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ta source correction

검색결과 99건 처리시간 0.024초

AzTEC Submillimeter Survey of Galaxies

  • Kim, Ki-Hun;Kim, Sung-Eun;AzTEC team, AzTEC team
    • 천문학회보
    • /
    • 제35권2호
    • /
    • pp.38.1-38.1
    • /
    • 2010
  • We present the results of the survey for submillimeter galaxies in the MS0451 (04h 54m 10.8s, -03d 00m 57.0s) at z = 0.55 and PKS1138-262 (11h 40m 48.25s, -26d 29m 10.1s) at z = 2.16 with the 1.1mm bolometer array AzTEC at the James Clerk Maxwell Telescope. The samples were centered on a prominent large-scale structure overdensity. Submillimeter galaxies seem to be starburst galaxies at high redshift ($z\;\geq\;1$) with high starformation rates ($\sim1000M\odot\;yr^{-1}$) or active galactic nuclei (AGN). We have obtained AzTEC images using the AzTEC data reduction pipeline with the IDL language. Through a bayes' theorem, we determined the extragalaxy catalogue, containing the false-detection rate, completeness, flux deboosting correction, and the source positional uncertainty in this region. We compared the catalogue with HST, DSS, 2MASS observations.

  • PDF

모델변수 제약을 통한 주시토모그래피 영상화 향상 (Enhancement of Traveltime Tomogram Using Block Constraint)

  • 조창수;이희일;서정희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5권1호
    • /
    • pp.46-55
    • /
    • 2002
  • 시추공 탄성파 토모그래피법에서 널리 이용되는 주시 토모그래피 역산에 미치는 요소와 영상화 향상을 할 수 있는 기법들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주시 토모그래피에서 모델변수 값과 모델변수 영역의 크기를 제약함으로써 사전정보에 대한 정보를 모델변수에 설정할 수 있어 영상화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송신원의 시간지연에 의해 발생되는 영상화 왜곡을 제거하기 위해 지연시간을 모델 변수화하였다.

Prediction of network security based on DS evidence theory

  • Liu, Dan
    • ETRI Journal
    • /
    • 제42권5호
    • /
    • pp.799-804
    • /
    • 2020
  • Network security situation prediction is difficult due to its strong uncertainty, but DS evidence theory performs well in solving the problem of uncertainty. Based on DS evidence theory, this study analyzed the prediction of the network security situation, designed a prediction model based on the improved DS evidence theory, and carried out a simulation experiment.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improved method could predict accurately in the case of a large conflict, and had strong anti-jamming abilities as compared with the original method. The experimental results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improved method in the prediction of the network security situation and provide some theoretical basis for the further application of DS evidence theory.

수증기 연직 분포에 의한 GOCI-II 해색 산출물 오차 분석 (Analysis of Uncertainty in Ocean Color Products by Water Vapor Vertical Profile)

  • 이경상;배수정;이은경;안재현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9권6_2호
    • /
    • pp.1591-1604
    • /
    • 2023
  • 해색 원격탐사에서 대기 보정은 자료의 정확도와 신뢰성 확보를 위해 반드시 수행해야하는 과정으로 높은 정확도가 요구된다. 또한 최근 원격 탐사 커뮤니티에서는 위성 자료의 오차에 대한 요구 사항이 증가함에 따라 대기 보정의 보조 자료로 사용되는 기상 변수(오존량, 기압, 바람장, 층적분 수증기량[total precipitable water, TPW])의 오차에 의해 발생하는 원격 반사도(remote sensing reflectance, Rrs)의 오차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오차 요인으로 알려진 수증기 프로파일의 변동성에 의한 Rrs의 오차에 대한 연구는 수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Second Simulation of a Satellite Signal Vector version 2.1 모의를 통해 GOCI-II 관측 영역 내의 수증기 프로파일의 변동성에 따른 수증기 투과도의 오차를 계산하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해색 산출물의 오차에 대해 분석하였다. Radiosonde 관측 수증기 프로파일은 그 형태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지표 부근의 큰 변동성으로 인해 기존 GOCI-II 대기 보정에서 사용하고 있는 US standard 62 수증기 프로파일과의 차이가 최대 0.007만큼 발생하였다. 이로 인해 발생한 수증기 투과도의 차이는 GOCI-II 대기 보정에서 에어로졸 반사도 추정의 차이를 발생시키고, 결과적으로 모든 밴드에서 Rrs의 오차가 발생하였다. 하지만 412-555 nm 밴드에서 수증기 프로파일 차이로 인한 Rrs 오차는 요구 정확도보다 낮은 2% 미만으로 나타났으며, 다른 해색 산출물인 클로로필(chlorophyll-a) 농도, 용존 유기물, 총 부유물 농도에서도 유사한 오차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기 보정 및 해색 산출물의 정확도에 있어 수증기 프로파일의 차이의 영향이 적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추후 연구에서 수증기 흡광 보정 시 수증기 프로파일의 변동성을 고려할 경우 보다 높은 수준의 Rrs 정확도 확보를 기대할 수 있다.

오픈-소스 자료처리 기술개발 소프트웨어(Madagascar)를 이용한 탄성파 현장자료 전산처리 적용성 연구 (A Study on the Field Data Applicability of Seismic Data Processing using Open-source Software (Madagascar))

  • 손우현;김병엽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21권3호
    • /
    • pp.171-182
    • /
    • 2018
  • 탄성파 처리 기술개발 분야의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인 Madagascar를 이용하여 신호 대 잡음비가 낮고 속도정보가 불확실한 현장 탄성파 자료에 대해 자료처리를 수행하고,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의 현장 적용성을 시험하였다. 파이썬(python) 기반의 Madagascar는 방법론적으로는 다차원 자료 분석이 가능하고, 처리 공정의 재현성이 뛰어나 효율적인 자료처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다소 복잡한 사용법과 자료 구조 시스템으로 인해 현장 자료에 대한 자료처리 사례는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 자료에 대한 Madagascar의 효용성을 확인하기 위해 기본적인 탄성파 자료처리(자료입력, 지형 정보 일치, 진동수-파수 필터, 예측 곱풀기, 속도 분석, 수직 시간차 보정, 겹쌓기, 참반사 보정)를 수행하였다. 테스트를 위해 사용한 현장 자료는 서해 군산분지에서 에어건 음원과 480채널의 스트리머로 취득한 해양 탄성파 탐사자료이며, 각 자료처리 단계마다의 결과를 Landmark사의 상용 소프트웨어인 ProMAX (SeisSpace R5000)을 사용하여 처리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데이터 입출력 및 관리, 처리 과정의 재현성 및 자동 속도 분석 측면에서는 Madagascar가 상대적으로 높은 효율성을 보였고, 신호 품질 향상을 위한 전처리 결과는 상용 소프트웨어와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심부 지층에 대한 영상화 결과는 상용 소프트웨어로 처리한 결과가 보다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상용 소프트웨어의 경우 다양한 겹반사 제거 모듈이 적용되었고, 상호 대화식 인터페이스로 인해 보다 정교한 자료처리가 가능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Madagascar의 경우에도 현재 전 세계에서 많은 연구자들이 다양한 자료처리 알고리듬을 개발하여 지속적으로 공개하고 있기 때문에, 향후 이러한 최신 알고리듬을 적용한다면 상업용 수준의 자료처리가 가능해져 보다 향상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RadCalNet 자료를 이용한 다목적실용위성 3A 영상 자료의 지표 반사도 성과 검증 (Validation of Surface Reflectance Product of KOMPSAT-3A Image Data Using RadCalNet Data)

  • 이기원;김광섭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6권2_1호
    • /
    • pp.167-178
    • /
    • 2020
  • 2015년 발사된 이후 KOMPSAT-3A 영상정보가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실제 육상 환경의 분석에 필요한 지표 반사도를 얻을 수 있는 도구 개발이 이루어지지 않아서 식생 지수 산정 등과 같이 이러한 자료를 적용하는 과학적 분석과 응용 분야의 확산에는 한계가 있었다. 지표 반사도는 절대 대기 보정 처리 과정을 수행하여 얻어지는 성과물이다. 이 연구에서는 OTB 오픈 소스 확장 프로그램으로부터 KOMPSAT-3A 영상정보의 대기 반사도와 지표 반사도를 구하고, 국제 검보정 포털 RadCalNet에서 제공하는 대기 반사도와 지표 반사도 현장 측정 자료를 이용하여 정확도를 비교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같은 지역의 Landsat-8 OLI 영상으로부터 지표 반사도를 구하고 비교 검증 실험에 같이 적용하였다. 검증 실험 결과로 KOMPSAT-3A 영상의 대기 반사도는 같은 분광대역에 해당하는 RadCalNet 자료의 평균값과 비교했을 때 0.00에서 1.00까지의 범위에서 최대 ± 0.02 차이가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KOMPSAT-3A 영상의 지표 반사도 산출 결과는 RadCalNet 자료와 0.02에서 0.04까지의 차이 값을 갖는 높은 일치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들은 KOMPSAT-3A 영상의 분석대기자료(Analysis Ready Data)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기본 자료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 연구에서 개발된 도구와 연구 방법은 향후 국토, 농업, 산림 활용을 위한 차세대 중형 위성 영상자료의 각 센서 모델에 맞는 확장 프로그램 개발과 검증에도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한다.

자동차 대기오염물질이 고속도로 인접지역에 미치는 농도 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oncentration Prediction of Automobile Air Pollutant Near the Highway)

  • 박성규;김신도;김종호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607-620
    • /
    • 1998
  • The influence of transportation on air quality has been elevating in urban area. Air pollutants from automobiles cause primary and secondary air pollution, and need to be tightly controlled. In this study, the effect of automobile air pollutants on highway vicinity area was evaluated by the comparison of field measurement. and target was for modeling using CALINE3, NO2 was the target for this work. It was found that the concentration predicted by CALINE3 is overestimated at low wind speed and input data of wind speed requires correction. Based on the measured data, the wind speed was modified by effective wind speed equation [Ue=U+0.24·EXP(-pxU)], and there after the accuracy of CALINE3 calculation was improved neighborhood area of highway. It was also observed that weather conditions and traffic volume affect the concentration of air pollution. Finally, the NO2 effect of automobile air pollutants on the vicinity area of highway proved to be up to 400∼600m from the highway.

  • PDF

영상센서 픽셀 불균일 보정 알고리즘 개발 및 시험 (Proposal and Verification of Image Sensor Non-uniformity Correction Algorithm)

  • 김영선;공종필;허행팔;박종억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4권3호
    • /
    • pp.29-33
    • /
    • 2007
  • 균일한 빛 에너지에 대하여 영상센서의 모든 픽셀은 이상적으로는 균일하게 반응해야하지만 실제적으로는 그렇지 않다. 이러한 영상센서의 불균일 특성은 픽셀자체의 특성과 광학모듈 특성 등에 의하여 발생한다. 영상센서의 불균일 특성은 고정된 형태의 잡음으로 다양한 보정 알고리즘에 의해 보정될 수 있으며 보정능력에 따라 더욱 우수한 영상 품질을 기대할 수 있다. 보통, 영상센서의 불균일 보정은 적절한 알고리즘에 의해 보정계수를 구한 후 이를 적용하여 이루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모든 광량영역에서 좀 더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최적의 픽셀 불균일 보정계수 계산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불균일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센서를 1차원으로 모델링하였으며 보정계수를 구하기 위해 여러 광량레벨에서 측정데이터를 얻고 최적의 해를 얻기 위해 최소자승법을 이용한다. 논문에서는 보정계수 획득을 위해 적분구, 프래임그래버를 탑재한 컴퓨터 및 제안한 알고리즘을 구현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였다. 또한 자체 구현한 카메라와 별도의 시험셋업을 이용하여 불균일 시험을 수행하여 제안한 알고리즘을 검증하였다. 제안한 알고리즘을 보정 전 결과 및 기존 방법의 결과와 비교하였으며, 비교 결과, 제안한 알고리즘이 모든 광량에서 가장 좋고 신뢰성 있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질적 이미지의 딥러닝 분석을 위한 적대적 학습기반 이미지 보정 방법론 (Adversarial Learning-Based Image Correction Methodology for Deep Learning Analysis of Heterogeneous Images)

  • 김준우;김남규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10권11호
    • /
    • pp.457-464
    • /
    • 2021
  • 빅데이터 시대의 도래는 데이터에서 스스로 규칙을 배우는 딥러닝의 비약적인 발전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특히 CNN 알고리즘이 거둔 성과는 모델의 구조를 넘어 소스 데이터 자체를 조정하는 수준에 이르렀다. 하지만 기존의 이미지 처리 방법은 이미지 데이터 자체를 다룰 뿐, 해당 이미지가 생성된 이질적 환경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았다. 이질적 환경에서 촬영된 이미지는 동일한 정보임에도 촬영 환경에 따라 각 이미지의 특징(Feature)이 상이하게 표현될 수 있다. 이는 각 이미지가 갖는 상이한 환경 정보뿐 아니라 이미지 고유의 정보조차 서로 상이한 특징으로 표현되며, 이로 인해 이들 이미지 정보는 서로 잡음(Noise)으로 작용해 모델의 분석 성능을 저해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질적 환경에서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들을 동시에 사용하는 앤드-투-앤드(End-To-End) 구조의 적대적 학습(Adversarial Learning) 기반의 이미지 색 항상성 모델 성능 향상 방안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제안 방법론은 이미지가 촬영된 환경인 도메인을 예측하는 '도메인 분류기'와 조명 값을 예측하는 '조명 예측기'의 상호 작용으로 동작하며, 도메인 분류의 성능을 떨어뜨리는 방향의 학습을 통해 도메인 특성을 제거한다. 제안 방법론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이질적 환경에서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 셋 7,022장에 대한 색 항상성 실험을 수행한 결과, 제안 방법론이 기존 방법론에 비해 Angular Error 측면에서 우수한 성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베이스 메이크업의 컬러보정을 통한 얼굴이미지 상승효과에 관한 연구 - 보색대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Assessment of Face Image with Color Correction of Base Makeup - Focussed on the complementary color contrast -)

  • 방기정;김경희;문윤경
    • 패션비즈니스
    • /
    • 제14권1호
    • /
    • pp.43-56
    • /
    • 2010
  • In the modern 21st century society, the personal image is considered to be very important. As a result, the importance of presenting one's personal image through personal color in fashion and beauty related fields are increasing, and is the most realistic and practical field of color. When the color of the wardrobe and the skin color are in disharmony, that disharmony becomes the source of the lines and wrinkles that appear on one's face, resulting in shades. The boundary that is created when the color of the wardrobe and the skin color are in disharmony, it works negatively on one's image. When color arrangements are close or similar (in harmony) or are in complementary color arrangements or in strong contrasting state (contrasting harmony), it is generally believed to be beautifully harmonious. Personal color assessment is finding colors, through systematic and scientific methods, that improve the personal image by reaching harmony with skin colors that each and every individual are uniquely born with. In this study, one was able to learn the improved visual effects of the face image through creating harmony with the wardrobe and color shade make up and complementary colors that were selected based on personal colors. The base make up, through using the contrasting effects of the complementary colors which represents the supplementing, correcting, and complementing of the face image by contrasting with complementary colors, brings positive changes through correcting the base skin color. It is believed that this study finds its importance in that the improved image that is created by the overall harmony of the wardrobe and body can be used as valuable data in marketing and new product development efforts in the related industries.