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ck slab

검색결과 253건 처리시간 0.042초

GFS로 성능향상된 교량 바닥판의 정적 보강효과 (A Experimental Study on the Static Strengthen Effect of Bridge Deck Strengthened with GFS)

  • 심종성;오홍섭;류승무;박성재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1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739-744
    • /
    • 2001
  • The concrete bridge deck is quitely required to be replaced or strengthened due to decreasing load carrying capacity. In this study, to increase load capacity of the reinforced concrete slab, bridge deck is reinforced with the glass fiber sheets. they are examined on the strengthen effect and the static behavior, This paper considers relation of load-displacement and strain-distance. The static behavior of the slab strengthened is represented to maximum load. Owing to that, they are examined on increasing load carrying capacity of reinforced bridge deck and strengthen effect about on the crack.

  • PDF

대심도 복층터널 프리캐스트 중간슬래브의 횡방향 현장이음방식에 대한 실험연구 (The Experimental Study on Transverse Field Joint Method of Precast Road Deck Slab of Double Deck Tunnel in Great Depth)

  • 이두성;김보연;배철기;허재훈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9권1호
    • /
    • pp.23-32
    • /
    • 2017
  • 대심도 복층터널 구조물에서 중간슬래브 구조에 적용되는 형식중 하나인 프리캐스트 구조에서는 차량 진행 방향으로 이음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 이음부를 일체로 거동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에서 제안하는 대심도 복층터널 중간슬래브는 터널의 공간 활용을 극대화 하기 위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보 형식의 구조체로, 'PS 이음방식'과 '볼트체결방식'에 대한 이음방법을 개발하였다. 또한, 두 가지 이음방식을 적용한 중간슬래브의 구조성능을 평가하기 위해서 실물모형 구조실험을 수행하였으며, Contact 모델을 적용한 FEM 해석을 통해서 구조적인 안정성을 검증하였다. 이음방식을 적용한 복층터널 중간슬래브의 정적재하실험 결과 매우 안정적인 거동을 보였으며, 균열 및 처짐에 있어 도로교설계기준(2011)을 만족하여 사용성에도 문제가 없다고 판단되었다. FEM 해석에 따른 중간슬래브의 거동은 실험과 비교하여 강성이 미소하게 크게 나타났으나 전체적인 거동이 거의 유사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개발한 이음방법을 적용한 중간슬래브를 시공함에 있어 구조적으로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사다리꼴 형상의 경량체를 가진 데크형 중공슬래브의 휨 및 전단성능에 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Bending and Shear Performance of Deck Type Void Slab with Trapezoidal Hollow Ball)

  • 김필중;김상모;박준혁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9권6호
    • /
    • pp.443-45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데크형 중공슬래브의 중공률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으로 기존의 중공슬래브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구형형상의 경량체 대신 사다리꼴 형상의 경량체를 적용하고, 이에 따른 휨 및 전단 내력 성능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일방향 데크플레이트의 설치방향에 따른 구조특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휨내력 측면에서는 기존 구형형상의 경량체를 가진 중공슬래브와 동등한 수준의 성능을 발휘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전단내력 측면에서는 경량체 형상 변화에 따른 차이보다는 데크플레이트의 트러스철선의 기여에 따라 큰 전단내력성능을 발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중공체 설치시 콘크리트 유효단면의 감소로, 전단 강도가 약 50~60% 정도로 저하된다는 기존 연구에 따른 계산한 전단내력값과 비교하였을 때, 폭방향으로 데크를 설치하여 트러스철근이 전단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가정한 실험체도 트러스철근의 트러스프레임 거동에 의한 영향으로 저감 전 값 대비 87%의 성능을 보여 기존 연구에 따른 계산전단내력보다 최대하중이 더 크게 나타났다.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Preloaded Deep Deck Composite Slabs with Tenns

  • Lee, Tae-Hun;Kyung, Jae-Hwan;Song, Jong-Wook;Choi, Sung-Mo
    • 국제초고층학회논문집
    • /
    • 제9권2호
    • /
    • pp.187-195
    • /
    • 2020
  • As deep decks are commonly used in construction fields and high-rise building. etc, the slim floor system is increasingly employed. But, the drawback of the slim floor system is that the use of 250 mm deep decks in a structure having a clear span of more than 6 m because of deflection and flexural buckling. This study suggests a non-support construction method where tendons are installed in the deep decks of the slim floor structure to introduce preload in order to control deflection in a structure having a clear span of 9 m. Loading test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composite effect and flexural capacity of the preloaded deep deck composite slab and evaluate the serviceability of the supportless construction method. The results showed the complete composite behavior of the preloaded deep deck composite slab with tendons. The specimens satisfied deflection limit and the working load was approximately 25% of the maximum load capacity. It is deemed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and yield strength of the deck plate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slab design and the yield strength and diameter of the tendon should be determined with the pre-tension taken into consideration.

신형 데크플레이트와 철판망을 적용한 합성슬래브의 휨 거동 (Bending Behaviour of Composite Slab Using a New-Shaped Steel Deck Plate and Expanded Metal)

  • 김명모;엄철환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5권4호통권65호
    • /
    • pp.403-412
    • /
    • 2003
  • 건축물의 바닥판에 대한 합성슬래브 시스템의 사용이 점차 확대되어 오피스 빌딩을 중심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주상복합형 및 주거용 건물에 대한 확대 적용을 휘해 하부면이 평탄한 플랫 데크플레이트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플랫 데크플레이트가 개발되고 있다. 또한 합성슬래브시스템의 바닥판 상부에 와이어메쉬 대신 일체형으로 생산되는 익스팬디드 메탈을 적용할 경우, 원가 절감, 공기 단축 효과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익스팬디드 메탈을 와이어메쉬의 대체재로 사용하여 이를 하부면이 평탄한 플랫 데크플레이트와 결합시킨 신형식의 합성블래브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총 12개의 시험체에 대한 실험을 통해 그 구조성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는 시험체의 최대내력과 파괴거동 등을 중심으로 요약하여 나타냈다.

합성데크 바닥판 구조물의 진동해석을 위한 실용적인 모형화 (Practical Modeling for the Vibration Analysis of a Composite Deck Slab Structures)

  • 김재열;김기철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43-50
    • /
    • 2005
  • 데크플레이트와 콘크리트가 합성되어 있는 합성 바닥판 구조물은 데크플레이트의 골 방향과 골 직각방향에 대하여 강성이 다르므로 직교이방성판 거동을 보이고 있으며 테크플레이트와 콘크리트의 합성 거동으로 인하여 적층 바닥판 구조물로 평가할 수 있다. 이러한 합성데크 바닥판 구조물의 진동에 대한 정확한 사용성 평가를 위해서는 합성데크 바닥판 구조물의 정밀 진동해석을 수행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합성데크 바닥판 구조물의 강성에 대한 직교이방성 그리고 데크플레이트와 콘크리트의 합성에 대한 정확한 거동 평가가 수반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합성데크 바닥판 구조물의 골 직각 방향에 대한 강성을 계산하기 위하여 각각의 토핑 콘크리트 두께와 데크플레이트 두께를 적용하였다. 또한 골 방향에 대한 강성을 계산하기 위하여 콘크리트와 데크플레이트의 단면 강성을 구하여 등가두께를 적용하였다. 그리고 콘크리트와 데크플레이트의 합성거동을 표현하기 위하여 적층판에 대한 등가 강성식을 적용, 합성데크 바닥판 구조물의 강성을 나타내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합성데크 바닥판 구조물의 실용적인 모형화방법을 적용할 경우에 합성데크 바닥판 구조물의 강성에 대한 직교이방성과 콘크리트와 데크플레이트의 합성 거동을 잘 표현할 수 있었다.

HPMS 데이터를 이용한 고속도로 교량 및 뒷채움구간 평탄성 특성 연구 (The Study of the Roughness of the Pavement on the Bridge Deck and Approach Slab using a 5year(2003 to 2007) Pavement Condition Survey Data)

  • 박상욱;서영찬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189-197
    • /
    • 2008
  • 본 연구는 2003년도부터 2007년도까지의 고속도로 포장관리시스템 운영에 의한 포장상태 측정자료를 이용하여 고속도로 교량부 평탄성 불량 구간과 그 원인을 조사 분석하여 도로교량 구간 평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관리체계를 개선하고 교량평탄성 불량구간이 효과적으로 유지보수 될 수 있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고속도로 포장유지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추출한 데이터 분석과 이에 대한 현장 검증 결과, 교량구간의 평탄성이 토공부에 비해 상당히 좋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 원인과 개선방안에 대해 살펴보면, 교량구간의 평탄성 불량 원인은 교면포장(접속부 포함)의 조기손상뿐만 아니라 뒷채움부 침하에 의한 접속부 포장의 단차가 주요 원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따라 교량구간은 현재 정기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조사장비에 의한 포장상태 측정과 병행하여 뒷채움부 침하가 원인인 단차를 측정하여 교량구간의 평탄성 불량지점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조사 및 평가체계를 수립하였다.

  • PDF

데크플레이트와 경량성형재가 결합된 중공슬래브의 진동성능에 대한 실물실험 평가 (Evaluation on the Vibration Performance for Void-deck Slab Combined with Deck Plate and Polystyrene Void Foam)

  • 조승호;노영숙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86-92
    • /
    • 2017
  • 장스팬 구조물은 사용하중 하에서 바닥진동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구조물 바닥판의 진동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슬래브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것이지만 기존의 구조시스템에서 슬래브의 두께를 증가시키면 슬래브 자중의 증가로 건축물 전체의 효율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슬래브의 두께를 증가시키면서도 자중은 크게 증가하지 않는 바닥판 시스템으로 중공슬래브에 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부력방지능력 및 시공성 향상을 위하여 데크플레이트와 경량성형재를 결합한 형태의 중공슬래브를 개발하였고, 이 중공슬래브를 적용한 실물(mock-up) 건축물에 대한 사용성 검증을 위한 진동성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측정된 결과값을 분석한 결과, 일본건축학회의 "건축물의 진동에 관한 거주 성능 평가지침"에 의하면 1등급인 거실, 침실에 사용해도 될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단면 상세가 변화된 LB-DECK의 균열하중에 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Cracking Loads of LB-DECKs with Varied Cross-Section Details)

  • 윤석구;조규대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3권5호
    • /
    • pp.657-665
    • /
    • 2011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페널의 일종인 LB-DECK은 콘크리트 교량 바닥판의 시공시 LB-DECK 위에 현장타설되는 콘크리트와 합성 거동하는 영구 콘크리트 거푸집이다. 현행 LB-DECK은 두께가 60 mm인 콘크리트 슬래브와 슬래브 내부에 높이 125 mm인 lattice-girder들의 일부가 매립되어 있는 구조이다. 이러한 LB-DECK은 시공하중에 의해 종방향 균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거더 간격이 충분히 작은 교량 바닥판 시공시 주로 적용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최근 강박스 교량과 같이 교량 바닥판의 지간장이 긴 교량에 LB-DECK를 적용할 경우 콘크리트 하부에 발생될 수 있는 종방향 균열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LB-DECK의 균열강도를 평가하기 위한 실험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LB-DECK 콘크리트 슬래브의 두께, lattice-girder의 높이, 그리고 top-bar의 지름을 변수로 하는 8종류 24개의 비합성 보부재와 4가지 종류의 합성 보부재 4개를 제작한 후 정적하중 재하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체에 대한 정적하중 재하 실험을 통해 각 실험체의 균열하중과 극한하중을 평가하였으며, 또한 최종 파괴시까지 중앙부 처짐, top-bar의 변형률, 콘크리트 슬래브의 균열 진전 양상 그리고 최종 파괴 형태를 살펴보았다. 각 실험체로부터 얻은 균열하중의 크기는 탄성해석을 통해 얻은 해석치와 비교하였다. 또한 콘크리트 건조수축이 균열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AEMM 방법을 이용한 장기 거동 해석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를 토대로, 지간장이 긴 교량 바닥판에 LB-DECK 적용시, 균열 발생을 예방할 수 있도록 LB-DECK 콘크리트 슬래브의 균열강도와 설계상세를 검토하였다.

GFRP-데크플레이트로 보강한 합성 슬래브의 휨성능 평가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Flexural Performance of Composite Slabs Reinforced with GFRP-Deckplate)

  • 최봉섭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165-170
    • /
    • 2009
  • 본 논문은 GFRP-데크와 콘크리트를 합성한 1방향 슬래브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기존의 철근트러스-데크 합성슬래브와의 비교실험을 통하여 휨성능에 대한 구조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휨성능은 제안된 GFRP 합성슬래브의 시험체들이 비교시험체들 보다 우수하게 나타나, 재료의 적절한 품질관리가 이루어진다면 GFRP가 갖고 있는 내부식성의 장점을 살릴 수 있는 배기가스나 염분에 많이 노출된 건축물에 매우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