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flection

검색결과 3,778건 처리시간 0.035초

여성전문인의 능력발전에 관한 연구 - 전문간호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bility Women Specialist -Focused on the nursing specialist-)

  • 권일주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01-119
    • /
    • 1989
  • In the present, since a five-year plan for economic development which was started in the early 60's has been successfully promoted for a quarter century, with consolidation in a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in our country the participation. in economic society for women is more required than any other times. As a professional occupation for women is incereaing through a high-standard specialization, I think the upbringing for productive woman expert who has a strong motive of accomplishment as a developed person as well as a technical and skilful capacity which can be contributed to the growth of organization is very important. So in this study, I am evaluating the technical disposition of character of professional nurses working with hospital and also trying to supply the basic data being served to th extension of a skillful ability as a nurse, understanding the important factor related to it. The research method applied here is that we used 527 of formed questionnaires which were distributed to 7 University and General Hospitals, somewhat large in a scale, located in Seoul as an analytical material. It was performed between October 11, 1988 and October 18, 1988. An implement which was invented by Cho Moo-Sung is used after being amended and supplemented, which can measure the disposition of professional character. The formation of questionnaires of the disposition of character is 26 totally, 10 for Open-disposition, 11 for Active-disposition, 5 for wise-disposition, and it was measured. 'Ye', or 'No' through an one-half-standard and the environment of hospital organization is composed 12 questions from one point of 'Very Good' to 5 points of 'Very Bad.' Collected materials were analysed through an electronic calculation into the average value, the standard deflection, percentage, person correlative number, $X^2-test, m$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Summarizing the result from this research is as follows; 1.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ive person of this investigation is 28.6 and the average career as a nurse is 6.0 years. 2. The Open-disposition that technical nurses showed is mostly half and half. 3. The Active-disposition of professional nurses was discovered affirmative largely and what they said in their questionnaires describes that they are very active answering $88.2\%$ for the disposition of self-control, $87.3\%$ for the people who think the training more seriously. 4. It was found out that the wise·disposition of technical nurse showed $90.7\%$ of 'Yes' about a new alternative of inquisitive question and we can see a progressive and profound aspect here. 5. As technical character of nurses, mutual relations between Active-disposition, Active-disposition, and wise­disposition were very profitably revealed as 0.42 in justice relations and also suggested that relations between Open-disposition, Active-disposition, and wise-disposition are 0.27 and 0.20 respectively. 6. What nurses recognize about the environment of hospital organization is reasonably acceptable while they feel very bad about rewards and punishments showing average 3.1 comparing to average 2.2 about time­control each other. Considering the prosperity of Active-disposition upon the result what I mentioned above, th possibility which is contributed to the productive improvement of hospital organization is very great and I think it can be more developed as a professional woman who has a strong motive of accomplishment, in advance.

  • PDF

산업부산물을 활용한 고강도 경량콘크리트 보의 전단강도에 대한실험 연구 (Experimental Studies on Shear Strength of High-Strength Lightweight Concrete Beam using the Industrial by-products)

  • 이승조;박정민;김화중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8권5호
    • /
    • pp.621-630
    • /
    • 2006
  • 산업부산물을 활용한 고강도 경량 콘크리트 보의 역학적 거동 구명과 함께 경량 콘크리트 보의 이론식을 바탕으로 합리적인 전단강도식을 제안하였다. 보는 경량 골재를 사용한 고강도 경량 콘크리트 보(L) 8개와 일반 골재를 사용한 고강도콘크리트 보(H) 4개의 실험체를 제작하였다. 그리고 전단스팬비(a/b=1.5, 2.5, 3.5, 4.5), 인장철근비(${\rho}$=0.57, 1.0, 1.59, 2.3%), 콘크리트의 압축강도(35.4, 65.3MPa)를 주요 변수로 설정하여 실험하였다. 이로부터 보에 대한 하중-처짐관계 및 변형률 분포, 파괴성상, 최대내력 등에 대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보의 전단강도식의 제안을 위하여 사인장 균열 강도와 극한전단강도로 세분화하여 기존 제안식과 규준식에 적용시켜 상호 비교 분석을 하였다. $V_{cr}$에 있어서는 a/b=2.5 이상에서는 ACI 규준식과 Zsutty제안식에서 감소하는 결과였지만, Mathey의 제안식에서는 약간의 상승 경향을 보였다. 또한, ${\rho},\;f_c$의 증가에 따라 $V_{cr,\exp}/V_{cr,cal}$은 과대평가의 경향이 나타났다. 한편, $V_{u, \exp}/V_{u,cal}$에서는 통계적인 방법으로 유도된 Zsutty의 제안식이 실험결과와의 일치성에서 좋은 결과를 보였다. 이 식으로부터 유도 수정된 전단강도에 대한 제안식은 $V_{cr},\;V_u$에서 합리적으로 예측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된 전단강도 식은 경량 콘크리트의 전단스팬비, 인장철근비, 콘크리트 압축강도의 변화에 따른 전단내력을 합리적으로 평가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SRC기둥-RC보 약축방향 접합부 상세의 구조성능에 대한 실험적 연구 (Cyclic Load Testing for Weak Axis Joints Connected with SRC Column and RC Beams)

  • 문정호;임재형;오경환;김성호;이강민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1권1호
    • /
    • pp.37-45
    • /
    • 2009
  • 본 연구는 SRC기둥-RC보 약축방향 접합부에 대한 구조성능 평가 실험 연구이다. 현재 국내현장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약축방향 접합방식은 구조성능이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은 방식이 많으며, 이에 대한 안전성 확보 여부의 검증 및 문제점에 대한 개선도 시급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표준갈고리형 실험체 3개와 접합부 형상 개선 실험체 3개 등 총 6개의 실험체를 제작하였다. 표준갈고리형 실험체들은 기준실험체, 정착길이 보정 실험체, 쉬어코넥터 및 전단보강근에 의한 보강 실험체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접합부 형상 개선 실험체들은 주철근배치 방식과 용접 그리고 정착길이 확보 실험체 등이다. 반복가력에 의한 실험을 통하여 하중-변위 곡선, 최대강도, 강도저감 등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표준갈고리형 실험체들은 RC보의 주철근이 기둥면 내 콘크리트를 물고 떨어지는 쪼개짐 파괴현상을 나타내었으며, 구조성능도 불량하였다. 그러나 새로운 접합부 형상 개선 실험체들은 표준갈고리형 실험체들과 같이 기둥면 내콘크리트를 물고 떨어지는 쪼개짐 파괴현상도 나타나지 않았으며, 구조성능도 양호하였다.

동바리 되세우기를 실시한 다층 건축구조물 바닥판의 시공하중 평가 (Evaluation of Construction Loads of Slabs and Shores with Removing Shores and Placing Reshores)

  • 천성철;탁소영;이성호;소광호;하태훈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6권3호
    • /
    • pp.385-392
    • /
    • 2014
  • 동바리 되세우기 공법은, 타설되는 층의 바로 아래 바닥판을 지지하는 동바리를 임시 제거한 후 다시 동바리를 설치하는 방법으로, 각 층의 바닥판이 자신의 하중을 스스로 지지하게 유도함으로써 아래 층 바닥판의 시공 하중을 경감시켜 시공 중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I 347.2R-05에서 제안한 단순 해석 결과, 되세우기를 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바닥판과 동바리 시공하중은 각각 40%와 23% 저감되고, 동바리와 거푸집 물량은 각각 40%, 50% 절감 가능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현장 계측 결과, 되세우기를 실시한 층의 바로 아래 층의 동바리에는 상부 층 되세우기 작업 전에 비해 50%의 하중 저감이 발생하였다. 또한 되세우기를 실시하지 않은 영역의 동바리 하중에 비해 되세우기 작업 후 35%의 하중 저감이 발생되었다. 동바리 되세우기를 실시한 층의 상부 보 처짐은 최대 L/5000이 발생하였으며, 주철근의 변형률은 항복변형률 대비 3.6%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N+1층 콘크리트 타설 직전에 동바리 되세우기를 실시하는 것은 구조물의 안전성과 사용성에 문제를 야기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계측된 동바리 하중을 통해 바닥판에 작용되는 최대 시공하중을 예측하면 1.52D로 ACI 347.2R-05의 단순 해석 결과인 1.38D와 유사하다.

인장증강효과를 고려한 철근콘크리트 단순보와 연속보의 유효 단면2차모멘트에 대한 실험적 검증 (Experimental Evaluation on Effective Moment of Inertia of Reinforced Concrete Simple Beams and Continuos Beams Considering Tension Stiffening Effect)

  • 이승배;윤형재;김강수;김상식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제20권2호
    • /
    • pp.285-288
    • /
    • 2008
  • 철근콘크리트 휨 부재에서 현행 설계기준들의 처짐 계산 규정은 콘크리트의 균열 후 보의 휨강성이 감소하는 것을 반영한 유효 단면2차모멘트 $I_{\epsilon}$의 개념을 적용하여 부재의 최대 처짐을 계산하는 방법이 다. 그러나 균열 발생에 따른 부재의 강성 변화를 전 경간에 걸쳐 동일하게 $I_{\epsilon}$로만 적용하여 인장증강효과 등을 직접적으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단순보와 연속보에서의 단면2차모멘트를 기준식이 정확히 나태나고 있는지 검증하고 이를 수정하여 보다 정확한 단면2차모멘트 예측식을 제안하고자 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철근콘크리트 단순보와 연속보에서의 유효 단면2차모멘트를 이론값, 실험값과 비교, 분석하고 인장증강효과가 유효 단면2차모멘트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단순보에서는 콘크리트 강도 및 피복두께에 따른 주근의 비부착을 변수로 하여 총 6 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였고, 연속보에서는 주근의 비부착 위치에 따라 총 4 개의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실험 결과 단순보와 연속보 모두 국내 콘크리트구조설계 기준식에 의한 유효단면 2차모멘트의 이론값과 실험값이 유사한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연속보에서는 이론값과 실험값의 오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단순보에서 는 피복두께가 두꺼운 시험체 및 고강도 시험체가 주근의 비부착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속보에서는 중앙부의 비부착이 단순보의 유효 단면2차모멘트에 비해 큰 영향일 미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 PDF

Residual Stress and Elastic Modulus of Y2O3 Coating Deposited by EB-PVD and its Effects on Surface Crack Formation

  • Kim, Dae-Min;Han, Yoon-Soo;Kim, Seongwon;Oh, Yoon-Suk;Lim, Dae-Soon;Kim, Hyung-Tae;Lee, Sung-Min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52권6호
    • /
    • pp.410-416
    • /
    • 2015
  • Recently, a new $Y_2O_3$ coating deposited using the EB-PVD method has been developed for erosion resistant applications in fluorocarbon plasma environments. In this study, surface crack formation in the $Y_2O_3$ coating has been analyzed in terms of residual stress and elastic modulus. The coating, deposited on silicon substrate at temperatures higher than $600^{\circ}C$, showed itself to be sound, without surface cracks. When the residual stress of the coating was measured using the Stoney formula, it was found to be considerably lower than the value calculated using the elastic modulus and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of bulk $Y_2O_3$. In addition, amorphous $SiO_2$ and crystalline $Al_2O_3$ coatings were similarly prepared and their residual stresses were compared to the calculated values. From nano-indentation measurement, the elastic modulus of the $Y_2O_3$ coating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coating surface was found to be lower than that in the normal direction. The lower modulus in the parallel direction was confirmed independently using the load-deflection curves of a micro-cantilever made of $Y_2O_3$ coating and from the average residual stress-temperature curve of the coated sample. The elastic modulus in these experiments was around 33 ~ 35 GPa, which is much lower than that of a sintered bulk sample. Thus, this low elastic modulus, which may come from the columnar feather-like structure of the coating, contributed to decreasing the average residual tensile stress. Finally, in terms of toughness and thermal cycling stability, the implications of the lowered elastic modulus are discussed.

하악과두하 골절 시 후하악 접근법과 내시경을 이용한 구강 내 접근의 비교 (Retromandibular Approach versus an Endoscope-assisted Transoral Approach to Treat Subcondylar Fractures of the Mandible)

  • 김동우;박대송;이상칠;김성용;임호용;염학열;김현민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3권6호
    • /
    • pp.497-504
    • /
    • 2011
  • Purpose: Patients who had a subcondylar fracture with a displaced or deviated condylar segment were treated with a retromandibular approach (RMA) or an endoscope-assisted transoral approach (EATA) in our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The clinical results of the approaches were compared. A comparative study of specific approaches for subcondylar fractures has not been published before in Korea. Methods: Twenty-one patients with subcondylar fractures of the mandible were included. Ten patients were treated with the retromandibular approach and 11 were treated with an endoscope-assisted transoral approach. We examined patient age, gender, fracture sites, classifications, period of maxillomandibular fixation, facial nerve (FN) or greater auricular nerve (GAN) injuries, maximal mouth opening, deflection, occlusal changes, number of plates, follow-up period, and other complications. Preoperative computed tomography and pre-operative, post-operative, and follow-up panoramic views were taken of each patient. Results: Mean maximal mouth openings were similar between the two approaches. FN and GAN injuries were more frequent in the RMA group but the deflective rate with mouth opening was higher in the EATA than that in RMA group. Two cases of post-operative infection occurred in the EATA group, and occlusal changes were observed in one case for both approaches. Conclusion: The RMA offers more direct access and visualization of the surgical field but it can cause scars and retractive injuries of the FN and GAN. But, EATA did not result in consequent nerve injuries or scars postoperatively, but unfavorable fractures such as $medial$ $override$ condyles were more difficult to reduce endoscopically. Except cases of an expected difficult reduction, the treatment of choice for a displaced subcondylar fracture may be an EATA.

토목섬유로 보강된 성토지지말뚝 구조에 적합한 말뚝재료의 개발 (A Study on the Pile Material Suited for Pile Supported Embankment Reinforced by Geosynthetics)

  • 최충락;이광우;김은호;정지원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21-35
    • /
    • 2016
  • 최근 철도는 고속화를 위해 콘크리트궤도를 적용하는 추세이고 연약지반 구간에 건설된 철도는 장기간에 걸친 작은 양의 침하발생으로도 침하에 민감한 콘크리트 궤도의 침하량 허용범위를 초과하여 궤도의 손상과 뒤틀림을 초래할 수 있다. 연약지반에 건설된 철도의 잔류침하를 효과적으로 제어 할 수 있는 방법으로 성토지지말뚝공법을 들 수 있으며 성토하중을 말뚝머리로 전달하기 위해 콘크리트 슬라브가 사용되기도 하나 하중이 전달되는 과정에 나타나는 성토체 내부의 아칭효과를 극대화하는 토목섬유를 이용한 방법이 보다 경제적이다. 그러나 토목섬유 등으로 인해 집중된 성토하중을 받는 성토지지용 말뚝은 일반적으로 교량구조물에 사용하는 PHC말뚝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필요이상으로 높은 강도의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재료의 효율성이 크게 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해외의 적용사례 조사를 통해 성토지지용으로 가장 적합한 말뚝의 형식으로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을 선정하고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배합설계와 압축강도시험을 통해 성토지지용 말뚝재료의 최적 배합조건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최적배합조건을 적용한 성토지지용 현장타설말뚝이 기존 PHC말뚝에 비해 재료의 효율성이 약 2.8배 뛰어나다는 것을 수치해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사질토 지반에서 군말뚝의 수평거동에 관한 연구 (Lateral Behavior of Group Pile in Sand)

  • 김영수;김병탁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117-129
    • /
    • 2000
  • 본 논문은 균질 및 비균질 지반에서의 군말뚝수평거동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군말뚝수평거동에 대한 말뚝중심간격, 말뚝 배열, 말뚝 중심 간격비, 말뚝 선단 구속조건, 편심하중 그리고 지반조건의 영향들에 관하여 실험적인 연구를 수행하였다. 주동말뚝에서의 군말뚝 효율과 수평변위는 말뚝중심간격과 말뚝수에 상당히 의존함을 알 수 있다. 말뚝중심간격이 6D이고 $3\times3$배열 말뚝인 경우, 선단고정말뚝의 수평 지지력은 선단자유말뚝의 경우보다 40-100%크게 나타났다. 모형실험의 결과들에 근거하여, 군말뚝의 개개 말뚝이 단일말뚝과 동일하게 거동하는 말뚝 중심간격은 상대밀도 61.8%와 32.8%의 경우 6D 로 나타났으나, 상대밀도 90%의 조밀한 지반에서는 8D 간격으로 추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군말뚝 효율에 대하여 말뚝 중심간격, 말뚝 수, 그리고 지반상대밀도의 변수로 표현되는 실험식을 제안하였다. 3$\times$3 배열의 군말뚝에서 앞행(lead row) 말뚝의 하중 분담율은 말뚝 중심간격 3D인 경우에 41.6%-52.4% 정도 그리고 6D인 경우에 34%-40%정도로 나타났다. 군말뚝에서 중첩효과(shadowing effect)는 하중 직각방향보다는 하중 재하방향에서 더 크게 발생하였다.

  • PDF

광섬유 센서를 이용한 온도 및 변형 모니터링에 대한 현장응용 사례 (Case Studies on Distributed Temperature and Strain Sensing(DTSS) by using an Optical fiber)

  • 김중열;김유성;이성욱;민경주;박동수;방기성;김강식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6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86-95
    • /
    • 2006
  • Brillouin backscatter is a type of reflection that occurs when light is shone into an optical fibre. Brillouin reflections are very sensitive to changes in the fibre arising from external effects, such as temperature, strain and pressure. We report here several case studies on the measurement of strain using Brillouin reflections. A mechanical bending test of an I beam, deployed with both fiber optic sensors and conventional strain gauge rosettes, was performed with the aim of evaluating: (1) the capability and technical limit of the DTSS technology for strain profile sensing; (2) the reliability of strain measurement using fiber optic sensor. The average values of strains obtained from both DTSS and strain gauges (corresponding to the deflection of I beam) showed a linear relationship and an excellent one-to-one match. A practical application of DTSS technology as an early warning system for land sliding or subsidence was examined through a field test at a hillside. Extremely strong, lightweight, rugged, survivable tight-buffered cables, designed for optimal strain transfer to the fibre, were used and clamped on the subsurface at a depth of about 50cm. It was proved that DTSS measurements could detect the exact position and the progress of strain changes induced by land sliding and subsidence. We also carried out the first ever distributed dynamic strain measurement (10Hz) on the Korean Train eXpress(KTX) railway track in Daejeon, Korea. The aim was to analyse the integrity of a section of track that had recently been repaired. The Sensornet DTSS was used to monitor this 85m section of track while a KTX train passed over. In the repaired section the strain increases to levels of 90 microstrain, whereas in the section of regular track the strain is in the region of 30-50 microstrain. The results were excellent since they demonstrate that the DTSS is able to measure small, dynamic changes in strain in rails during normal operating conditions. The current 10km range of the DTSS creates a potential to monitor the integrity of large lengths of track, and especially higher risk sections such as bridges, repaired track and areas at risk of subsiden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