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gree-days

검색결과 1,747건 처리시간 0.028초

치근 천공 치료 재료의 생체친화성의 비교 (COMPARISON OF BIOCOMPATIBILITY OF FOUR ROOT PERFORATION REPAIR MATERIALS)

  • 강민경;배인호;고정태;황윤찬;황인남;오원만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4권3호
    • /
    • pp.192-198
    • /
    • 2009
  • 이번 연구는 치근 천공의 치료 재료인 white mineral trioxide aggregate (MTA)를 흔히 사용되는 calcium hydroxide liner ($Dycal^{(R)}$), glass ionomer cement (GIC), 그리고 MTA와 유사한 성분을 가진 Portland cement와 세포독성 실험으로 생체 친화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세포독성의 정도는 MG-63 세포를 이용해 주사전자 현미경적 관찰과 수용성 tetrazolium salt를 이용한 흡광도를 측정 (XTT assay)하여 평가하였다. SEM 관찰에서, 1일과 3일째 모두에서 GIC와 MTA, Portland cement 표면에서는 잘 부착된 세포를 보여주었다. 반면에, Dycal 표면의 세포들은 둥글고 부착되지 않은 양상을 보여 주었다. XTT assay에서는 Dycal을 제외한 모든 재료에서 유사하게 높은 세포 활성도를 보여주었으며, 이는 SEM 관찰 소견과 일치하였다. 이번 연구는 MTA가 생체친화적인 재료라는 견해를 뒷받침한다. 또한 Portland cement와 GIC에서도 MTA와 유사한 세포반응을 보여주었다.

돼지모델에서 상처의 모양과 부위에 따른 상처수축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Wound Contraction according to the Shape and Antomical Regions of the Wound in Porcine Model)

  • 추호준;손대구;권선영;김준형;한기환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8권5호
    • /
    • pp.576-584
    • /
    • 2011
  • Purpose: The shape and location, the amount of the woun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maining tissues are known to influence wound contraction. The previous studies using small animals have not been an appropriate model because the wound healing mechanisms and skin structures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hum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wound contraction according to the shape and location of the wound using a $Micropig^{(R)}$. Methods: Four $Micropigs^{(R)}$ (Medikinetics, Pyeongtaek, Korea) that were 10 months of age weighed 25 kg were used. Full thickness skin defects were made by clearing all the tissues above the fascial layer in the shape of square, a regular triangle and a circle of 9 $cm^2$ each on the back around the spine. Eight wounds were created on the back of each pig, 50 mm apart from each other. The randomly chosen wound shapes included 11 squares, 11 regular triangles, and 10 circles. Wound dressing was done every other day with polyurethane foam. The wound size was measured using a Visitrak $Digital^{(R)}$ (Smith & Nephew, Hull, UK) on every other day after surgery from day 2 to day 28. A biopsy was performed on day 3, and 1, 2, 3 and 4 weeks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acute and chronic inflammation, the number of microvesssel and myofibroblast density using H & E stain and immunohistochemistry. The wound contraction rate was calculated to figure out the differences among each of the shapes and the locations. Results: The ultimate shape of the circle wound was oval, and that of the regular triangle and square were stellate. The maximum contraction rate was obtained on 8 to 10 days for all the shapes, which corresponds with the immunohistochemical finding that myofibroblast increases in the earlier 2 weeks whereas it decreases in the later 2 weeks. Epithelialization was seen in the wound margin on day 7 and afterwards. The final wound contraction rates were highest for the regular triangle shapes;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e wound contraction rates by location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e wound in the cephalic area presented more contractions than that of the wounds in the caudal area. Conclusion: The location of a wound is more important factor than the wound shape in wound contraction.

구강과 인후두의 악성종양 치료시 발생한 누공의 진단과 치료 (Diagnosis and Treatment of Pharyngocutaneous Fistula After Treatment of Oral Cavity and Pharyngolaryngeal Cancer)

  • 홍현준;송승용;이원재;유대현;나동균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6권5호
    • /
    • pp.611-616
    • /
    • 2009
  • Purpose: The rate of fistulas occuring followed by resection of oral cavity, oropharyngeal, hypopharyngeal, and laryngeal cancer are reported to be 9 ~ 23% according to various documents. Neglected treatment of the fistula can result in a setback in proper treatment with restrictions in oral intake leading to delayed return to daily life. Furthurmore, in severe cases, it may injure important vessels and adjacent structures of the neck area. The author reviewed previously reported cases of treatment methods for fistulas recurring after diverse head and neck operations and with sharing the treatment experiments of our patients, we tried to present a treatment algorism for different fistula types. Methods: Our study was based on retrograde analysis of 64 patients who were clinically diagnosed with fistula after operation for cancer of the head and neck from 1997 to 2008 at Severance Hospital. Their primary sites of cancer were 8 oral cavity, 22 oropharynx, 25 hypopharynx, and 9 larynx. The patients were aged 45 to 75 years and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11 to 1. The patient's operation records and progress notes were evaluated for determination of degree of fistula and treatment methods. Results: Most fistulas were clinically suspected after postoperative 5 days and symptoms noted for detection of the fistula were erythema, purulent discharge, edema, tenderness, and fluctuation. The fistula was definitely diagnosed at postoperative 2 weeks with barium test and treatment method ranging from conservative management to operative procedure were applied to each patients. Total 21 patients were managed with conservative protocol. In 15 cases, direct repair of the fistula was done and more stable repair of the fistula was possible with using of TachoComb$^{(R)}$. Pharyngostoma was performed in 14 patients. Among them, 4 patients healed spontaneously, 5 patients were taken direct closure, 4 patients were taken pectoralis major musculocutaneous flap, and one patient was taken esophageal transfer. The other 14 patients were taken 11 pectoralis major musculocutaneous flaps and 3 free flaps without pharyngostoma formation. Conclusion: Fistula is a troublesome complication resulting after resection of head and neck cancer. Early detection and adequate treatment according to the period and condition of the fistula may prevent further complications and reduce the pain of the patient.

비료와 퇴구비를 처리한 토양과 시설재배지 토양에서 토양의 EC에 따른 pH변화 (pH Dependence on EC in Soils Amended with Fertilizer and Organic Materials and in Soil of Plastic Film House)

  • 김유학;김명숙;곽한강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247-252
    • /
    • 2005
  • 토양 pH는 토양화학반응의 결과로 토양용액으로 해리하는 수소이온을 나타내는 intensity factor이고 토양의 알루미늄에 의하여 수소이온이 완충되고 있다. 토양 양이온에 의하여 알루미늄의 수소이온 완충기능이 저하되면 토양 pH 양상이 달라지므로 토양 EC에 따른 토양 pH 양상은 토양의 pH 완충력 등 토양관리를 위한 중요한 정보를 담고 있다. 토양에 투입되는 양분에 의하여 토양 pH가 달라지는 현상을 구명하고 시설재배지 토양의 EC에 따른 토양 pH 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사양토에는 가축분과 퇴비 및 비료를 넣고 시설재배지 토양은 무처리 상태로 $30^{\circ}C$에서 5, 10, 20, 40일간 호기항온 후 토양과 토양용액의 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가축분을 첨가한 사양토의 pH 양상은 토양에 첨가된 양이온 함량에 비례하여 pH가 올라갔으며 양분이 축적된 시설토양의 pH 양상은 양분함량이 많을수록 pH가 낮아졌다. 따라서 토양 EC가 높아질 때 토양 알루미늄의 수소이온 완충력이 높은 상태에서는 토양의 pH는 양이온의 양에 비례하여 올라가지만 토양 알루미늄의 수소이온 완충력이 저하된 상태에서는 토양의 음이온의 양에 비례하여 pH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꼬마배나무이 월동성충 산란 알의 부화 및 유기농업자재에 의한 방제효과 (Emergence Timing of overwintered adults laid eggs and Control Effect by Eco-friendly materials to Cacopsyllapyricola)

  • 조영식;송장훈;임경호;최진호;이한찬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445-455
    • /
    • 2014
  • 배 과원 문제해충의 하나인 꼬마배나무이(Cacopsylla pyricola)의 월동성충이 낳은 알에 대해 10, 13, 18, 22, $25^{\circ}C$에서 부화율을 조사하여 온도와 발육률에 대한 선형모형으로 Y=0.00319X + 0.00615(($R^2=0.809899$)(Y=temp., X=dev. rate))로 도출하였고, 알에 대한 발육영점온도는 약 -1.94로 추정되었다. 포장에서 월동성충이 낳은 알이 50%를 초과하여 부화하는 시기와 2월 1일부터 일일 최고기온 $6^{\circ}C$ 이상의 온도를 누적한 결과, 2008, 2009, 2011년에 각각 429.7, 417.6, 424.3일도였으며, 이는 만개기를 기준으로 만개 3~7일전이다. 한편 아바멕틴 유제, 석회유황합제, 기계유유제, 및 유기농업자재 13종은 월동성충이 낳은 알에 대한 살란 효과는 없는 것으로 생각되고, 배 생육기인 2012년 5월 21일, 6월 5일 2회 살포시 방제가 90% 이상을 보인 유기농업자재는 D사의 Azadiractin A+B, Nimbin, Salanin, Meliantriol, Vepol 등 혼합물 등 4종이었다.

다시마 추출물이 요구르트 품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n the Quality of Yogurt Added Water Extracted from Sea Tangle)

  • 정은자;방병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66-71
    • /
    • 2003
  • 요구르트의 기능성을 증가시키고 동시에 요구르트의 안정성을 높일 목적으로 다시마 열수 추출액으로부터 요구르트를 제조하여 그 품질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실험구 중 0.5% 다시마 열수 추출액으로 제조한 요구르트의 적정산도가 1.89%로, 다시마 열수 추출액 무첨가구의 적정산도 1.53%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젖산균의 생육은 다시마 열수 추출액으로 촉진되어 무첨가구의 4.4$\times$$10^{8}$ CFU/$m\ell$보다 0.5%다시마 열수 추출액 첨가구가 1.4$\times$$10^{9}$ CFU/$m\ell$로 가장 높았다. 다시마 요구르트의 점도는 0.5%의 다시마에서 25 cps로, 무첨가구의 22 cps보다 높았으나 1.0% 다시마구에서는 무첨가구의 점도와 비슷한 21.5 cps로 나타났다. 7$^{\circ}C$에서 15일간의 저장시 다시마 요구르트는 pH, 산 생성 및 생균수에 거의 변화가 없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커드의 침전은 0.5% 다시마 열수 추출액으로 다소 억제시킬 수 있었으며, 관능검사에서 무첨가구에 비해 1%다시마 첨가구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금절임 조건이 민들레 김치의 숙성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alting Conditions on the Fermentation and Quality of Dandelion (Taraxacum platycarpum D.) Kimchi)

  • 김미향;김순동;김광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1142-1148
    • /
    • 2000
  • 소금절임 조건이 민들레 김치의 숙성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절임 민들레의 품질은 5% 염도에서는 16시간, 10%에서는 8시간 15%에서는 4시간 절임한 것이 양호하였으며, 염도별로는 10% 경우가 5 및 15% 경우보다 양호하였다. 그러나 다같이 쓴맛이 제거되지 않았다. 쓴맛의 제거는 10% 염도로 4일간, 1일 1회 염수를 교환함으로서 제거되었다. 10%의 소금물로 8시간동안 절임한 것(short-time salting: SS)과 동일 염도로 4일동안 절이면서 소금물을 1일 1회 교환한 것(long-time salting: LS)으로 구분하여 절임한후 $10^{\circ}C$에서 숙성시키면서 품질을 비교한 결과, SS 김치는 숙성 중 낮은 pH를 유지하였고 산도, 환원당와 비타민 C 함량 및 총균수와 젖산균수가 높아 LS 김치보다 숙성이 촉진되었다. 환원당 및 비타민 C 함량과 미생물의 수 및 관능검사 결과로 평가한 최적 숙성일은 SS 김치의 경우는 숙성 40일째였으나 LS김치는 50일째 이였다.

  • PDF

Liatris Spicata 구경휴면(球莖休眠)에 관(關)한 연구(硏究) -I. 휴면도입기(休眠導入期) 및 각성기(覺醒期) 구명(究明)과 gibberellin 처리(処理)의 휴면타파효과(休眠打破效果) (Studies on the Dormancy of Liatris spicata Corm -I. Study on the Induction and Awakening of Dormancy and Effect of Gibberellin Treatment on the Breaking of Dormancy)

  • 박인환;서영교;전재기;최상태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4권
    • /
    • pp.18-21
    • /
    • 1986
  • Liatris spicata 구경(球莖)의 휴면도입기(休眠導入期) 및 휴면각성기(休眠覺醒期)를 조사(調査)함과 동시(同時)에 GA처리(處理)에 의(依)한 휴면타파효과(休眠打破效果)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맹아율(萌芽率), shooting율(率) 및 발근율(發根率)은 8월(月) 30일(日) 이후(以後) 서서히 저하(低下)되어 11월(月) 14일경(日頃) 가장 낮은 경향(傾向)을 보이다가 이후(以後) 서서히 증가(增加)하여 1월(月) 29일(日) 이후(以後)에는 모두 100%로써 매우 양호(良好)하였다. 2. 출아소요일수(出芽所要日數)에 있어서도 11월(月) 14일(日) 무처리구(無處理區)에 있어서 10.1일(日)로써 가장 길었으며 1월(月) 29일(日) 이후(以後)에는 급격(急激)히 단축(短縮)되었다. 3. 맹아(萌芽) 및 shooting 상태(狀態)를 봐서 대구지방(大邱地方)의 노지(露地)에서 Liatris spicata 구경(球莖)의 휴면도입기(休眠導入期)는 9월(月) 하순경(下旬頃), 휴면기(休眠期)는 11월(月) 중순경(中旬頃), 휴면각성기(休眠覺醒期)는 1월(月) 하(下)~2월(月) 초순경(初旬頃)이라고 사료(思料)된다. 4. 구경(球莖)의 휴면타파효과(休眠打破效果)는 GA 200ppm 1시간(時間) 침지처리(浸漬處理)로 효과(效果)가 인정(認定)되었으며 특히(特)히 휴면(休眠)이 깊을수록 그 효과(效果)는 더욱 증가(增加)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 PDF

대두(大豆)에서 분석(水分)스트레스에 의(依)한 항산화효소(抗酸化酵素)의 활성도(活性度) 변화(變化) (Changes of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subjected to water stress in soybean leaves)

  • 김태성;강상재;박우철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6권
    • /
    • pp.24-30
    • /
    • 1998
  • 수분(水分) 스트레스에 의한 식물체(植物體)의 방어기구(防禦機構)와 관련(關聯)된 superoxide dismutase와 catalase의 활성도(活性度) 변화(變化)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수분(水分) 스트레스(drought, flooding) 처리시(處理時) 큰올콩과 은하콩 모두 수분(水分) 함량(含量)과 가용성(可溶性) 단백질(蛋白質) 함량(含量)이 감소(減少)하여 말성숙(末成熟) 노화(老化)를 나타내었다. 가시적(可視的)인 피해(被害)는 drought 처리시(處理時)가 flooding 처리(處理)에 비(比)해 크게 나타났고 큰올콩이 은하콩에 비(比)해 크게 나타났다. superoxide dismutase의 활성(活性)은 drought처리시(處理時) 2일(日)째에 급격(急激)한 감소(減少)를 보이다가 회복(回復)되고 다시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을 보였으며 flooding처리시(處理時)는 처리기간(處理期間)에 따라 점차(漸次) 감소(減少)하였고 큰올콩의 감소정도(減少程度)가 더 크게 나타났다. catalase의 활성(活性)은 drought처리시(處理時)는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이었으나 flooding처리시(處理時) 2일(日)째에 급격(急激)한 감소(減少)를 나타낸 후 일정(一定)하게 유지(維持)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수분(水分)스트레스 처리후(處理後) 3일간(日間)의 회복기(回復期)를 주었을 때 두 효소(酵素)의 활성(活性)은 점차(漸次) 회복(回復)되었다.

  • PDF

아급성기 뇌경색 환자의 좌측 편마비에 대한 한의 치료 1례 (The Effect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on Cerebral Infarction with Hemiplegia: A Case Report)

  • 오주현;성재연;서혜진;이유라;송진영;공건식;강만호;이형철;엄국현;송우섭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990-998
    • /
    • 2019
  • Introduction: Stroke refers to a sudden brain disease that results in disorders in the anatomy of the brain. The cause is a sudden circulatory disorder of the cerebrovascular system that creates a consciousness disorder and hemiplegia. Despite aggressive treatment after the onset, stroke is a social problem because the patient has difficulty in recovering from sequelae that can include limb movement disorders, language disorders, and emotional disorders. In this study, we describe the effect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reatment on the sequelae in a subacute cerebral infarction patient admitted to a Korean medical hospital. Case presentation: A 67-year-old male patient was diagnosed with cerebral infarction circa 2005, and his condition had not improved. Around March 15, 2018, he experienced the sudden onset of a cerebral infarction in his daily life. This was confirmed by a brain MRI, and he was hospitalized at other hospitals, but he showed no improvement. We conducted a manual muscle test (MMT) to evaluate the patient's exercise and strength. His gait level was measured to evaluate his degree of walking. He was treated with Bojungikgi-tang and acupuncture twice a day. After 34 days of inpatient treatment, the patient's exercise strength improved from Grade 2+~Grade 3 to Grade 3+ determined by the MMT, and his walking ability improved from Gait Level 3 to Gait Level 4.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acupuncture and herbal medicine treatment can help treat patients with hemiplegia due to cerebral infar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