do) were $450{\sim}460$ kg/ha at planting time of March 20th to March 30th, 500 kg/ha at the time of March 30th to April 10th, and $470{\sim}480$ kg/ha at the time of March 10th to March 20th in Chungcheongnam-do. The optimum planting time in the mid-south area (Jeollabuk-do) was March 10th to March 30th with the average dry root yield of $490{\sim}550$ kg/ha. Average dry root yield in Euiseong, Gyeongsangbuk-do area was 470 kg/ha, and the optimum planting time was April 10th, which suggested that the yield increased as the planting time was delayed. At Jeju-do, the volcanic soil of farsouthern area, average dry root yield was 510 kg/ha at the time of March 10th, but the yield from non-volcanic soil was lower than from volcanic soil, which had a dry root yield of 470 kg/ha.

수도 고단백계통 육성을 위한 기초적 연구 -V. 파종 및 수확시기가 쌀의 Amylose 및 단백질함량에 미치는 영향- (Basic Studies for the Breeding of High Protein Rice -V. Effect of planting and harvesting date on the amylose and protein content in rice grain-)

  • 문헌팔;허문회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9권
    • /
    • pp.14-20
    • /
    • 1975
  • 파종시기 및 수확시기가 쌀의 Amylose 및 단백질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하여 온도 및 일장감응성정도와 단백질함량이 다른 4개품종을 사용하여 4월10일부터 15일간격으로 5회파종하고, 출수후 30일부터 5일간격으로 6회 수확하여 미립내의 Amylose 및 단백질 함량이 품종에 따라 어떤 반응을 보이는가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파종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Amylose함량은 증가하였고 단배질함량은 감소되었다. 2. 단백질함량의 파종기에 대한 반응은 품종에 따라 달라서 파종기가 지연될수록 조생종은 감소되었고 중만생종은 증가하였다. 3. 파종시기에 따른 단백질함량의 환경변이는 저단백품종보다 고단백품종에서 크게 나타났다. 4. 벼의 Amylose 및 단백질함량에 미치는 수확시기의 영향은 뚜렷하지 않았다. 5.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저Amylose 고단백계통육성을 위해서는 성숙에 지장이 없는한 파종시기를 늦추는 것이 효율이 높고 수확은 출수후 30일부터 가능할 것으로 추론하였다.

  • PDF

Effect of Planting Date and Plant Density on Yield and Quality of Soybean Forage in Jeju

  • Kang, Young-Kil;Kim, Hyun-Tae;Cho, Nam-Ki;Kim, Yeong-Cha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95-99
    • /
    • 2001
  • Soybean [Glycine max (L.) Merr.) is known to produce the highest total digestible mutrients (TDN) yield among summer grain legumes in Jeju area but little is known about the effects of cultural practices on forage yield and quality. A determinate soybean cv. Baegunkong was planted on 5 June, 20 June, and 3 July and grown at four plant densities (30, 50, 70 and 90 plants $m^{-2}$ in 1998 in Jeju to evaluate the effects of planting date and plant density on the yield and quality of soybean forage. Days to flowering decreased from 47 to 38 days, average plant height from 61 to 51cm and main stem diameter from 6.31 to 5.00mm as planting was delayed from 5 June to 3 July. Average plant height quadratically increased from 45 to 62cm as plant density increased from 30 to 90 plants $m^{-2}$. Planting date did not affect the average dry matter, crude protein, and TDN yields. The average dry matter and TDN yields displayed a quadratic response to plant density and the optimum plant density for both dry matter and TDN yields was estimated about 60 plants $m^{-2}$. Plant density had no effect on crude protein yield. Planting date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forage quality. The crude protein content was not significantly influenced by plant density. Increasing plant density slightly increased acid detergent fiber content but slightly decreased TDN content.

  • PDF

흑조위축병이 심한 남부지방에서 옥수수를 중심으로 한 사료작물 작부체계 (Corn-Based Forage Cropping Systems in Rice Black-Streaked Dwarf Virus Prevalent Area)

  • 이석순;이진모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30-39
    • /
    • 1989
  • 옥수수 흑조위축병 발생이 심함 남부지방에서 호밀 - 옥수수 작부체계와 옥수수 - 귀리 혹은 옥수수 - 유채 작부체계의 사료생산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1986-1987년에 시험을 하였다. 호밀(팔당호밀)은 1986년 가을에 파종하여 1987년 4월 5일부터 5월 10일까지 5일간격으로 8회 수확하엿고, 옥수수(수원 19호, 진주옥)는 4월 5일부터 10일 간격으로 5회 파종하여 황연기에 수확하였으며, 귀리(메귀리)와 유채(Velox)는 9월 4일부터 7일간격으로 4회 파종하고 11월 10일부터 12월 10일까지 10일 간격으로 4회 수확하여 파종기와 수확기별로 담근먹이와 청예수량, 및 사료가치을 분석하여 옥수수를 중심으로 한 작부체계 사료생산성을 비교하였다. 1. 호밀은 수확기가 늦을수록 초장, 건물수량, 건물비율, 조섬유, 가소화 건물수량은 증가하였으나 조단백질, 조지방, 건물소화률은 감소하였고, 가용성 무질소물은 수확기간에 차이가 없었다. 2. 옥수수는 파종기가 늦을수록 흑조위축병 이병률이 높았고 담근먹이의 수량은 감소하였다. 품종간에는 어느 파종기에서나 진주옥이 수원 19보다 흑조위축병 이병률은 낮고 수량은 높았다. 3. 귀리와 유채는 파종기가 늦을수록 수량이 감소하였다. 9월 4일과 11일 파종의 11월 10일 수확에서는 귀리가 유채보다 수량이 낮았으나 수확기가 늦을수록 차이가 적어져 12월 10일에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9월 18일과 25일 파종에서는 어느 수확기에서나 귀리가 유채보다 수량이 낮다. 4. 사료의 생산성과 사료가치를 고려하면 호밀 - 옥수수 작부체계는 4월 20일경에 호밀을 수확하고, 4월에 가능한 한 빨리 파종하여 8월 중순에 수확하고 곧 귀리나 유채를 파종하여야 하며 수량성은 호밀 - 옥수수 작부체계와 비슷하였다.>30cm의 재식밀도하에서 유효경 비율이 90% 이상되었다.^{\circ}C$처리기간중에는 근의 부위에 관계없이 Rf치가 낮은 쪽에서는 증가하였으나 높은 쪽에서는 상대적으로 감소하였다. 4.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인삼근에 있어서 신아의 휴면타파 및 맹아는 ABA와는 별로 관계가 없고 온도숙건에 지배되어 나타나는 GA의 생합성 능력과 그 생합성에 의한 활성증가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는 0.2045, 0.1208, 0.2248로 추정되었다. 산란율과 난중과의 관계는 0.6233, -0.2259, 0.2973, 500일영 체중과는 0.2417, 0.0774, - 0.4787로 추정되었다. 산란지수와 난중과의 관계는 0.6171, -0.2706, 0.4579, 500일영 체중과의 관계 0.3082, -0.0792, -0.3368로 추정하였다. 난중과 500일영 체중과의 관계는 0.2742, 0.2205, 0.1354로 추정되었다.)에서 47.4%의 가장 높은 검색률을 나타내었고 다음 성계(150일영이상)에서 35.3% 및 유추(30 일영미만)에서 17.3%의 순이었다. 이중 세균성 및 기생충성 질병은 육성계에서의 검색률이 가장 높았으나, 바이러스성 질병은 육성계 및 성계에서 거의 같은 비율로 높았으며 곰팡이성 질병은 유추에서 가장 높은 검색률을 나타내었다.17) 사료비절감은 생산비의 60∼70%를 차지하고 있으므로 공동구인 자가배합을 하여 자기실정에 맞는 경영체질로 운영하고 있었다. (18) 인건비가 생산비의 15∼20%의 비율이며 또한 사람 구득난이라 가족노동을 최대한 활용, 관리를 하고 있으며 생력화를 위해 기계화, 자동화되어 가고 있었다. 애정과 정성심있는 관리로 닭을 스트레스를 주지 않게 하기 위해 가족관이, 기계자동화가

  • PDF

파종기에 따른 Creeping Bentgrass 잔디초지의 식생변화 (Effect of Sowing Dates on Turf Vegetation of Creeping Bentgrass)

  • 조남기;강영길;송창길;조영일;박성준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25-130
    • /
    • 2005
  • 제주지역에서 파종기 이동(3월 16일$\cdot$26일, 4 월 5일$\cdot$15일$\cdot$25일)에 따른 Creeping bentgrass 의 식생변화를 구명하기 위하여 2004년 3월 16 일부터 7월 6일까지 시험하였다. 초장은 3월 16 일 파종에서 22.7cm 이였으나, 만파할수록 초장은 짧아져서 4월 25일 파종에서 초장은 16.6cm 였고, 근장 및 엽록소 측정치는 초장반응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파종기가 3월 16일에서 4월 25일로 지연됨에 따라 엽중은 1,373kg에서 990kg/10a로, 근중은 2,374kg에서 1,919kg/10a로 감소되었다. 잔디의 피도와 밀도는 3월 16일 파종에서 각각 $98.0\%$, $99.3\%$로 높은 편이었으나, 파종기가 지연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낮아져서 4월 25일 파종에서 잔디의 피도는 $95.7\%$로, 밀도는 $98.7\%$로 낮아졌다. 잡초의 피도는 3월 16일 파종에서 $2.0\%$, 밀도는 $0.7\%$ 이였으나, 파종기가 지연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증가되어 4월 25일 파종에서 피도와 밀도는 각각 $4.3\%$, $1.3\%$로 증가되었다. 침입잡초는 10.5종에서 16.0종으로 파종기가 지연됨에 따라 증가되는 경향이었다. 우점잡초의 변동은 3월 16일 파종에서 새포아풀, 별꽃, 명아주, 3월 26일 파종에서 새포아풀, 바랭이, 명아주, 4월 5일 파종에 바랭이, 명아주, 별꽃, 4월 15일 파종에서 바랭이, 별꽃, 명아주였고, 4월 25일 파종에서는 바랭이, 여뀌, 명아주 순위로 우점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제주지역에서는 3월 중$\cdot$하순에 조파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조숙 옥수수에 의한 사료작물 작부체계 구성 II. 조숙 옥수수의 사료생산성에 미치는 만파와 밀식효과 (Application of Early-maturing Corn to Cropping System of Forage Crop II. Effects of Late Sowing and Dense Planting of Early-maturing Corn on Forage Productivity)

  • 임근발;최영원;양종성;허운행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09-213
    • /
    • 1991
  • 조숙옥수수를 포함한 사료작물 작부체계 구성시 조숙옥수수의 생산성을 확보하기 위해 만파시밀식재배를 시도하였다. 조숙옥수수로는 Comet80, Comet85, Linda 품종을 이용하였고 만파정도는 수원19호 적기보다 45, 55, 65일 만큼 늦게 파종하였다. 파종밀도는 각 파종기에 대하여 60$\times$20, 50x20, 40$\times$20cm로 밀식정도를 달리하였다. 각처리구의 수확은 8월 29일 일괄실시 하였는데 조숙옥수수의 이러한 처리에 따른 수량구성특성 변화와 조숙옥수수의 촉과작물 작부체계도입 가능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6월 22일까지 파종에서 건물수량은 Comet85, 수원19호 Comet80, Linda 순이었다. 2. 6월 12일까지의 파종에서 수원19호의 이삭비율은 6.7%이었는데 비해 Comet80, Cometss, Linda의 평균 이삭 빈율은 40.3%이었다 3. 조숙품종의 밀식에 의한 건물수량 보상효과정도는 6월 22일까지 파종에서 20x50cm밀도가 20$\times$60cm밀도에서 보다 평균 37.3% 증수하였다. 4. 만파시 Comet85는 수원19호보다 평균 24.1 % 많은 TDN을 생산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