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calcification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24초

골조직의 신속한 진단을 위한 탈회방법의 비교 연구 (Comparative Research of Decalcification Methods for Quick Diagnosis on Bone Tissue)

  • 김성철;백운철;김태전;배형준;강희규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47-55
    • /
    • 2005
  • These studies were done to know decalcification methods to reduce the time of decalcification for quick bone tissue diagnosis. When bone tissue was decalcified with 10 % formic acid at room temperature, decalcification and hematoxylin & eosin (H&E) stains were complete and satisfactory after 12 hours, but some of the tissue sections fell off during staining. In this way, decalcification, H&E stains were complete and satisfactory after 24 hours, 36 hours and 48 hours, tissue sections didn't fall off during staining. When bone tissue was decalcified with 10 % formic acid in a $60^{\circ}C$ paraffin oven, decalcification and H&E stains were complete and satisfactory after 6 hours, but some tissue sections fell off during staining. In this way, decalcification and tissue sections were complete, with no falling off during staining after 8 hours, 10 hours, 12 hours, 14 hours, 24 hours, or H&E stains were satisfactory from 8 hours to 12 hours, but H&E stains appeared to reddish nucleus after 14 hours and 24 hours. Bone tissue was decalcified with 10 % formic acid for 6 hours, 12 hours and 24 hours at DECAL machine frequencies of 15 Hz and 45 Hz, and for 6 hours, 12 hours and 24 hours at a DECAL machine frequency of 90 Hz. Decalcification and H&E stains were complete and satisfactory after 6 hours at the 15 Hz and 45 Hz DECAL settings. Some of the tissue sections fell off during staining at the 15 Hz DECAL machine setting. At the 90 Hz setting, decalcification, H&E stains, and tissue sections were complete and satisfactory with no falling off during staining after 4 hours. In this way, decalcification, H&E stains, and tissue section were complete and satisfactory with no falling off during staining after 12 hours, 24 hours at all machine settings. Bone tissue was decalcified with 10 % formic acid for 6 hours, 12 hours and 24 hours at $37^{\circ}C$ 3 hours, 6 hours and 12 hours at $45^{\circ}C$ and 1 hours, 5 hours and 10 hours at $60^{\circ}C$ with the RHS-1 machine setting at 60Hz. At the temperatures of $37^{\circ}C$, $45^{\circ}C$, and $60^{\circ}C$ decalcification, H&E stains, and tissue sections were complete and satisfactory, with no falling off during staining except for after 6 hours at $37^{\circ}C$. 3 hours, 1 hours, or decalcification, H&E stains, and tissue sections were complete and satisfactory with no falling off during staining after 12 hours and 24 hours at $37^{\circ}C$, 6 hours and 12 hours at $45^{\circ}C$, and 5 hours at $60^{\circ}C$. But H&E stains appeared to reddish nucleus after 10 hours at $60^{\circ}C$. From the above reults, the authors were able to deduce that decalcification is accelerated by heat and frequency. We therefore think that it is necessary for machines which are similar to the RHS-1 machine to be maintained at the temperature evenly with agitation effect for quick decalcification.

  • PDF

불소화합물(弗素化合物)이 법랑질탈회(琺瑯質脫灰)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INFLUENCE OF FLUORIDE TO ENAMEL DECALCIFICATION)

  • 김영해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13권1호
    • /
    • pp.173-178
    • /
    • 1988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onfirm the influence of fluoride to enamel decalcification. Specimens were prepared from 20 extracted teeth. Every tooth was sliced into 4 pieces by means of seperating disc. The pieces with sound enamel were distributed to 4 groups. 1st group was treated with 0.5% NaF solution for 2 minutes. 2nd group was treated with 0.5% NaF solution for 10 minutes. 3rd group was treated with 1% NaF solution for 2 minutes. 4th group was treated with 1% NaP solution for 10 minutes. The enamel surface of each specimen were decalcified with 30% $H_3PO_4$ for 2 minutes and the findings through electron microscope were as follows; 1. The degree of decalcification on the 1st group was greater than that of the 2nd group. 2. Roughness of the 3rd group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the 4th group. 3. Under the same procedure of decalcification, the specimen treated by higher conceutration of NaF solution for same length of time showed less decalcified picture. 4. Under the same procedure, of decalcification, the specimens treated by same concentration of NaF solution for different length of time, were compared and found longer the time less decalcified.

  • PDF

청소년 교정환자들의 치은염 및 치아탈회 조절을 위해 사용한 겔형 불화주석($SnF_2$ gel)의 장기간 평가 (LONG-TERM EVALUATION OF A $SnF_2$ GEL FOR CONTROL OF GINGIVITIS AND DECALCIFICATION IN ADOLESCENT ORTHODONTIC PATIENTS)

  • ;전윤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35-245
    • /
    • 1995
  • 이 논문의 목적은 청소년 교정환자들의 치은염과 치아탈회를 조절하기위해 사용된 수종의 화학요법들에 관해 최근에 보고된 2개의 연구를 재검토하기 위함이다. 첫번째 연구(치은염 연구)는 고정성 교정장치를 장착하고 있는 경우, 기존의 칫솔법에 매일 2회 유효 주석 이온이 $90\%$이상 함유된 $0.4\%$의 겔형 불화주석($SnF_2$ gel)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와 기존의 칫솔법만을 사용하는 것 중 치태침착과 치은염을 조절하는데 있어서 어느 것이 더 효과적인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시행 되었다. 두번째 연구(치아탈회 연구)는 교정환자들을 대상으로 II00ppm의 불소가 함유된 치약만을 사용할 때와 이와 똑같은 치약과 $0.05\%$ 불화나트륨 양치액(NaF rinse)을 병용하여 양치하거나 이 치 약과 함께 $0.4\%$ 겔형의 불화주석을 사용할 때 치아탈회의 조절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시행 되었다. 치은염 연구에서는 모든 치아를 고정성 장치로 계속 치료를 받고 있는 청소년 교정환자 65명을 연령과 성별에 따라 두 군으로 지정하였다. 마찬가지로 치아탈회 연구에서도 30명을 추가(총 95명)하여 제 3군으로 지정하였다. 제1군(대조군, 35명)은 단지 표준화 불소(1100 ppm 불소) 치약만 사용하였다. 제 2군은 1 군과 같은 치약에 겔형의 $0.4\%$ 불화주석이 함유된 치약을(겔형 불화주석군, 표본수=30) 매일 2회씩 18개월 동안 사용하였다. 제 3군은(단지 치아탈회군만으로 이용) 같은 종류의 치약과 $0.05\%$ 불화나트륨 양치액을 사용하였다(불화나트륨 양치군, 표본수=30). 치태침착의 임상평가는 Plaque Index로, 치은의 염증은 Gingival Index로, 치관의 착색은 단일맹검(single-blind)으로, 고정성 교정장치를 장착하기 전과 장착한 후 1, 3, 6, 9, 12, 18 개월마다 실시하였다. 치아탈회의 임상평가는 맹출한 모든치아의 순측면에 고정성 교정장치를 장착하기 전과 장치 제거 3개월 후에 단일맹검으로 실시하였다. 치은염 연구에서 겔형 불화주석군($SnF_2$ gel group)이 대조군에 비해 교정치료 기간동안 시행한 모든 검사에서 Plaque Index(p<0.01)와 Gingival Index(p<0.001)가 상당히 낮은것으로 나타났다. 겔형 불화주석군에서 한 증례는 미미한 치관착색을, 두 증례는 보통정도의 치관착색을 보였다. 치아탈회 연구에서는 겔형 불화주석군과 불화나트륨 양치액군이 치료후 치아탈회값에서 치료전 치아탈회값을 뺀 치아탈회값이 대조군에 비해 구강전체및 제1대구치에서 현저하게 낮은 값(p<0.05)을 보였다. 비록 겔형 불화주석군이 불화나트륨 양치액군보다 일관되게 낮은 치아탈회값을 보였을지라도 통계적으로 그 차이는 단지 유의성을 보이는 정도였다.

  • PDF

골수생검조직을 위한 최적의 고정 및 탈회 방법 (Optimal Fixation and Decalcification Methods for Bone Marrow Biopsy)

  • 최명섭;이현섭;권혁철;배문환;고영혜;김희진;이범세;구본경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243-250
    • /
    • 2015
  • 10% 질산으로 탈회과정을 거친 골수생검조직에서는 각종 병리검사가 불가능하거나 재현성이 극히 제한적이었다. 각 실험군의 고정액으로는 산을 포함한 고정액과 산 비포함 고정액으로 나누어 사용하고, 탈회액으로는 산성 탈회액과 알카리성 탈회액(EDTA계열)으로 나누어 사용하였으며, 단계별 시간을 각각 다르게 하여 실험하였다. 산이 포함된 고정액 및 탈회액을 사용하였을 경우 모든 병리검사가 불가능할 정도로 검체가 불량하였다. 그러나 EDTA 계열의 탈회액으로 처리한 검체들은 EBV ISH에서는 비특이적 반응이 없어졌으며 FISH, DNA, RNA 검사에서도 병리진단이나 각종 연구에 적합한 수준의 결과를 얻었다. 골수생검조직의 고정방법과 탈회방법을 개선함으로써 ISH, FISH, DNA 검사뿐만 아니라 RNA 연구도 가능하게 하며 각종 검사법의 민감도, 특이도 및 재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골수생검조직을 이용한 각종 검사법의 안정화로 환자의 진단, 예후 예측 및 치료 방침결정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골수생검조직의 조직병리검사에서 탈회방법에 따른 결과 분석 (Analysis of the Effects of Bone Marrow Biopsy Decalcification Methods on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 박지영;한경희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71-377
    • /
    • 2016
  • 탈회방법은 골수조직의 병리학적 진단을 위해서 항상 시행되는 과정이다. HCl 탈회용액과 같이 주로 사용하고 있는 산성용액은 탈회과정 동안에 조직내의 항원성에 손상을 입힌다. 특히, 골수조직 내의 RNA나 DNA에 심하게 손상을 준다. 따라서 조직의 항원성을 보존하기 위한 표준화된 탈회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HCl 기반의 상품화된 탈회용액과 직접 제조한 EDTA 탈회용액이 골수조직의 탈회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환자로부터 채취된 73예의 골수생검조직을 HCl 탈회와 EDTA 탈회의 두 그룹으로 나누어 탈회과정을 진행하였다. 골수생검조직의 탈회과정 후 결과의 차이는 hematoxylin & eosin 염색과 reticulum 염색, Ki-67, CD20, CD138의 항체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염색, DNA 추출 및 분석, in situ hybridization, IGH gene rearrangement 와 같은 분자병리검사를 시행하여 분석하였다. 일반적인 염색과 특수염색에서는 두 탈회용액간의 차이는 없었다. 또한 세포증식 표지자와 같은 세포막 혹은 세포질에서 발현되는 항체는 탈회용액간의 차이 없이 잘 염색되었다. 반면 HCl 탈회 용액에 처리한 후 핵 내 단백질인 Ki-67의 염색상은 현저히 불량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HCl 탈회용액과 비교하여 EDTA 탈회용액에서의 골수생검조직 내의 DNA와 RNA가 잘 보존되었음을 다양한 분자병리검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HCl 탈회용액에 처리한 28예와 EDTA 탈회용액에 처리한 12예의 DNA의 순도와 농도을 비교한 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로써 EDTA 탈회용액이 조직 내의 항원성을 잘 유지시키며, 면역조직화학염색과 분자병리검사에 적합한 방법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소의 늑골에서 탈회정도와 노출시간에 따른 프랙탈 차원의 변화 (Change of the fractal dimension according to the decalcification degree and the exposure time in the bovine rib)

  • 정연화;나경수;조봉혜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36권2호
    • /
    • pp.69-72
    • /
    • 2006
  • Purpose : We evaluated the fractal dimension changes on bovine rib radiographs according to the decalcification degree and the exposure time in the bovine rib. Materials and Methods : Twenty 5 mm thick cross-sectional blocks from bovine rib bone were progressively decalcified in 30 mL 0.1 N hydrochloric acid for 5, 30, and 90 minutes. They were radiographed at three exposure time settings (0.22, 0.36, 0.43 mAs) before and after each decalcification stage. We selected $100{\times}100$ pixel-sized regions of interests (ROIs) on trabecular bone and calculated fractal dimensions by box-counting method. Results : Repeated measures ANOVA showed that fractal dimensions gradually decreased after acid-induced demineralization and with more exposure (P<0.001). Conclusion : The fact that fractal dimensions decrease after decalcification might support the hypothesis that patients with osteoporosis have decreased radiographic fractal dimension in trabecular bone in comparison to normal subjects.

  • PDF

두송실의 치아탈회 및 Glucosyltransferase 활성억제효과 (Inhibition of Teeth Decalcification and Glucosyltransferase Activity by Juniperus rigida S. et Z.)

  • 남상해;장대식;양민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1148-1151
    • /
    • 1998
  • We investigated the inhibition effects of teeth decalcification and glucosyltransferase(GTase) activity on the Juniperus rigida S. et Z. Teeth decalcifications by Streptococcus mutans were respectively inhibited to 70.13, 74.93% on methanol and n hexane fractions. In the inhibition test of GTase activities by solvent fractions of J. rigida, they were respectively inhibited to 86.6, 89.5% to a similar degree. And in the result to identify GTase produced by S. mutans with SDS PAGE, the band near 65KD estimated as GTase did not show in the lanes of methanol, n hexane and chloroform fractions.

  • PDF

한국인 고정식 교정 환자의 치태, 치은염 및 탈회의 초기 변화에 관한 연구 (Initial changes of dental plaque, gingivitis and decalcification in Korean orthodontic patients with fixed appliance)

  • 강국진;손병화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61-374
    • /
    • 1999
  • 구강내 고정식 교정장치의 장착으로 인해 치은염 및 치주염, 법랑질 탈회 및 치아 우식증, 치근 흡수, 치수변화 등 일시적 혹은 영구적 손상이 야기될 수 있다. 이러한 부작용발생의 원인으로 치태의 증가, 세균수의 증가와 조성의 변화등을 들 수 있고 이러한 변화는 치은의 염증과 탈회를 유발한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인 고정식 교정장치 장착환자에서 장치장착 전후의 치태, 치은염 그리고 탈회의 변화를 시간에 따른 변화, 남녀간의 차이 그리고 좌.우 소구치 부위간의 차이를 통해 알아보고자 전신질환이 없고, 여자의 경우 초경이 지난 사람을 대상으로 대조군은 연세대학교 치과대학생 48명 (남자 26명, 여자 22명)과 실험군으로 고정식 교정장치로 치료할 환자 73명(남자 36명, 여자 37명)을 모두 잇솔질교육(TBI)을 실시한 후, 치태지수, 치은염지수 그리고 탈회 지수에 대하여 대조군은 3주 간격으로 2회를, 실험군은 최초측정을 하고 고정식 교정장치를 부착한 뒤 3주, 6주, 9주에 걸쳐 총 4회 측정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치태지수(PI)는 고정식 교정장치 장착후 3주의 측정 이후 서서이 증가하였다. 2. 치은염지수(GI)는 고정식 교정장치 장착후 3주의 측정 이후 치태 지수의 증가보다 좀더 빠른 속도로 증가하였다. 3. 탈회는 3주와 6주 사이에서 발생하기 시작하며, 탈회지수(DI)는 처음과 비교하여 6주 측정시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는 없었다. 4. 좌.우 소구치 부위의 비교에서는 실험군의 치태지수와 치은염지수에서 우측에서 높은 값을 보였다.우측간의 발생빈도는 구순열이 53.3:46.7, 구순치조열이 59.5:40.5, 구순구개열이 59.2:40.8 으로서 좌측의 발생빈도가 우측에 비해서 높았다. 3. 순구개열의 남:여 발생빈도는 구순열은 57.9:42.1, 구순치조열은 68.8:31.2, 구순구개열은 76.1:23.9 로서 남자의 발생빈도가 여자에 비해서 높았다. 그러나 구개열에서는 41.7:58.3으로서 여자의 발생빈도가 남자에 비해서 높게 나타났다. 4. 내원 환자를 연령군 별로 조사한 결과 7-12세 군이 $52\%$로서 압도적으로 많았고, 0-6세 군 ($20.4\%$), 13-18세 군($17.2\%$), 18세 이상 군 ($10.4\%$)의 순이었다. 5. 구순열의 봉합수술시기로는 0-3개월 군이 $60.3\%$로서 가장 많았고, 4-6개월 군이 $17.9\%$로 두 번째였다. 6. 구개열의 봉합수술시기로는 1-2세군이 $31.7\%$로 가장 많았고, 0-1세군은 $25.6\%$, 2-3세군이 $12.1\%$였다. 구개 및 상악 성장이 어느 정도 이루어진 5세 이상 군은 $11.6\%$를 차지하였다.7. 구순 반흔 제거수술시기로는 4-6세군 ($27.5\%$), 6-8세군 ($19.6\%$), 2-4세군 ($13.7\%$)이 $60\%$이상을 차지하여 초등학교 취학 전에 구순의 반흔을 제거하려

  • PDF

불소가 삭제된 법랑질 표면에 주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 OF TOPICAL APPLICATION OF STANNOUS ELUORIDE TO THE STRIPPED ENAMEL SURFACE)

  • 노태래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23-28
    • /
    • 1971
  • 본 저자는 삭제된 법랑질표면에 $8\%$ Stannous Fluoride $(SnF_2)$를 국소적으로 표면도포하여 1 mol의 lactate buffer solution에 넣어 비교표본과 탈회정도를 비교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차 불소도포한 48시간후의 탈회정도는 비교표본과 차이는 보였으나 양종표본 모두 심한 탈회 상태를 보여주었다. 2. 이차 불소도포한 48시간후는 점차 그 탈회도는 감소했다. 3. 일차, 이차 불소도포한 288시간후의 탈회도의 차는 $0.24{\pm}0.0.3\;mm$인 불소처리 표본에 비해서 비교표본에서는 $0.66{\pm}0.03\;mm$의 차이를 나타냈다. 4. 결과적으로 법랑질표면 삭제부위에 불소도포를 주기적으로 실시하면서 불소가 함유된 치약을 계속적으로 사용하므로서 충치 발생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 PDF

생물학적 활성물질에서 치아우식 예방제 개발에 관한 연구 I. 인조치아 disc PAHA의 제조 및 식물추출물들의 치아우식 예방효과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reventive agent of dental caries from biological active materials Development of disc PAHA for an artificial tooth and preventive effect on dental caries from plant extracts)

  • 이기용;조효상윤정원허태련
    • KSBB Journal
    • /
    • 제8권2호
    • /
    • pp.126-132
    • /
    • 199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artificial dentin for easy handle and accurate observation of the mechanism on dental caries and to screen 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from the extracts of traditional plants and fruits for prevention of early dental cares. In order to produce disc PAHA (artificial dentin), the powdered hydroxylapatite was immobilized in a 20% polyacrylamide gel. The characteristics of disc PAHA was very similar to the surface, figure and lattice of human enamel. After decalcification in 0.1M citric acid based on observation with SEM. The critical point of decalcification of disc PAHA by acids was found to be pH 5.0-5.5, which was hi agreement with human enamel. The degree of decalcification from disc PAHA in 0.1M citric acid solution was sixfold higher than that of human enamel. This result suggested that disc PAHA would be useful as a substitute of human enamel for in vitro experiment. The extracts of garlic and Flower Apple A, B seemed to inhibit growth of S. mutans. Especially, when the 300$\mu\ell$ of its extracts added to the medium to incubate S. mutans, F. apple B showed strongly an inhibitory effect in both the growth of S. mutans and the synthesis of insoluble gluca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