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gree of difficulty

검색결과 490건 처리시간 0.032초

융합 공학교육을 위한 마이크로 디그리 도입 (Micro Degree for Convergence Engineering Education)

  • 홍연기
    • 융복합기술연구소 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31-36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how to introduce micro degree for innovation in convergence education in our university. To this end, the background of the introduction of micro and nano degrees and domestic and foreign applications were reviewed. The reason why the rate of students completing the multi-degree was low was that the credits required for graduation were higher than that of other domestic universities, and the difficulty of the courses offered in the convergence major did not match the students. In order to reduce the burden of students learning convergence subjects while acquiring new knowledge and skills, the introduction of a micro degree is considered to be an alternative to the current convergence education.

Lexical Homogeneity of A Rule Base

  • Lee, Ook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2년도 ITC-CSCC -3
    • /
    • pp.1642-1645
    • /
    • 2002
  • In this paper, I propose a measure of the status of a rule base that can be used to predict the degree of difficulty in the maintenace of a rule base.

  • PDF

초등수학에서 연산영역의 곤란도 분석 (A Degree of Difficulty in Operations Area in Elementary Mathematics)

  • 안병곤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7-30
    • /
    • 2009
  • 초등수학교육에서 처음 시작되는 사칙연산은 학교수학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 사칙연산에 대한 학습내용과 그에 대한 학생들의 학습결과를 알아보았다. 학습결과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교과서의 단원별 평가 문항에 나타난 결과를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이 자료를 바탕으로 단원별 평가문항에 대한 곤란도와 곤란도가 낮은 문항의 학습내용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초등학교에서 연산영역의 학습내용에 대하여 대부분의 학생들은 잘 이해하나 곱셈과 나눗셈에 대한 정확한 개념과 관계 그리고 체계적인 나눗셈의 원리지도와 문장제에 대한 더 많은 지도가 필요함을 보였다. 또 교과서의 학습내용에 대한 곤란도의 기준은 교과의 특성과 학생들의 수준 그리고 지역에 따라 다양하게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생각되었다.

  • PDF

학교급식 공동관리 영양사의 직무분석 - 경북지역을 중심으로 - (A Job Analysis in Common Managemant Dietitian of School Foodservice - Centering around Kyoung sang buk - do -)

  • 권영숙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5권2호
    • /
    • pp.182-193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sis the general job of 76 dietitian on common management of school food service in Kyoung-buk area. In this research we asked them some general aspects, and made use of three variants(job performing time, the degree of major recognition, and the degree of difficulty) each question after classifying their jobs into 13 standard jobs. Statistical data analysis was completed using SPSS package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urvey showed the following : 1. The types of common management are as in the following : of the whole 76, 37 on the rotative trip to one single school, 8 to two schools, 1 to three schools, 28 on the trip to one single school plus central food production and 1 on the trip to two schools plus central food production. 2. The average job performing time in his or her school is 2813 minutes(8.52 hours) per week. 3. The factor of the evaluation and study of school foodservice has the highest level in every variant, but there were no standard job which needed the high-level difficulty and the longer job performing time as it needed the low degree of major recognition.

  • PDF

중학교 과학과 총괄 지필평가 문항의 목표 분석 (Analysis of Summative Evaluation Objectives in Middle school Science Examination by Klopfer'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 박현주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6권2호
    • /
    • pp.293-302
    • /
    • 2012
  • 이 연구는 중학교 1학년 과학과 총괄 지필평가 출제경향을 조사하기 지필평가 문항의 행동영역, 내용영역, 문항유형, 난이도에 대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10개의 중학교의 1차와 2차 지필평가 문항의 총 645개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필평가 문항의 행동영역은 '지식, 이해' 수준으로 편중되어 있으며, 적용, 분석, 종합, 평가 영역의 문항은 거의 출제가 되고 있지 않았다. 둘째, 내용영역은 기존의 연구의 결과에 비해 과학적 탐구과정의 출제 빈도수가 많아졌지만, 여전히 과학지식을 묻는 문항이 과학적 탐구과정의 문항과 비교하여 두 배 이상의 비율로 출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문항유형은 선다형 문항 중심으로 출제 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정답률을 기준으로 문항의 난이도를 분석한 결과, 전체적인 빈도수에서 '상'에 해당하는 문항의 비율은 교사가 목표로 하는 난이도 비율보다 낮았으며, '중'의 비율은 교사가 생각하는 난이도 비율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과학학습에 대한 다양한 영역의 총체적인 평가를 위해서는 교사의 평가 및 문항 개발의 전문성 신장에 대한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대전지역 중학교의 기술.가정교과 "식생활단원"교육에 대한 교육실태 및 학습요구도 (Educational Status and Students' Educational Needs on the Food and Nutrition Section of Technology.Home Economics Subject at Middle Schools in the Daejeon Area)

  • 이준호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59-569
    • /
    • 2010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ducational status, students' recognition, educational needs and degree of difficulty on the food and nutrition section of Technology Home economics subject in middle schools. It was carried out through questionnaires. The subjects were 503(boys; 246, girls; 257) middle school students in 3rd grade in the Daejeon are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students' preference for food and nutrition section was 58.5% of boys and 72.0% of girls. On the educational status of this section, The highest cooking frequency was once a year(52.3%), but 12.9% of students had never done cooking practice. Generally, practice education was not enough in subjected schools. The education of food and nutrition section was mainly conducted by lecture. For the behavioral change of students after learning this section, 'I can cook some simple foods' was the most(36.8%) than the other. The contents of high educational needs in this section were 'cooking foods' and ‘basic cooking methods'. A average degree of difficulty in this section was 2.89 points of the likert scale(1~5 point), particularly, 'change of food components by cooking' was the highest at 3.17 points of likert scale(1~5 point) in this degree. In relation to demographic background, the difficult degrees of this sec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 when their parent's education was under middle school and their fathers' had no occupation. It suggests an increase in cooking frequency, complementing contents needed in life and using various audio-visual education aids are necessary for the education of food and nutrition section.

굴곡된 협수로 통항에서 조반자의 주관적 위험감지도와 조종인난도와의 상관관계에 관한 기초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Shiphandler's Subjective Evaluation and Maneuvering Difficulty in Curved Narrow Channel)

  • 이동섭;윤점동;정태권
    • 한국항해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10
    • /
    • 1996
  • The assesment of the safety of ship's transit in a curved narrow channel consists of the maneuvering safety determined by the chance of running aground, the maneuvering difficulty determined by ship's workload, and shiphandler's subjective evaluation. In this study,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shiphandler's subjective evaluation and the maneuvering safety, the real-time and full-mission shiphandling simulator in the Korea Marine Training & Research Institute(KMTRI) was utilized. On the conning bridge of the shiphandling simulator, 50 experienced masters have conducted the modeled vessel of 60, 000 deadweight tonnage along the designed channel under 3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It was possible to assess and analyze theoreticall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hiphandler's subjective evaluation and maneuvering difficulty under each environmental condition by quantifying the data obtained from the tes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circled1$ As the degree of maneuvering difficulty increases, the shiphandler's subjective evaluation increases in the designed channel under the designed environmental condition. $\circled2$ In the straight area, not the bend of the designed channel, maneuvering difficulty increases sharply under the environmental condition of current and wind coming from the stern.

  • PDF

Questionnaire Surveys on Teaching Skills and the Degree in Which Students Understand the Uppermost Points of Importance in Their Classes

  • Koike, Katsuaki;Mori, Kazuya;Yamao, Toshitaka;Fujimi, Toshio;Kim, Yun-Hae
    • 공학교육연구
    • /
    • 제13권5호
    • /
    • pp.61-65
    • /
    • 2010
  • As an activity of one working group for the Good Practice program at Kumamoto University, we proposed a questionnaire survey on the degree in which students understand the uppermost points of importance in their classes in addition to the usual type of class questionnaire. Each class lists three uppermost points of importance which are essential for understanding the class content. The degree of understanding is classified into four levels: full, most, insufficient, and not at all understandings. Through the analysis of questionnaire replies, the degree of understanding for bachelor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Engineering was discovered to be meaningfully affected by the degree of difficulty, the effectiveness of audiovisual aids, self-study time, and class attendance.

  • PDF

패션모델의 직무분석 (Job Analysis of Fashion Model's)

  • 양의식;양해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9호
    • /
    • pp.101-114
    • /
    • 2008
  • 이 연구는 한국의 패션모델이 직업현장에서 수행하는 직무 영역에 따라 구체적인 직무항목을 체계화하여 분류함으로써 패션모델들에게 요구되는 직무의 영역을 도출하기 위하여 실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패션모델산업의 각 분야와 한국 내 대학에서 활동하고 있는 10명의 패션모델들을 대상으로 데이컴(DACUM)법을 이용하여 패션모델의 직무를 분석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 결과, 패션모델의 직무는 7가지 임무에 따른 86가지의 과업이 분석되었으며, 패션모델이 입직초기에 수행해야할 직무가 32가지 과업(37.21%)로 분석되었는데 이들 과업은 대학을 졸업하기 전까지의 교육과정에서 익혀야할 과업이다. 분석된 결과에서 직무의 중요도, 난이도, 수행빈도를 조사한 결과 중요도가 높은 직무는 56가지(53.49%), 난이도가 높은 직무는 21가지(24.41%), 수행빈도가 높은 직무는 18가지(20.93%)로 분석되었다. 또한 중요도와 난이도가 모두 높은 직무는 16가지(18.6%), 중요도와 난이도 및 수행빈도가 모두 높은 직무는 7가지(8.14%)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패션모델 입직 전의 대학교육과정과 현직 패션모델을 대상으로 한 재교육 프로그램의 교육내용 구성에 본 직무분석 결과를 적극 반영함으로써 패션모델의 직무능력을 강화 할 수 있을 것이다.

대학수학능력시험 난이도 관련 변인 탐색 (A Study of Variables Related to Item Difficulty in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 박문환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4권1호
    • /
    • pp.71-88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출제되는 수리 영역의 문항에 대한 난이도를 결정짓는 변인을 탐색하고, 난이도를 측정할 수 있는 구체적인 검토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 분석과 기출 수능 문항에 대한 내용 및 난이도 분석을 시도하였다. 여기서 추출된 변인을 토대로 1차 검토도구를 만들고 오답률과 추출된 변인들 사이의 상관분석을 시도하여 상관도가 비교적 낮은 변인은 삭제하거나 수정 보완하여 2차 검토도구를 만들었다. 2차 검토도구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예측 모형을 개발하고, 각 모형에 대하여 회귀계수를 비교하고, 교차타당도를 분석한 결과 안정성과 정확성이 가장 높은 최적의 예측모형은 '통합 회귀방정식 모형'으로 나타났다. 또한 통합 회귀방정식 모형을 토대로 분석하였을 때 오답률에 대한 설명력은 답지의 형식, 내용 영역, 행동 영역, 문항의 생소성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난이도 관련 변인에 대한 연구가 전무한 상태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많은 한계가 있으며 추후에 난이도를 보다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는 연구 방법이 기대 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