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ting violence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9초

대학생의 성폭력 인식도가 성폭력 피해경험에 미치는 영향 : 성폭력 허용도의 매개효과 (The impact college students' sexual assault awareness has on the sexual assault experience :Mediating effects of the sexual violence allowance scale)

  • 강차선;정민;염순정;박정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551-560
    • /
    • 2016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폭력 인식도 및 성폭력 피해경험과의 관계에서 성폭력 허용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제주특별자치도내 위치한 4개 대학교에 재학중인 남녀 대학생 408명이었으며, 성폭력 인식도척도, 성폭력피해경험척도, 성폭력 허용도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성폭력 인식도와 성폭력 허용도와는 유의한 부적상관을 나타냈고, 성폭력 인식도와 성폭력 피해경험과 역시 유의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이는 성폭력 인식도가 높을수록 성폭력 허용도와 성폭력 피해는 낮아진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성폭력 인식도와 성폭력 피해경험의 관계에서 성폭력 허용도가 매개 효과가 어떠한지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모형과 경쟁모형으로 나누어 실시한 결과 성폭력 인식도는 성폭력 피해경험에 직접 영향을 주지 않았고, 성폭력 허용도를 매개로 영향을 미치고 있어, 완전매개 모형인 연구모형이 선택되었다. 즉, 성폭력 허용도가 성폭력 인식도와 성폭력 피해경험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성폭력 인식도가 성폭력 피해경험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성폭력 허용도를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성폭력 인식도가 잘 정립될수록 성폭력 허용도가 낮아지고, 결국 낮아진 성폭력 허용도 때문에 성폭력 피해가 감소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성폭력 인식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는 성폭력 예방교육을 체계적으로 실시해야 할 것이다. 성폭력 예방교육은 데이트 관계에 있는 남녀 대학생들이 개인의 성폭력 허용도 수준을 고려하여 그들의 인권적으로 성숙해지고, 정서적으로 적절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이끌어 줌으로써 성폭력 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제주특별자치도에 거주하는 대학생을 대상을 실시하여 일반화 시키는데는 한계가 있으므로 후속연구에서는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다양하고 광범위한 대상으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대학생의 성적 자기주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on Sexual Assertiveness of College Students)

  • 김영희;문승태;강희순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66-175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sexual assertiveness in dating college students. Methods: With a cross-sectional survey design, 468 college students who have had dating experiences were recruited and answered questionnaires.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with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sexual assertiveness of college students showed significant results: positive correlations with self-assertiveness and negative correlations with traditional sexual attitude, gender role stereotypes. Significant predictors of sexual assertiveness were traditional sexual attitude, gender role stereotypes, and self-assertiveness. These variables explained 37% of the variance in sexual assertiveness. Conclusion: Findings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identify and improve communication patterns in relation to sexual assertiveness. There is a need for sex education programs for college students that are relevant and effective.

특권의식이 데이트 관계에서의 통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지배경향성과 사회비교경향성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Psychological Entitlement on Controlling behavior in dating relationships: Focusing on the Social Dominance Orientation and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 이한올;박지선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8권4호
    • /
    • pp.555-575
    • /
    • 2022
  • 최근 들어 데이트 폭력의 심각성이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고 있으나, 데이트 폭력 유형 가운데 통제행동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특권의식과 통제행동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특권의식이 통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지배경향성과 사회비교경향성의 매개효과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성차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사회지배경향성의 경우, 특권의식과 통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성별에 따라 매개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특권의식이 높을수록 사회지배경향성 및 사회비교경향성이 강하며, 통제행동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사회지배경향성 및 사회비교경향성 이 강할수록 통제행동을 더 많이 하였다. 특권의식이 통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지배경향성이 완전 매개역할을 하였다. 또한, 특권의식과 통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사회비교경향성의 하위요인 중 하나인 능력비교경향성이 완전매개역할을 하였다. 더불어, 특권의식이 사회지배경향성을 매개로 통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성별에 따라 조절되었다. 즉, 특권의식과 통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남성의 경우에는 사회지배경향성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으나, 여성의 경우에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한계점을 논의하고 후속연구에 대해 제안하였다.

성교육을 통한 청소년들의 성지식 및 성태도 효과 연구 (The Effects of Sexual Knowledge & Sexual Attitude through Adolescents' Sex Education)

  • 최혜영;송정아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47-58
    • /
    • 2006
  •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were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sex education program on sexual knowledge and sexual attitude, and to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on sex educ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design was comparison and experimental groups including pre-test and post-test. The study subjects were 160 male middle school students in Pusan: 80 student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80 students of the comparison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the comparison group in terms of sexual knowledge and sexual attitude. Through formative evaluation, students recognized human sexuality, especially in the areas of physical change, psychological change, dating, sexual drives and sexual violence. This sexual education program was designed with literature review and participated students' requests.

비폭력대화(NVC)모델에 근거한 포괄적 성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Comprehensive Sex Education Program Based on Nonviolent Communication Model)

  • 강현진;김주희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26권1호
    • /
    • pp.80-90
    • /
    • 2020
  • Purpose: Sex education should be given priority to address dating violence. Comprehensive sex education has been developed based on a nonviolent communication model between couples for the smooth resolution of problems with the opposite sex.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apply Comprehensive Sex Education for unmarried couples in their 20s-30s and to examine the effects on sex communication, problem-solving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competence. Methods: This study developed a total of six web-based sex education sessions. A comprehensive sex education program combined with nonviolent communication between couples was developed based on the UNESCO Sex Education Guidelines. A pre- and post-equivalence control design was used to provide moderation-based sex education to compare the effects on gender communication, communication dissatisfaction, and relationship development. Results: We developed a comprehensive sex education program for couples that took three minutes per episode, on a web-based basis. Sex communication, problem-solving communication, and love relationship competence showed significant pre- and post-tes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Conclusion: The program of this study is an attempt to introduce Korea to comprehensive sex education, which has already been shown to be effective through numerous verification processes abroad and will provide assistance in forming future relationships between lovers.

경비업법상 신변보호 관련 규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A Study on Problems and Improvement of Personal Protective Regulations in Security Industry Act)

  • 박정섭
    • 시큐리티연구
    • /
    • 제51호
    • /
    • pp.81-100
    • /
    • 2017
  • 최근 우리 사회는 인구의 도시집중화와 외국인의 이민 유입으로 범죄의 유형 및 형태가 다변화 되어가고 있다. 기존의 살인, 납치, 성폭력 등의 강력 범죄이외 학교폭력, 데이트 폭력, 가정폭력, 노인폭력을 비롯한 사회증오형 범죄, 묻지 마 범죄 등 다양한 범죄는 국민 생활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국내 실태에 따라 신변보호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면서 민간경비 산업의 규모는 지속적으로 확장 되어가고 있다. 민간경비 산업의 발전에 수반하여 그에 대한 법 제도적인 측면이 체계적으로 정비되고 개선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국내 경비업법상 신변보호 관련 규정은 수차례의 개정에도 불구하고 1995년 법 규정이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어서 사회의 변화 및 민간경비업의 현실과 괴리되어 본래의 취지에 부합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신변보호업과 시설경비업은 경비업법상 법체계 및 구성요건이 동일하여 경비업자 및 종사자 또는 관리 감독 기관인 경찰까지도 경비업무의 범위와 임무에 대해 혼란을 갖는 문제점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경비업법상 신변보호 관련 규정의 체계적인 법 제도적 정비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현행 경비업법상 신변보호 관련 규정을 검토하고, 이에 따른 문제점을 도출하여 법 개정을 하는데 있어 현실적인 근거가 될 수 있도록 개선 및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아동 및 청소년 성교육 자료의 활용 실태와 평가 (Status of Use and Evaluation of Materials of Sexual Education for Child and Adolescent in Schools, Korea)

  • 정금희;양순옥;백성희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8권3호
    • /
    • pp.313-321
    • /
    • 2002
  • We would like to suggest the guideline of use of materials of sexual education for adolescent in school by examining the status of use of materials and by evaluating the video materials frequently used. Survey was done by enquetes on status of use of materials of sexual education from school nurses in 190 primary, 44 middle and 50 high schools in Seoul, Kyonggi-do and Kangwon-do from August 1999 to February 2000. The frequently used 84 videotapes were evaluated on their contents. As for the status of use, 99.3% of subjected schools possessed the materials for sexual education. Decision of purchase wa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eview of contents (92.6%). Information about materials was received by the advertisement in newspapers or broadcasting (46.1%) or recommendation of peer teacher (32.4%). Videotape was most frequently used (64.1%) rather than books or CD. Teachers concerns on the materials were the educational content according to developmental stage of students (41.9%), content provoking interest (33.5%) and concrete guide for teacher (10.6%). As for the evaluation of the contents of videotapes, a subject of education was not described out of 46.6%. Videotape producer were mostly the Government-affiliated institutes or non-profit organizations (86.8%). The year of production was indicated from 41.7%. Running time range of 21-30 minutes was highest (55.9%). The price was marked in only one videotape. Subjects of contents were general sexual education (34.5%), sexual violence or sexual harassment (21.4%), pregnancy and contraception (14.2%) and AIDS and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8.3%) and dating and adolescent change (4. 8%), and etc (11.9 %). According to above results, we suggested that materials for sexual education should be completed with a description on the subjected group, summary of content, information on the tape producer, year of production, running time and sale price.

  • PDF

백워드 디자인에 기반한 고등학교 '건강한 커플관계' 교육과정(안) 개발 (Development of 'Healthy Couple Relationship' Curriculum in High School Based on Backward Design)

  • 유인영;박미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21
    • /
    • 2019
  • 본 연구는 백워드 디자인에 기반하여 고등학교 가정교과의 '건강한 커플관계' 교육과정(안)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문헌 분석을 통해 '건강한 커플관계'의 내용요소를 추출하고, 가정과교사 197명, 고등학생 154명을 대상으로 '건강한 커플관계' 내용 요구도 조사를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백워드 교육과정 설계 모형으로 고등학교 가정교과의 '건강한 커플관계' 교육과정(안)을 개발하여 전문가집단의 타당도 검증을 받았다. 본 연구의 결과로 첫째, '건강한 커플관계' 내용 요소에 대하여 5점 리커트 척도로 요구도를 조사한 결과, 전체 내용 요소에 대한 평균은 가정과 교사 4.39, 고등학생 4.02였으며, '데이트 폭력에 대한 이해'의 내용 요소가 교사 4.70, 학생 4.19로 두 집단에서 모두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교 가정교과의 '건강한 커플관계' 교육과정(안)은 교육과정 목표와 2개의 단원으로 구성되었고, 각 단원은 단원 목표, 세부 학습 주제 및 내용 요소, 평가계획, 수업계획을 포함하였다. 각 단원별에 대하여 템플릿을 구성하여 총 2개의 템플릿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 시행에 대비하여 고등학교 가정교과의 선택과목으로 '건강한 커플관계' 교육과정(안)을 제안하고, 선택 과목 개설의 기반을 마련한 것에 의의가 있다.

N포세대의 감정 풍속도 (Aspects of Emotional Customs by the N-po Generation)

  • 서연주
    • 대중서사연구
    • /
    • 제25권1호
    • /
    • pp.55-85
    • /
    • 2019
  • 본고에서는 한국의 N포세대가 그려지는 사회적 맥락을 최근의 드라마, 영화 등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우리 시대의 풍속도를 분석해 보고 대중매체가 담당해야 할 역할에 대해 타진해 보았다. 그 결과 전 지구적인 청년실업과 삶의 양극화, 불안정성, 성과사회의 각박한 현실에 혼밥하는 것으로 잉여자가 된 자신을 위무하며 소확행(작지만 확실한 행복)하는 N포세대의 내면에 주목하게 되었고(드라마 <혼술남녀>, <식샤를 합시다>), 주거고민이 결혼 기피로까지 이어지는 N포세대가 추구하는 '합류적 사랑'의 경향을 엿볼 수 있었다.(드라마 <이번 생은 처음이라> 영화 <소공녀>)는 문화적 감수성의 새로운 세대 출현이 진행되고 있음을 제시하면서 진정성 있는 삶에 대한 성찰을 던져주었다. 드라마 <청춘시대>는 청년 실업, 비정규직, 파편화된 가족, 데이트 폭력 등을 비중있게 다루면서 타인의 상처에 대해 공감하고 함께 해결하고자 하는 의지를 실천하는 등장인물들의 모습이 감정공동체의 성장담으로 그려졌다. 살펴본 작품들은 지금 한국사회가 숙고해야 할 문제는 결국 생존 자체를 넘어선 사람답게 사는 것, 사람됨의 조건을 찾아가는 것이란 성찰을 담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가 추구해야 할 것은 여러 세대를 아우르는 공공성이다. 때문에 세대별 갈등이 촉발될 수밖에 없는 현실 가운데 공감할 수 있는 통로를 마련하기 위한 대중매체의 감수성 훈련이 긴요해진다. 이에 대한 고민을 끊임없이 공론화하는 것이 또한 대중매체의 책무가 아닐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