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ucational Status and Students' Educational Needs on the Food and Nutrition Section of Technology.Home Economics Subject at Middle Schools in the Daejeon Area

대전지역 중학교의 기술.가정교과 "식생활단원"교육에 대한 교육실태 및 학습요구도

  • Lee, Joon-Ho (Dept. of Consumers' Life Inform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이준호 (충남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소비자생활정보학과)
  • Received : 2010.08.20
  • Accepted : 2010.10.15
  • Published : 2010.12.30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ducational status, students' recognition, educational needs and degree of difficulty on the food and nutrition section of Technology Home economics subject in middle schools. It was carried out through questionnaires. The subjects were 503(boys; 246, girls; 257) middle school students in 3rd grade in the Daejeon are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students' preference for food and nutrition section was 58.5% of boys and 72.0% of girls. On the educational status of this section, The highest cooking frequency was once a year(52.3%), but 12.9% of students had never done cooking practice. Generally, practice education was not enough in subjected schools. The education of food and nutrition section was mainly conducted by lecture. For the behavioral change of students after learning this section, 'I can cook some simple foods' was the most(36.8%) than the other. The contents of high educational needs in this section were 'cooking foods' and ‘basic cooking methods'. A average degree of difficulty in this section was 2.89 points of the likert scale(1~5 point), particularly, 'change of food components by cooking' was the highest at 3.17 points of likert scale(1~5 point) in this degree. In relation to demographic background, the difficult degrees of this sec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 when their parent's education was under middle school and their fathers' had no occupation. It suggests an increase in cooking frequency, complementing contents needed in life and using various audio-visual education aids are necessary for the education of food and nutrition section.

Keywords

References

  1. 강혜경(2007) 중학교 기술.가정교과의 식생활 단원에 대한 교육 및 식생활 태도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경애.최현덕(1999) 중학생의 식생활 단원에 대한 인식과 식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1(2), 89-110.
  3. 김경원.신은미(2002) 대전지역 여중생들의 체중조절여부에 따른 영양지식, 식태도, 식행동 및 영양소섭취실태에 관한 연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7(1), 23-31
  4. 김선희.정진희(2001) 서울시내 고등학생의 식행동 과 패스트푸드 소비실태. 대한가정학회지 39(10), 111-124.
  5. 김은숙.고무석.정난희(2005) 중학생의 식생활 단원에 대한 인식과 활용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7(3), 53-70.
  6. 김판욱.김기수.김종명.강성모.이경근.유효선..장민자.황혜영.이내순(2008) 중학교 기술.가정. 서울. 지학사.
  7. 박인영.이심열(2006) 중학교 기술.가정교과의 식생활 단원 교육이 학생들의 영양지식, 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8(4), 25-38.
  8. 변현정(2004) 제 7차 교육과정의 기술.가정 교과에 대한 중학생의 태도.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안수연(2006) 기술.가정교과의 식생활 단원에 대한 남녀 중학생의 인식 및 활용도.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안계수.신동순(2001) 경남지역 일부도시와 어촌 중학생의 영양소 섭취 및 식습관 비교.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6(3), 271-281.
  11. 윤명숙(2006) 제 7차 중학교 기술.가정 교육과정에 대한 학습내용의 흥미도와 실생활 적용도. 울산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정미교.김영남(2001) 서울 시내 중학생의 BMI 비만도 및 관련 식생활 요인 분석.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3(2), 101-111.
  13. 정인경.김진숙(2007) 중학교 기술.가정교과의 식 생활 단원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및 활용실태.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8(2), 219-230.
  14. 최선정.손희숙.차연수.김숙배(2004) 전북 일부지역 중학생의 제 7차 교육과정 기술 .가정 교과중 식생활 단원에 대한 인식.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9(1), 12-18.
  15. 황숙희(2003) 중등 가정과 초임교사의 교과지도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황인화.김기남(2000) 가정교과<식생활 단원>에 대한 중학생의 인식 및 활용.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논총 7(1), 45-61.
  17. Mahan LK, Rees JM(1984) Adolescent life style and eating behavior, eating disorder. Nutrition in adolescence. Times Mirror Mosby College Publishing, 77-100.
  18. Truswell AS, Ian DH(1981) Food habits of adolescents. Nutr Rev 39(2), 73-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