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foliation

검색결과 157건 처리시간 0.024초

혼파초지의 이용방법 비교시험 I. 방목 및 예취이용에 따른 목초생산성과 식생구성 변화 (Trials of the Utilization Method in Mixtures Swards I. Effects of grazing and cutting management on forage production and botanical composition)

  • 신재순;박근제;이필상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96-102
    • /
    • 1989
  • This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grazing and cutting management on the forage production and botanical composition at different legumes sown swards of the experimental field of Livestock Experiment Station. in Suweon, from Aug. 1985 to Oct. 1988.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Dry matter yield of cutting management (1213.0 kg/lOa) was higher by 19% than that of grazing management (1016.8 kg/lOa). Yield of pasture mixtures including alfalfa both cutting and grazing were higher than those including ladino clover and red clover. Yield under grazing was inferior to cutting in the first year but superior in the second year. 2. Seasonal dry matter production under grazing showed 5 1% in spring, 33% in summer and 16% in autumn, but under cutting showed 46% in spring, 42% in summer and 12% in autumn. 3. Daily dry matter production per 10a under grazing is decreased 5.9 kg in spring, 5.5 kg in summer and 3.7 kg in autumn. But under cutting is decreased 8.7 kg in summer, 6.6 kg in spring and 3.4 kg in autumn. 4. Botanical compositions of mixtures swards involving ladino clover and red clover were not influenced by method of defoliation. But mixtures swards including alfalfa were highly influenced by method of defoliation. Alfalfa ratio at the time of final utilization under grazing was about 30%, but under cutting was about 70-80%.

  • PDF

ENSILING CHARACTERISTICS AND NUTRITIVE VALUE OF GUINEA GRASS (Panicum maximum, Jacq.) AS AFFECTED BY GROWTH STAGE

  • Ibrahim, M.N.M.;Premaratne, S.;Perera, H.G.D.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권2호
    • /
    • pp.123-128
    • /
    • 1989
  •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study the effect of frequency of defoliation on the ensiling characteristics and nutritive value of Guineaecotype 'A' (Panicum maximum Jacq) grass. Guinea grass harvested at 2, 3, 4, 5, 6, 7, 8, 9, 10 and 12-week cutting intervals was chopped (2 cm) and ensiled alone or with the addition of coconut (Cocos nucifera L.) meal (w/w-fresh weight basis), for periods of 6, 7 or 8 weeks in 2-litre laboratory silos. Dry matter, water soluble carbohydrates, lactic acid, pH, ash, nitrogen and digestibility in vitro were measured in representative samples of preensiled and ensiled material. Dry matter content of silages prepared from herbage harvested at 2 and 3 weeks intervals was lower (P<0.05) compared to longer defoliation intervals. The pH of silage prepared from herbage over 8 weeks old were higher (P<0.05) than those harvested below 8 weeks. The water soluble carbohydrate content of silage prepared from 3-weekly defoliated herbage was higher (P<0.05) than those prepared from longer periods. Lengthened growth period decreased (P<0.001) the crude protein content of the ensiled material, whereas the addition of coconut meal resulted in marginal increases. In vitro organic matter digestibility of the silages decreased (P<0.05) with the increase in forage maturity.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종자생육에 관한 연구 III. 추.춘 청예이용이 종실수량에 미치는 영향 (Seed Production Studies in Italian Ryegrass ( Lolium multifiorum Lam. Italicum ) III. Effects of Autumn and Spring Defoliation on Seed Yield of Italian Ryegrass)

  • 박병훈;박희길;배상태;강정훈;이남종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49-54
    • /
    • 1987
  • Information is needed on the plant characteristics affects by forage removal and their relationships to grain yield of italian ryegrass in order to combine herbage seed crop management and livestock farming. This study with tetraploid cv. Tetrone was carried out on the experimental field of Haenam Branch Station. treatments included two different seeding time, cutting time and frequency. Seeds were sown in row 50 cm width within the row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Fresh and dry matter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in plots defoliated lately and many times but seed yield components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in plots defoliated in spring. 2. Autumn defoliation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seed yield but seed yield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in plots defoliated later than 8 April. 3. Excess vegetative growth can be removed in autumn and early spring without harm to the seed crop and the most important aspect of its removal is the timing of the operation. 4. Seed yield reductions were accompanied by the decrease of inflorescences,seeds/spike, and thousand seeds weight, due to an increase in apex removal of vigorous tillers by late cutting.

  • PDF

파종시기 및 가을 수확방법이 추파호밀의 생육특성 , 사초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eding Date and Fall Harvest Method on the Growth Charateristics , Forage Yield and Quality of Winter Rye)

  • 김종덕;김동암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38-246
    • /
    • 1994
  • 본 시험은 가을에 파종한 호밀()에 대한 파종시기 및 가을 수확방법이 호밀의 생육특성, 사초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1992년 9월 5일부터 1993년 4월 21일까지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부속시럼목장의 사초시험포장에서 수행되였으며, 가을수확방법으로서 무예취, 가을예취 및 가을 방목을 주구로 하고 파종시기(조기파종;9월 5일, 중기파종;9월 25일, 만기파종;10월 15일)를 세구로 하는 분할구 시험법으로 3반복 설계배치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호밀의 출수시작일은 무예취 및 가을방목간에는 3일차이가 있었으나 조기 및 만기파종간에는 6일의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호밀의 출수시작일에 미치는 가을파종시기의 영향은 가을수확방법보다 더 컸다. 2. 호밀의 CPgkafid은 가을방목구가 16.5%로 가을예취 및 무예취구의 15.6보다 조금 높았으나, 파종기에 따라 호밀의 CP함량은 조기, 중기 및 만기파종이 각각 14.2, 14.5, 19.0%를 보였다. 3. 호밀의 ADF 함량은 가을예취(29.9%)및 무예취구(29.5%)가 가을방목구의 28.0%보다 조금 높았으며 파종기에 따라서는 조기, 중기 및 만기파종이 각각 30.7, 29.1 및 27.7%를 보였다. 또한 가을수확방법 및 파종시기에 따른 호밀의 NDF함량은 ADF함량과 같은 경향을 보여주었다. 4. 호밀의 RFV와 IVDMD는 무예취 및 가을 예취구가 가을방목구보다 낮았으나, 파종기의 경우는 파종이 늦어짐에 따라 증가하였다. 5. 호밀의 건물수량은 가을예취구가 6,779kg/ha로 가장 높았고 무예취구가 6,240kg/ha로 가장 낮았으나 수확방법간에는 유의성이 없었으며 파종기에 따른 건물수량은 파종이 늦어짐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본 시험의 결과를 종합하면 호밀은 봄의 1회 수확보다 가을 일찍 파종하여 가을과 봄에 2회 수확하는것이 사초수량이 높았다.

  • PDF

식물생장조절제(植物生長調節劑)가 포도 'Campbell Early' (Vitis labruscana B.) 품종(品種)의 과실성숙(果實成熟) 및 품질(品質)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s on the Ripening and Quality of 'Campbell Early' Grape Fruit (Vitis laburuscana B.))

  • 김종현;이재창;황용수
    • 농업과학연구
    • /
    • 제18권1호
    • /
    • pp.1-9
    • /
    • 1991
  • 본(本) 연구(硏究)는 생장조절물질(生長調節物質) 및 물리적(物理的) 처리(處理)를 통한 포도의 성숙조절기술(成熟調節技術) 확립(確立)을 목적으로 수행되어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Anti-gibberellin인 chlormequart 및 paclobutrazol의 verasion 10일전(日前) 처리는 박피(剝皮) 또는 적분처리(摘糞處理)에 관계없이 anthocyanin 함량(含量)을 증가시켰으나 가용성고형물함량(可溶性固形物含量) 및 과실의 숙기(熟期)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환상박피(環狀剝皮)는 성숙(成熟)을 촉진(促進)함은 물론 가용성고형물(可溶性固形物)의 축적(蓄積)을 촉진(促進)하였고 반면에 적엽처리(摘葉處理)는 숙기(熟期) 및 고형물(固形物)의 축적(蓄積)을 현저히 지연(遲延)시켰다. 2. Auxin (2,4-D 및 fenoprop)는 농도(濃度)에 따라 과실의 성숙(成熟)을 20일(日)에서 30일(日)가량 지연(遲延)시켰으며 처리농도(處理濃度)가 50 ppm이상일 경우 과방내(果房內)에서도 과립(果粒)의 성숙(成熟)이 불균일(不均一)하여 정상과립(正常果粒)이 과숙한 후에도 20-30%의 과립(果粒)은 미숙 상태로 남아 있었다. 3. Gibberellin 단용처리(單用處理)는 과실의 성숙(成熟)에 영향하지 않았으나 auxin 가용(加用)의 경우는 auxin 단용에서와 같이 성숙지연(成熟遲延) 및 과립(果粒)의 불균일(不均一)한 성숙현상(成熟現象)이 관찰되었다. 4. Verasio기(期)의 칼슘 가용(加用) ethephon 처리(處理)는 과실의 성숙(成熟)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anthocyanin 함량(含量)을 증가시켰다.

  • PDF

수도의엽신별 생육효과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Productivity of Individual Leaf Blade of Paddy Rice)

  • 조동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8권
    • /
    • pp.1-27
    • /
    • 1975
  • 실험 I. 질소의 시비량을 달리 하였을 때 출수기에 있어 실비의 효과 및 전엽처리에 따른출수후의 각엽위별 엽신이 등숙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저 포장시험을 한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질소시비에 따른 1주평균 수수 및 1수당 경화수는 질소의 시비량이 많을수록 증대되었으나 등숙율, 제현비율 및 현미천립중은 질소시비량이 많을수록 저하되었다. 2. 출수기 실비시비에 따른 등숙률 및 현미천립중은 표준구보다 질소시비량이 많을수록 증대되었으며 정조중은 통계적인 유의차는 인정할 수 없으나 수치적으로 증대되었다. 3 전엽처리에 따른 등숙율, 정조중, 현미천립중 및 제현비율은 전엽의 정도가 클수록 현저히 저하되었다. 4. 엽위별 존치엽수의 조합에 따른 등숙율, 정조중현미천립중 및 제현비율은 엽신 1매를 존치하였을 때는 $L_1(지엽)>L_2>L_3>L_4$순으로 저하되었으며, 엽신 2매를 존치하였을 때는 상위엽과 조합될수록 증대되었다. 그리고 엽신 3매를 존치하였을 때도 같은 경향을 보였다. 5. 전엽처리에 따라 엽위별 엽신수가 감소될 경우에는 존치엽면적이 넓고 엽신건물중과 엽신질소함량이 증대될 때에 등숙률, 정조중, 현미천립중 및 제현비율이 증대되었다. 6. 시비량의 증대는 존치엽수와 관계없이 등숙률 및 현미천립중을 저하시켰으나, 실비의 시용은 이와는 반대의 결과를 보였다. 정조수량은 기비 및 추비량의 증대에 따라 증대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실비의 효과는 존치엽수가 적을 경우에는 많을 경우보다 저하되었다. 7. 엽신이 차지하는 등숙률 및 현미수량에 대한 생산효과는 50% 이상이었으며 천립중은 10%에 불과하였다. 질소의 시비량의 증가에 따라 등숙율 및 천립중에 대한 엽신의 영향은 증대되었다. 기비량의 증가에 따라 현미중에 대한 엽신의 영향은 증대되었으나 수전기의 추비량이 증가될수록 그 영향은 저하되었다. 8. 엽위별 엽신이 등숙율, 현미중 및 천립중에 미치는 생육효과는 $L_1(지엽)>L_2>L_3>L_4$순이었으며 질소의 시비량이 많을수록 $L_1$$L_2$의 생산효과가 증대되는 경향을 보였다. 시험 II. 질소의 시비시기를 달리 하였을 때 전엽처리에 따른 출수후 엽위별 엽신이 등숙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저 포장시험을 한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1주당 평균 수수는 기비로부터 출수전 22일까지 시비된구와 분시된구에 있어서 증대되었으며 경화수는 출수전 36일부터 15일까지 시비된구가 증대되었다. 등숙율은 기비구로부터 출수전 15일까지는 무비구보다 저하되었으며 출수전 8일 이후에 시비된 구는 증대되었다. 가장 저하된 구는 출수전 29일구였다. 정조수량은 출수전 29일부터 22일 시비구가 가장 증대되었다. 현미천립중은 출수전 22일부터 8일까지의 시비된구가 다소 높았다. 2. 전엽처리에 따른 등숙율, 정조중, 현미천립중 및 정현비율은 전엽의 정도가 클수록 모두 현저히 저하되었으며 처리간에 고도의 유의차를 보였다. 3. 엽위별 존치엽수와 그의 조합에 따른 등숙율 정조중, 현미천립중 및 제현비율은 엽신 1매가 존치되었을 때는 $L_1(지엽)>L_2>L_3>L_4$순으로서 상위엽이 존치될수록 증대되었다. 엽신 2매시는 상위엽과 조합되었을 때 등숙율, 정조중 및 제현비율이 증대되었으며 현미천립중의 증대에는 지엽이 가장 크게 작용한 것 같았다. 엽신 3매를 존치하였을 때도 상위엽과 조합된 것일수록 증대되었다. 4. 전엽처리에 따라 엽위별 엽신수가 감소될 경우 엽면적 엽신건물중 및 엽신질소함량과 등숙율 및 정조중간에는 정의 상관을 보였으나 현미천립중간에는 시비시기에 따라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5. 시비시기가 출수기에 가까울수록 전엽에 의한 등숙율 및 천립중은 저하되었으며 존치엽수가 적어질수록 그 경향은 증대되었다. 출수기 이후의 추비는 존치엽수의 증대에 따라 등숙율 및 천립중을 증대시키며 존치엽수가 적을 경우에는 출수기에 가까운 시기에 시비가 정조수량을 증대시켰다. 6. 시비시기에 따른 각기관별 생산효과는 등숙율에 있어서는 시비시기가 늦어질수록 엽신의 생산효과가 크며 무비구에 있어서는 엽신과 간의 생산효과가 동일하였다. 현미수량에 대한 생산효과는 시비시기에 구애됨이 없이 간의 생산효과는 50%이상을 찾 하였으며 무비구에 있어서는 그 경향이 더욱 증대되었다. 현미천립중은 간에 의하여 지배되며 엽신의 영향은 근소하였다. 7. 엽위별 엽신이 등숙율, 정조중 및 현미천립중에 미치는 생산효과는 시비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상위엽일수록 생산효과가 증대되는 경향을 보였다. 전생육기간을 통하여 분시된구는 등숙율 및 정조수량에 있어서는 지엽과 2위엽이 거의 같은 정도였으나 현미천립중에 있어서는 지엽이 전엽의 생산량의 60%이상을 차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