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fective products

검색결과 161건 처리시간 0.035초

Holstein 보증종모우 및 후보종모우의 선천성 장애 유전좌위 검색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Detections of Congenital Genetic Disorder in Holstein Proven and Candidate Bulls)

  • 이연근;장길원;남인식;장원경;탁태영;김경남;이광전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3호
    • /
    • pp.279-288
    • /
    • 2002
  • 본 연구는 국내 홀스타인 젖소 보증종모우 16두와 후보종모우 93두를 이용하여 선천성 장애 유전자의 검색을 통하여 불량 유전자의 존재 유무를 판별함과 동시에 가축의 선발 및 육종, 개량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공시재료(홀스타인 젖소 보증종모우 16두, 후보 종모우 93두) 109두에 대하여 DUMPS (deficiency of uridine monophophate synthase)의 검색결과 모든 개체에서 DUMPS 유전자를 보유하는 개체는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PCR-RFLP(Ava I) 방법에 의해 조기 검색이 가능하게 되었다. 한편, BLAD(bovine leukocyte adhesion deficiency) 검색결과, 보증종모우 16두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으나, 후보우 93두중 5두에서 BLAD 잠재성 보유개체(carrier)로 판명되었고, 혈통확인을 통하여 BLAD 유전자의 전이 경로를 추정할 수 있었으며, PCR 증폭산물에 대한 제한효소 처리시 HaeⅢ 보다는 TaqⅠ 제한효소를 사용하였을 때 더 효율적으로 판명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itrullinemia 검색결과 보증종모우 16두 및 후보종모우 93두 모두에서 잠재성 보유개체는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으나 citrullinemia에 대한 폭넓고 다양한 조사 및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가축의 유전성 질환에 대한 다양하고 폭넓은 연구가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가축의 선발과 육종, 개량에 있어서 지속적이며 혈통의 철저한 관리를 통한 개량의 방향을 설정하여야 할 것으로 판명되었다.

양압측정 및 화학탐지 모듈을 적용한 화생방 방호시설의 가스차단밸브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Gas Tight Shut-off Valve of NBC Shelter using Positive Pressure Measurement and Chemical Detection Module)

  • 박형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417-422
    • /
    • 2017
  • 대량살상무기를 이용한 전쟁 발발 시 가장 위협적인 것은 일반적으로 눈에는 보이지 않으면서 극소량으로도 사망에 이를 수 있다는 것이다., 군 당국은 화생방 오염상황 발생 시 전투원의 생존성을 보장하기 위해 개인 및 화생방대피분야에 대해 상당한 노력을 투입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화생방 방호시설에 사용되는 각종 차단밸브의 제어에 이용되는 양압측정을 위한 모듈과 화학탐지 모듈을 개발하였다. 또한, 수작업에 의한 제조 공정으로 품질의 균일성이 부족하고, 불량품 과다 및 제조 원가가 높은 단점을 개선할 수 있는 고성능 가스차단밸브를 개발하였으며, 여기에 양압측정 및 화학탐지 모듈을 적용하여 화생방방호시설의 제어에 사용하였다. 개발된 가스차단밸브는 규정풍속에서의 압력손실 28[Pa] 및 내부압력 30[kPa]에서 기밀특성을 유지하였다. 원격에서 측정된 양압에 따라 가스차단밸브의 제어가 가능하므로 향후 수입대체 및 국방관련 기술의 대외 독립성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재래식 무기 및 핵폭발에 의한 폭풍압의 급격한 유입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화생방 방호시설의 외부와 연결된 모든 흡기구나 배기구에 설치하여 시설내의 인명 및 장비 등을 보호할 수 있다.

파프리카 추출물이 quinone reductase 유도활성에 미치는 영향 (Induction of Quinone Reductase Activity in Hepatoma Cells by Paprika (Capsicum annuum L.))

  • 유미희;이효정;임효권;이승욱;이인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707-711
    • /
    • 2006
  • Phase II 효소계는 자연계에 존재하는 다양한 화학물질과 천연 소재들에 의해 유도되며, 이들의 유도는 화학적 발암물질과 그 밖의 여러 가지 독성물질들로부터 생체를 보호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파프리카의 메탄올 추출물을 제조하고, 이를 각 용매별로 분획하여 Hepa1c1c7 세포주를 이용하여 대표적인 암예방 효소인 quinone reductase의 유도 활성을 조사하였다. 그 중 QR 유도활성이 가장 높았던 EtOAc 분획물은 $10-500\;{\mu}g/mL$ 농도로 처리했을 때, $200\;{\mu}g/mL$의 농도에서 QR 활성이 약 3.3배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파프리카의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역시 EtOAc 분획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BP^rcl$ 세포주에서도 농도 의존적으로 높은 QR 유도활성을 보여 파프리카의 EtOAc 분획물의 항암성분은 monofunctional inducer인 것으로 생각된다.

인산-산성불화암모늄-킬레이트제 혼합용액에 의한 폐태양전지로부터 실리콘웨이퍼의 회수 (Recovery of Silicon Wafers from the Waste Solar Cells by H3PO4-NH4HF2-Chelating Agent Mixed Solution)

  • 구수진;주창식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1권6호
    • /
    • pp.666-670
    • /
    • 2013
  • 실리콘계 태양전지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불량품에서 실리콘웨이퍼를 회수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상온($25^{\circ}C$)에서 인산용액 농도, 산성불화암모늄 농도, 킬레이트제 종류 및 농도를 변화시키면서 폐태양전지의 반사방지막 및 N층의 제거 효율을 조사하였다. 10 wt% 인산, 2.0 wt% 산성불화암모늄, 1.5 wt% Hydantoin 사용 시 제거 효율이 가장 우수 하였다. 인산농도가 증가할수록 미세입자의 표면전위가 (+)로 변하여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실리콘웨이퍼 표면에 재흡착하여 표면처리 전보다 두께가 두꺼워졌으며, 표면의 오염도도 증가하였다. 인산-산성불화암모늄-킬레이트제 용액에 의한 표면처리방법은 모든 공정이 상온에서 수행되며, 공정이 단순하고, 폐수 발생량이 적고, 표면제거 효율이 우수한 방법으로 폐 태양전지의 재활용 및 기존 RCA 세정법의 대안으로 가능성이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되었다.

레토르트 삼계탕의 포장 개선을 위한 연구 (Studies on the Improvement of Packaging of Retorted Samgyetang)

  • 이진환;이근택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49-54
    • /
    • 2009
  • 레토르트 삼계탕은 장기간 저장되는 제품이므로 포장 불량률을 가능한 한 최소화하는 것이 품질 안전과 소비자 식중독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 중요한 사안이다. 따라서 업계에서는 현행 사용되는 삼계탕용 포장재를 이용하여 저장 시험을 병행하되 기존 포장재의 물성을 표준화하고, 아울러 포장작업시 가능한 한 포장내 잔존산소량이 낮게 유지되는 포장방법을 동원하고, 봉함부위가 오염되지 않도록 유의하며 멸균 후 열봉함강도가 낮아지는 것을 감안하여 포장재 스펙을 결정하는 방안이 강구되어져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가능한 한 포장내 잔존산소량을 줄이기 위하여 포장내 headspace를 줄이거나 질소 등 비활성기체를 주입 후 포장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그러나 현행 업계에서 삼계탕을 질소치환포장하는 것이 공정의 속도와 운용비용 등을 고려할 때 쉽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삼계탕 포장시 육수의 충진온도는 최소한 85이상 가열된 상태로 주입하고, 주입시 열봉함부위가 오염되지 않도록 유의하며, 필요하면 guide bar등과 같은 보조 장치를 설치하거나 파우치 밀봉 전 headspace를 압착하는 기술, 그리고 파우치 하부의 유사핀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대를 설치하여 육수를 충진하는 기술 등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멸균 처리 후 봉함강도가 감소하는 만큼 이를 감안하여 포장재의 선택과 포장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인쇄회로기판 제조 공정에서 위험성평가와 안전조치 적용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Risk Assessments and Safety Measures in a PCB Manufacturing Process)

  • 이영만;이인석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120-128
    • /
    • 2022
  • Printed circuit boards (PCBs) are a basic component in the electronics industry and are widely used in nearly all electronic products, such as mobile phones, tablet computers, and digital cameras, as well as in electric equipment. PCB manufacturing involves the use of many chemicals and chemical processes and therefore has more risks than other manufacturing sector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auses of possible accidents during PCB manufacturing through risk assessment, develop and implement safety measures, and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se measures. Note that the safety measures developed to mitigate the risks of a certain process were also implemented for other similar processes. The risk assessments conducted over seven years, from 2015 to 2021, at a PCB manufacturing company identified 361 hazardous processes. Between 2016 and 2019, 41-56 hazardous processes were identified per year; such processes decreased to fewer than 20 per year after 2020. Application of the risk assessment results to the improvement of the hazardous processes with the similar characteristics seems to be effective in decreasing the risks. Equipment-related factors such as lack of appropriate maintenance, low work standards, and defective protection devices were responsible for 59.8% of all possible accidents. Because PCB manufacturing involves many chemicals, skin contact with hazardous substances, electric shock, fire, and explosion were the most common types of possible accidents (81.7%). In total, 505 safety measures were implemented, including 157 related to purchase and improvement of equipment and devices for safety (31.1%), 147 related to the installation/modification of fire prevention facilities (29.1%), and 69 related to the use of standard electrical appliances (13.7%). Risk assessment conducted after implementing the safety measures showed that these measures significantly decreased risk; 247 processes (68.4%) had a risk level of 3, corresponding to "very low," and 114 processes (31.6%) showed a risk level of 4, corresponding to "low." In particular, risk assessment of 104 processes with risk scores of 12 and 10 other processes with risk score of 16 showed that the risk decreased to 4 after implementing the safety measures. Thus, implementing these measures in similar manufacturing sectors that involve chemical processes can mitigate risk.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미세패턴 불량도 자동화 검사 시스템 (Automated Inspection System for Micro-pattern Defec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 이관수;김재우;조수찬;신보성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4권6_2호
    • /
    • pp.729-735
    • /
    • 2021
  • Recently Artificial Intelligence(AI) has been developed and used in various fields. Especially AI recognition technology can perceive and distinguish images so it should plays a significant role in quality inspection process. For stability of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semiconductors inside automobiles must be protected from external electromagnetic wave(EM wave). As a shield film, a thin polymeric material with hole shaped micro-patterns created by a laser processing could be used for the protection. The shielding efficiency of the film can be increased by the hole structure with appropriate pitch and size. However, since the sensitivity of micro-machining for some parameters, the shape of every single hole can not be same, even it is possible to make defective patterns during process. And it is absolutely time consuming way to inspect all patterns by just using optical microscope.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AI inspection system which is based on web site AI tool. And we evaluate the usefulness of AI model by calculate Area Under ROC curve(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s). The AI system can classify the micro-patterns into normal or abnormal ones displaying the text of the result on real-time images and save them as image files respectively. Furthermore, pressing the running button, the Hardware of robot arm with two Arduino motors move the film on the optical microscopy stage in order for raster scanning. So this AI system can inspect the entire micro-patterns of a film automatically. If our system could collect much more identified data, it is believed that this system should be a more precise and accurate process for the efficiency of the AI inspection. Also this one could be applied to image-based inspection process of other products.

An Examin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Crisis Response Strategies for Repairing Competence and Integrity Violations

  • Sung, Yen-yi;Lee, Han-joon;Park, Jong-chul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5권1호
    • /
    • pp.129-154
    • /
    • 2013
  • Product-harm crises, which are connected to defective or dangerous products, are perceived as the most common threats to a company. Product harm crises can distort long standing favorable equality perceptions, tarnish a company's reputation, cause major revenue and market-share losses, lead to costly product recalls, and devastate a carefully nurtured brand equity. However, in spite of the devastating impact of product-harm crises, little systematic research exists to asses its marketing consequences.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Koreans react to the crisis response in the aftermath of different crises(competence violation vs. integrity violation) and inspire additional research in crisis communication. This study has three main findings which run counter to the assumptions of Kim et al.(2007). Namely, the current study expands on the research of Kim et al. (2004, 2007) by examining how companies repair customers' trust and corporate attitude after crises.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this study assumes that apology for an integrity-based crisis is the most appropriate way to repair consumer trust and corporate attitude. As for competence-based crisis, similarly, apology for competence-based crisis can be more successful repairing consumer trust and corporate attitude. Concerning silence strategy, remaining silent dose not admit or deny guilt right away, but instead of asking the perceiver to withhold judgment, suggesting that, silence could be expected to be superior to apology but inferior to denial. Finally, apology for competence violation will be expected to bemore effective than apology for integrity violation. Research conceptual model was as follows: According to the results, apology is found to be the most effective strategy to repair corporate attitude no matter the crisis is perceived as a violation of competence or integrity. Second, company may consider keeping silent as a desirable response because they does not admit nor deny responsibility but ask the public to withhold judgment. However,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in the overall crisis situations, silence strategy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from the denial strategy, which suggested that the public wants explanation instead of uncertainty. Third, there was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crisis type and crisis response strategies. In this study, apology is more effective for the competence violated situation in terms of regaining consumer trust and repairing their attitude toward company, while the apology's effectiveness is lower for the integrity-violated situation. More specifically, when the crisis is perceived due to company's lack of ability(competence violation), consumer's trust belief and attitude toward the company is more easily to repair when the company issued a sincere apology. Damaged product is perceived less intentional so participants are more likely to give the company second chance when they apology to the public. By contrast, exaggerated advertisement(integrity violation) is perceived intentionally and thus makes participants angrier toward the accused company. Although apology is perceived as the most effective strategy, when issuing apology, it also means the company admitted their intention. Therefore, in this kind of crisis situation, trust repair needs not only a sincere apology but additional efforts.

  • PDF

비육돈의 출하체중 증가가 등지방두께, '떡지방' 삼겹살 발생률, 도체등급 및 도체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creasing Market Weight of Finishing Pigs on Backfat Thickness, Incidence of the 'Caky-fatty' Belly, Carcass Grade, and Carcass Quality Traits)

  • 박만종;박병철;하덕민;김진보;장경순;이도현;김관태;진상근;이철영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5권3호
    • /
    • pp.195-202
    • /
    • 2013
  • 본 연구는 돼지 출하체중 증가가 '떡지방' 삼겹살 발생률, 도체등급 및 도체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목적을 위해 85~150 kg 체중 범위의(Yorkshire ${\times}$ Landrace) ${\times}$ Duroc 교잡종 거세돼지와 암퇘지 각각 250두를 도살하여 그 도체를 분석하였다. 거세돼지와 암퇘지의 등지방두께(y; mm)는 각각 다음과 같이 생체중(x; kg)에 선형으로 회귀하였다: y = 0.1827x + 3.4825 ($r^2$ = 0.4671) 및 y = 0.2015x-0.6972 ($r^2$ = 0.4736). 삼겹살의 제 11~12 늑골부 5 cm 폭의 등쪽 반절편의 지방조직 중량비가 55%를 초과하는 경우를 떡지방의 기준으로 설정했을 때 떡지방 삼겹살은 거세돼지에서 10건 발생하였으나 소매상에서 떡지방 삼겹살로 판정된 경우는 없었다. 과중량으로 인해 도체등급이 강등된 도체는 총 101건(20.2%)에 달하였다. $1^+A$ 등급 도체는 다른 모든 등급 도체보다 근내지방도가 높았으나, 근내지방도와 도체 결함 특성을 제외하면 도체등급간 가시적인 품질 상의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도체 품질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크기만 클 뿐 정상적인 도체에 대해서는 평가절하는 현행 도체등급 판정 기준은 개정되어야 좋을 것이다. 또한 돼지 출하체중을 증가시킬 때 떡지방 삼겹살 발생률은 중요한 고려 사항이 아닌 것으로 사료된다.

형법상 제조물책임과 인과관계의 확정 (Product Liability and Causation in Criminal Law)

  • 이석배
    • 의료법학
    • /
    • 제17권2호
    • /
    • pp.3-28
    • /
    • 2016
  • 민사법에서 제조물 책임이 전문용어로 정착된 반면, 형사법에서는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진 전문용어는 없다. 민사법에서 제조물책임과 달리 형사책임에서는 개개인의 책임성과 규범질서의 장애가 중요하다. 즉 구체적인 개개인의 의무위반행위가 그리고 제조물이 법익위태화 또는 법익침해라는 결과를 야기했다는 인과관계가 입증되어야 한다. 형법에서 제조물 책임은 일반 거동범을 제외하고는 상해죄 또는 과실치상죄, 살인죄 또는 과실치사죄가 주로 문제가 된다. 물론 결과발생과 관련된 행위가 작위인지 부작위인지 구별되어야 하고, 그 행위와 결과사이에 인과관계가 입증되어야 하며, 고의 혹은 과실도 인정되어야 한다. 이 글에서는 우리나라, 독일, 스페인 등에서 실제로 문제가 되었던 판례들을 분석하여 인과관계의 확정에서 드러난 문제점을 중심으로, 특히 제조물과 관련된 형사책임을 인정하기 위한 핵심문제인 인과관계의 문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 글에서는 인과관계의 검토단계를 자연과학적 인과법칙과 규범적 인과관계로 나누어 2단계로 검토하는 견해를 따랐다. 이 절차에 따른 제조물의 형사책임을 인정하기 위한 인과관계의 입증은 우선 그 제조물의 특정물질이 결과발생을 야기할 수 있는 일반적인 위험성이 있어야 하고, 그것을 전제로만 구체적인 사안에서 인과관계의 검토가 의미가 있는 것으로 보았다. 일부 판례와 학설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일반적 인과관계 자체가 전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자유심증에 의해 구체적 인과관계를 확정한다고 하더라도 일반적 인과법칙에 반하는 것이 아니며, 법관의 심증을 경험법칙보다 우위에 놓은 것도 아니므로 구체적 인과관계의 인정이 가능하다는 견해가 있다. 하지만 이 글은 구체적 인과관계를 인정하기 위한 전제인 객관적이고 합리적으로 의심없는 인과법칙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법관은 "의심스러울 때는 피고인의 이익으로(in dubio pro reo)" 원칙에 따라 무죄를 선고해야 하며, 사실상 입증책임의 전환의 효과가 있는 자유심증이라는 방식으로 객관적으로 입증되지 않는 사실에 대한 부담을 피고인이 지도록 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는 입장을 취하였다. 법관의 임무는 인과관계가 100% 확실하다는 데 대한 합리적 의심이 없어야 한다는 것으로 보기 때문에 인과관계를 추정하는 것이지만, 일반적 인과관계가 100% 확실한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통계적으로 유미의한 인과관계가 있다는 점을 인정하는 것이 라는 점을 강조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