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gree of life satisfaction

검색결과 447건 처리시간 0.027초

일부지역 치과위생사의 치과진료실 실내공기질에 대한 만족도 및 자각증상 비교 (The satisfaction and subjective symptom level by indoor air quality in dental parlor in Capital and Jeon-nam area)

  • 최미숙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405-417
    • /
    • 2011
  • Objectives : A precedent research has documented that indoor air pollution is closely associated with increased the risk of symptom and decreased in job satisfac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n effort to assess the relationship of indoor air quality to self-perceived symptom and satisfied with working environment. Methods : This research is based on self-filling survey which 393 dental hygienists who work in seoul and Jeon-nam area participated on October 2010 through January 2011. This survey was compared and analyzed about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subjective symptom by the indoor air quality that dental office's working environment. Results : The result of satisfaction degree of hospital working environment was pretty low about office air. Most people mentioned that they were sore and dull all over the back, shoulder, and neck. Also, they were drowsy and exhausted in work place. Conclusions : In conclusion, it is need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and mental health by developing proper air conditioning system and using one in their work place.

기혼여성의 가정생활관리행동: 웰빙지향 식품 구매행동 및 식생활 행동과 소비만족도 (Married Woman's Family Life Management Behavior - Consumer's Purchase Behavior, Dietary Life Behavior, and Satisfaction of Well-Being Oriented Food -)

  • 한성희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4권2호
    • /
    • pp.127-152
    • /
    • 2010
  • This study examined the satisfaction of the married women from aged 20s through 50s with well-being oriented foods,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each subordinate field and verify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factors, purchase behavior factors, and well-being oriented dietary life factors, followed by an analysis of the relative influence of those relevant factors.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from January 4th-11th, 2009 to check if there were any problems or misunderstood parts before the main survey. After the preliminary study was conducted, certain problems were adjusted and supplemented, and then the main survey was conducted for twenty-three days, from January 4th to February 5th, 2009. The summari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view of the purchase behavior, the mainly purchased well-being oriented foods were farm products, and the leading purpose of the purchase was for the parents and the children. It was shown that 30% or more of the information sources on well-being oriented foods were families, relatives and neighbors. More than 66% of the purchasing was done at wholesale marts and the topped purchasing frequency was from 5 to 6 per month. More than 71% of payments for well-being oriented foods were \50,000~100,000 per month. More than 51%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 proper price of well-being oriented foods was 1.2 times to 1.5 times of that of other foods. Second, the satisfaction of the well-being oriented foods was ranked as 3.21 to 3.28 out of 5, and varied with the usages and the methods of weights. Investigating the satisfaction with each subordinate field, the satisfaction with price was shown to be low. The satisfaction with the assortments of foods and the satisfaction with the therapeutic degree by thorough investigation and management of foods were also relatively low. Third, well-being oriented dietary behavior was shown to be characterized by two factors, through factor analysis in this study. One was an eco-friendly oriented behavioral factor and the other was a health oriented selective factor. Fourth,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investigating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factors effecting satisfaction with well-being oriented foods showed that the top ranked factor affecting total satisfaction was eco-friendly oriented behavioral factor, followed by education level and purchasing sites, especially of consumer groups.

  • PDF

대학생이 지각하는 취업전망, 영역별 삶의 목표 및 삶의 만족도의 관계 (A Study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Employment Prospects, Life Aims and Life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 오현숙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4권4호
    • /
    • pp.19-37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수년 동안 악화돼온 청년실업 문제가 개선되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부정적인 취업전망과 같은 사회인지 요인이 대학생의 삶의 목표 구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며, 그들의 자아관, 현실관, 미래관 및 삶의 만족도와는 어떤 관계에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삶의 목표와 만족도 검사 FLL' 및 지각된 취업전망에 관한 질문을 통한 조사를 서울과 경기도 소재의 3개 종합대의 239명의 남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결과로서 FLL의 총 34개 문항의 영역별 삶의 목표들은 요인분석에 의해서 6개 상위 목표, 즉 자기애적 목표, 가족애/대인적 목표, 개인-경제적 목표, 사회공익적 목표, 도덕적 목표, 정치. 이념적 목표로 분류되었다. 조사된 전체 집단은 군집분석 결과 취업전망이 서로 다르며, 취업전망이 긍정적일수록 목표가 더 충족된 것으로, 또한 목표를 이루는 자신의 효능감이 더 높으며 아울러 영역별 삶의 목표에서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나는 총 3개의 집단 프로파일을 나타냈다. 취업전망에 따른 집단 간의 특성 차이를 유리한 또는 불리한 취업전망의 두 집단으로 구분한 뒤, t-검증을 통하여 비교해보았을 때는, 이들 두 집단 간에는 청년실업인지도 및 성별, 나이, 학년과 같은 인구통계학적 요인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불리한 취업전망의 집단은 가족애/대인적 목표, 개인-경제적 목표, 사회공익적 목표 영역에서 유리한 취업전망의 집단보다 목표들을 유의하게 더 중요한 것으로 인지하였다. 반면 이들은 가족애/대인적 목표 영역을 제외하고는 비교집단에 비해 목표들이 유의하게 덜 이루어졌다고 판단했으며(부정적 현실관), 자기애와 도덕적 목표 영역을 제외한 4개의 영역에서 목표를 이룰 능력이 자신들에게 더 적게 있다고 평가했다(부정적 자기효능감). 이들은 또한 삶의 만족도에서는 가족애/대인적 목표, 그리고 도덕적 목표 영역을 제외하고 4개의 전 영역에서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덜 만족하는 반응을 나타냈다. 그러나 미래관에 있어서는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연구결과와 함께 취업전망의 문제를 중요한 사회인지적 요인으로 다루어야 하는 이유가 논의되었다.

  • PDF

말기 신부전 환자의 근골격계 통증 발생 실태 -혈액투석 환자를 대상으로- (Prevalence of Musculoskeletal Pain in Patients With End-Stage Renal Failure Receiving Hemodialysis)

  • 박희정;김선엽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17권3_4호
    • /
    • pp.1-9
    • /
    • 2010
  • Purpos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the pain in and the dysfunction related to the musculoskeletal system experienced by patients with end-stage renal failure receiving hemodialysis. Methods: A questionnaire survey was given to 107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 in M Hospital. The survey was conducted by using a brief pain inventory(BPI) to investigate the body parts in pain, degree of pain, difficulty in daily life, correlation with hemodialysis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ir own health. Results: The investigation of the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 showed that 89(83.2%) of the 107 patients experienced pain in their musculoskeletal system. Their pain's incidence was highest in the knees(46.1%) and 68.5% of the patients reported that the most severe pain they had experienced within the past 24 hours was at a level between "moderate" and "severe." The limitation of daily life by pain is high most as 47.7% in the accomplishment of works. Conclusion: Most hemodialysis patients experience musculoskeletal related pain that affects their daily life. Hemodialysis patient management programs should include an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such pain.

  • PDF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 정서적 상태, 소셜 미디어 이용 그리고 남한생활 만족도 (North Korean Defectors' Adaptation to South Korean Society: Their Emotional States, Social Media Use, and Life Satisfaction)

  • 민희
    • 정보화정책
    • /
    • 제25권2호
    • /
    • pp.67-83
    • /
    • 2018
  • 본 연구는 개인의 사회적 발전 및 안녕에 미치는 소셜 미디어의 영향력을 분석한다. 기존 연구에서 소셜 미디어는 사회적 심리적 자원이 결여된 개인이 사회적 연결망을 확장하고자 할 때 효과적인 수단으로 논의되어 왔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소셜 미디어 이용에 주목한다. 우리사회에서 북한이탈주민은 폐쇄적인 사회 연결망을 가진 것으로 인식된다. 이들은 사회구조적인 요인으로 인해 새로운 커뮤니티를 만들거나 그 속에서 관계를 확장하고자 하는 것에 소극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소셜 미디어 이용이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다. 특히 정서적 상태에 따른 소셜 미디어 이용이 남한생활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초점을 맞춘다.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소셜 미디어의 효과는 정서적으로 취약한 조건일 때 더욱 크다고 가정한다. 구체적으로 자아존중감이 낮거나 불안감 수준이 높을 때 남한생활 만족에 미치는 소셜 미디어의 영향력이 더욱 클 것이라고 본다. 또한 본 연구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동일한 분석을 실시한 후 그 결과를 북한이탈주민의 경우와 비교한다. 분석 결과 다소 흥미로운 결과가 도출되었다. 북한이탈주민은 불안감이 강한 사람이 약한 사람에 비해 남한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소셜 미디어의 영향력이 크지만 자아존중감의 경우 자아존중감이 높은 사람이 낮은 사람에 비해 남한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소셜 미디어의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라이프케어 증진을 위한 노년기의 노년초월, 가족지지,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죽음불안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Gerotranscendence, Family Support,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Fear of Death in Elders for Promotion of Life Care)

  • 홍은희;최영애;오승은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279-287
    • /
    • 2019
  • 본 연구는 노년기의 노년초월, 가족지지,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죽음불안의 정도와 이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서울시 거주 만 60세 이상 성인 5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일반적 특성 중 연령은 사회적지지와 죽음불안과 관계가 있었으며, 결혼상태는 가족지지와 연관이 있었고, 생활만족은 가족지지와 관련이 있었다. 노년초월과 죽음불안이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가족지지와 자아존중감과 상관관계가 있었고, 사회적 지지는 자아존중감과 죽음불안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를 통하여 노년기의 노년초월은 죽음불안과 연관이 있음이 밝혀졌으며, 노년기의 가족지지가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향후의 연구에서는 성인후기의 집단을 대상으로 노년초월의 정도, 생활만족과 노년초월의 관계 등을 포함한 연구들이 진행될 필요성을 가지고 있다.

무장애도시 구현을 위한 도시정책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Improvement Plans of Urban Policies for the Realization of a Barrier-Free City)

  • 윤재봉;김지현;오세경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6-40
    • /
    • 2021
  • 본 연구는 장애인, 노인, 임산부 등 사회적 약자들이 체감할 수 있는 무장애도시를 구현하기 위한 정책의 개선방안 및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주택, 판매·업무시설 등 시민들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시설의 이용 만족도가 시민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일반인과 사회적 약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상관분석과 T-test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사회적 약자가 일반인보다 더 높은 비율로 도시생활에서 불편·장벽을 경험하고 있었으며, 사회적 약자의 불편·장벽 경험 정도와 도시생활의 행복감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시민의 생활·복지·여가환경부문별 이용만족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생활환경부문에서 일반인과 사회적 약자 간 만족도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사회적 약자의 경우 생활환경부문의 만족도가 행복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적 약자들의 장애물 없는 도시생활을 지원하기 위한 대표적인 정책 중 하나인 BF 인증시설 인증현황을 살펴본 결과 복지환경부문의 시설이 주로 공급되고 있었다. 또한 BF 인증시설이 실수요자 중심으로 공급되고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ArcGIS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사회적 약자(고령인구, 어린이, 유아)의 공간적 분포와 BF 인증시설의 분포는 다소 일치하나 도심지역에 집중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충남 지역 고등학생의 식습관 및 급식 만족도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Dietary Habits and Satisfaction of School Meals of High School Students in Chungnam Area)

  • 김명희;최미경;김미원;조삼의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98-107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via survey of 300 enrolled male an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in the Chungnam area. The survey focused on students' dietary habits, changes in dietary habits based on the school lunch menu, and satisfaction of school lunches, in order to identify new methods for changing dietary habits and improving satisfaction of school lunches. Regard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ose surveyed, most were 17 years old, and of the same gender. Ninety-nine percent of those surveyed lived in farming areas, and the majority of students' parents graduated from high school and are self-employed. Research on dietary habits according to gender found that male students ate more regularly than did female students, with a difference of (p<0.001) between the two genders. Regarding the degree of which students ate only what they want, differences of (p<0.05) were found between the genders. The types of snacks frequently consumed were found to be flour-based snacks for the male students, whereas the females mostly consumed sweet foods and bread snacks. Research on satisfaction of school lunches according to gender also showed a difference of (p<0.5). Specifically, 48.7% of male students responded 'average', whereas only 45.3% of female students responded in the same way. The reason for dissatisfaction of school lunches were quality and nutrition for the male students (30%) and taste for the female students (60.4%),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p<0.05). Regarding the types of food most left over, both female and male students answered fish, bean curd, and soy products.

교과외 활동이 교육수요자의 학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창의적 체험활동, 생활지도, 상담활동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on School Satisfaction of Education Demanders -Focused on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life guidance, counseling activities-)

  • 전구훈;김희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380-387
    • /
    • 2018
  • 본 연구는 교과외 활동인 창의적 체험활동, 생활지도, 상담활동이 교육수요자인 학생과 학부모의 학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학교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실천적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거주하는 초 중 고등학생 1,242명과 학부모 1,023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뒤 설문내용을 바탕으로 t검증,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세 가지 주요한 분석결과를 도출했다. 첫째, 교과외 활동은 학교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적으로 한국의 학부모는 높은 교육열로 입시위주의 교육과정을 강조할 것으로 생각되었으나 학생과 학부모 두 집단 모두 교과외 활동이 강화될수록 학교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 급별로 학교만족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학교 급이 올라 갈수록 학교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수요자인 학생과 학부모의 교육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교과외 활동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고학년인 고등학교에도 지금보다 교과외 활동을 보강할 필요가 있다.

헤어미용 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가 미용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Cosmetology Major The impact of college student satisfaction on the cosmetology profession)

  • 문소희;공차숙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1667-1677
    • /
    • 2021
  • 본 연구는 헤어 미용 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가 미용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헤어 미용 전공 대학생들의 전공만족과 전문직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헤어 미용 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미용전문직관 간에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p<0.001), 전공만족은 '전문성' t=4.625(p=.000), '직업인식' t=3.152(p=.002)로, 전공가치는 '전문성' t=2.330(p=.021), '전문활동' t=2.438(p=.015), '직업인식' t=4.843(p=.000)으로, 대학생활적응은 미용전문직관의 하위요인인 '전문활동' t=2.746(p=.006), '직업인식' t=4.303(p=.000)으로 나타나 헤어 미용 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는 미용전문직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헤어 미용 전공 대학생에게 있어 전공만족은 대학 및 전공학과에 대한 만족뿐만 아니라 자기 자신에 대한 만족 및 헤어 미용 직무 자신감으로 이어져 긍정적인 영향으로 사회생활을 적응할 수 있게 해주며, 미용전문직관은 헤어 미용 직업에 대한 가치관과 태도로 미용 전공 대학생 때 전문직관이 생기게 된다. 연구결과를 통해 헤어 미용 전공 대학생들의 긍정적인 전문직관의 형성과 전공만족도를 높이고 올바른 이론과 실기교육을 통해 미용전문직관이 확립될 수 있도록 학생들의 자기계발과 더불어 교수 및 교육관계자들의 전문직업 윤리와 가치관에 관한 교육과 지속적인 지도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